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가이아Gaia Jun 03. 2019

[왕비재테크 컬럼] 사랑은 종교다

에세이



19.06.03



사랑은 종교다




돌담회 봉사 갔다 오던 일요일 

시내 나가 제일서적에서

내가 아끼는 일번 책 

춘원 이광수의 <사랑> 

책 앞에 쓰여진 문구 뒤에 

6천원이란 가격의 정가가 박혀있다.




94년 내 나이 스물두 살.

그때 나는 이 책을 읽고 

내 사랑의 그릇된 정의를 안고 살았다.

사랑이란 제목 앞에 

나는 천겁 만겁 그 억겁의 세월을

너무 이른 나이에 심취해서일까?




사랑이 뭘까? 

절대 사랑을 해보지 않고 모르는 게 사랑이고

사랑이란, 

단 한번이라도 받아보지 않았다면 

절대 깊이있는 사랑을 모른다. 

절대 모른다.




결혼이 사랑의 종착역도 아니고 

결혼이 사랑의 결실이라 

결코 정의 내릴 수 없는 이유들은 

분명히 너무 많다.




사랑은 

유희가 주는 것만으로 채울 수 없고 

사랑이란 

시절이 아니라 영원이고 

사랑한다는 건 

온 우주를 안는 포옹이다.




한낱 육체적 결합이 주는 안도와 평안이 

익숙해진 것에 사랑이라 믿고 

착각할 수도 있으며

보이는 사랑만 믿으며 

자기가 받은 것이 전부 사랑이라 

오해하며 믿고 살 수도 있고

그래서 사랑이란 

육체와 정신을 절대 하나로 결합시켜야 되는 정의가 

사랑일까?




사랑. 

이 세상 가장 흔하게 쓰는 단어가 사랑이고

이 세상 가장 어려운 숙제가 

사랑일 수 있다는 것에

누구나 공감하듯 

사랑은 

애처롭고 애잔하고 안쓰러움인 것이다.




사랑에 질투가 따르고 

불륜이라는 남녀 간의 색정은 

사랑이 아니라 

인간사 욕심이 빚어낸 집착이라 말하기 어렵고

소유에서 오는 쾌락일지 모르는 게 

사랑이 아닐 수 있는 것.



그런데 사랑은 

추악한 그 어떤 더러움이 없어야 

사랑이 될 수 있다.

사랑에 빠져 다투고 싸우고 

폭행에 폭언이나 

추태나 추악한 감정이 깃들어야 하는 것은 

절대 사랑이 아니다. 



그렇다. 

스물두 살 내가 배운 사랑은 그런 것이었다. 

책으로 배운 사랑이라기엔 

내게 너무 큰 세계였다.




'사랑'이란 책을 읽고 

나는 공상을 꿈꿨는지 모른다.

그래서 나는 그렇게 사랑에 실패했다.

스무 살에 나는 사랑을 몰랐고 sex를 몰랐다.

그건 스물두 살에도 몰랐다. 




그냥 단지 그 시절 무수히 읽었던 

사랑이 주어가 된, 주제가 된 글 속에 묻혀 

사랑을 배웠다. 

사모란 단어가 주는 가슴뜀을 그때 처음 알았다.

사랑은 뜨거운 것 만이 아니라고 

소설 속 사랑에 빠져 

현실을 허우적거리면서 사랑에 빠졌다. 




그렇게 스물두 살에 

춘원 이광수의 사랑이란 책 안에서 

마음에 사랑을 늘 붙잡아매어 

난 늘 사랑 이야기를 썼다. 

아니 지금도 

밥벌이를 손에서 놓을 수 있을 자유를 만난다면 

나는 사랑 이야기를 쓸 것이다. 




물론 한강 같은 굵직한 작가의 

부러진 연필심보다 작은 석탄가루 수준의 글을 쓰더라도

나는 변치 않을 수 없는 사랑이 아니라 

변할 수밖에 없는 사랑도 

사랑이라고

내가 배운 사랑을 쓰고 싶다.

사랑은 변하기 전까지만 사랑이라고 말이다.




사랑은 그런 것이 아닐까?

속박 속에 남녀 간의 사랑이란 아름다운 구속.

그런데 그 때 내가 얻은 영감의 사랑은

사람이 죽어 물로 바뀌고 흙으로 녹아들어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변하지 않는 존재여야 한다는 춘원의 글에서 

나는 더러운 속인의 사랑을 구별할 수 있게 되었는지 모른다.




그래서 나는 돈을 벌었을까?

사랑이란 게 그런거다. 

어느 글처럼 

'가난이 창문 틈으로 들어오면 사랑은 문으로 나간다'고 하듯 

내가 배운 사랑은 더러운 속세의 때를 묻혀버렸다.

그래서 사랑은 원한이 되어서도 아니 되며 

사랑은 원수가 되어서도 안 된다.




그런데 내가 산 속세의 사랑은 그랬다. 

내 사랑부터 

혼인이란 것이 주는 기쁨에는 책임이 따르듯 

사랑이 주는 세상 안에서는 전부가 있다.




연애도 그리고 이별도 결혼도 이혼도 그렇고 

다시 재혼도 그런 게 아닐까?

곡절 많은 인생이라고 

사랑을 많이 했다고 

손가락질 할 수 없음은, 

다 늙은 뒤에 인생 끝자락에 수절과부로 살았다고 

무엇도 달라지지 않는 이유는, 

사랑이란 횟수에 있지 않다.




10번을 사랑해서 10번을 결혼하고 10번을 이혼해도 

사랑이 아닐 수 있었고 

그래서 헤어진 것이 아닐 테지만 

사랑이란 꼭 함께 동거해야 한다는 것으로 

사랑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절대 정의될 수 없다.




사랑은 

함께 산다고 같은 이불을 덮고 산다고 

다 사랑이 아닐 수도 있음은 

sex 없이도 사랑할 수 있다는 게 증명되고 

한평생 멀리서 바라만 보고도 

사랑하며 살아낼 수 있는 이별도 

사랑이 된다.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라는

기형도의 시 귀처럼 

나는 사랑을 하며 살아가는 일에 

시작과 멈춤은 

쌍방이 아니라 

사랑의 실체 

자신만이 가지는 약속일 뿐이기도 하다.




세세생생 같이 살 수도 있지만 

정신의 충만으로 

톨스토이의 글 실력으로도 해설되지 못하는 것이 

사랑인 것이다.

그래서 사랑이란 

사모와 그리움인 듯하다.




나는 그런 사랑을 

스물두 살에 

사람에게 인연이란 게 있다는 걸 모르고 

인연을 모를 나이에 

겁 없이 사랑을 믿었는지 모른다.




사랑에도 지혜가 필요한지 몰랐다.

내가 한 사랑은 불나방처럼 대책이 없었고 

일평생 산다는 게 뭔지도 모르고 사랑을 한 죄 

사랑이 무서운 것이란 걸 모른 죄 

그렇게 한 살 두 살 나이를 먹어 철이 들어가며 

마주하게 된 나의 사랑은 

속이 없었다. 

알맹이 없는 사랑을 했다.




사랑은 무심코 찾아오지만 

관계란 것은 

그리 무심히 정리될 수 없다는 것마저 몰랐던 시절 

사랑은 그랬다. 

본능에 충실한 것이었을까? 




사랑이란 건 

행복과 불행 사이의 줄다리기 같다. 

사랑할 때는 이별을 알 수 없고 

떠날 때를 몰라서 행복하고, 

이별할 때는 온 힘으로 사랑할 때를 되 물리는 기억 

그것이 진리일까.




지금 내 나이 마흔 중반에서 

사랑을 논해 본다.

첫사랑 첫날밤을 기억했던 순수가 상실된 시계 앞에 

한평생 사랑에 대해 늙은 감성을 풀어낼 

내 늙음이 오면 

나는 어떤 정의를 내릴까.




그렇다. 

사랑은 이별이다. 

지금 내 나이에 내리는 정의는 이별이다.

우리는 헤어질 약속 앞에 

하루하루 사랑하며 살기도 하고 

사랑을 잊은 채 살아가기도 하고 

아니 사랑할 수도 있다. 




사랑은 그렇게 

이별 앞에 작별하고 사는 날들이다.

깊이 사랑하고 얕게 사랑하는 게 아니라 

우리 일생에 

사랑을 모르고 사랑하며 살아가고 있을 수 있다고. 




그런데 누군가 자신의 사랑을 평가할까봐 

떳떳하지 못하게 살 수도 있고 

사랑 안 하고도 살 수도 있고 

진짜 유혹 앞에서도 흐트러짐 없이 

그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이국 멀리 떨어져 살고 있을 수도 있고 

사랑에 진절머리 나서 혼자 사는 

수많은 사람들의 사랑에도 

사랑은 가득 찬 것.




그래서 이혼이 졸혼이 비혼이 

사랑이 없는 게 아니라 

사랑해서 그렇게 살아갈 수도 있고 

운명을 기다리며 사랑을 기다리며 

사랑하는 사람을 기다리며 살고 있을지 모르는 

그 수많은 기다림도 사랑이기에 

내게 사랑은 

미어지고 보고싶은 그리움으로 

죽는 날까지 가슴에 품고 

한평생을 외로움 속에서도 

영원할 수 있는 것.




그것이 

지금 옆에서 연애하고 

육체를 나누는 정을 가졌다 하여도 

일생에 단 한 사람 

영원한 사랑으로 

억만 겹 세월을 지나서도 

기다릴 수 있는 사랑을 믿는다.




그래서 내게 사랑이란 

긴긴 겨울 한이 맺힌 여자의 서리처럼 

뜨거운 것이라 말하고 싶다.

얼마나 뜨거우면 한이 맺힐까?

그렇듯 사랑은 

모든 것을 품어야 하는 

꽤 힘든 삶에 숙제 같은 것이라 생각한다.




누군가의 가슴에 박혀서 

그 사랑의 뜨거움으로 

그 하룻밤의 애절함으로 

생명을 잉태해 낳은 아이를 

혼자서 인생을 걸어 키워낼 수 있는 약속처럼 

사랑은 사연이다.




그래서 이 나이를 먹고 보니 

황량한 가슴에도 

추억할 것들이 있다는 게 재산이고 

사람 도리를 다해 살 듯 

사랑에 도리가 있다는 걸 배워간다.




터져 나오는 질투를 잡초 뽑듯 뽑아낼 수 있는 

그런 침노의 기분도 일순간이 될 수 있는 

그런 연륜의 나이가 오면 

나는 어떤 사랑을 딸에게 일러줄까.




내 인생에 사랑은 

구구절절 신세타령이 아닌

내가 살아낼 수 있었던 

내 생명력이 되어준 

종교가 아니었을까 싶기도 한 나는 

지천명을 기다린다. 

사랑을 기다리듯 믿고 산다.




그래서 사랑은 종교다.

적어도 내겐 종교였고

세세생생 다시 못 올 약속이리라.






다른 칼럼 구독하기 바로가기  ↓↓클릭↓↓

왕비재테크 카페 :http://cafe.daum.net/dgbudongsantech/HjbL



작가의 이전글 [왕비재테크 비밀]사랑해야한다 죽도록 사랑하고 가기위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