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자전거 탄 달팽이 Feb 04. 2022

 무생채를 씹으며 추모(追慕)를 하다

이번 설 연휴 밥상에서 나의 원픽은 어머님표 무생채였다. 딱히 제사를 지내지 않는 우리 시댁은 명절에 가족들이 먹고 싶은 음식을 어머님이 해 주시는 편이다. 무생채는 어머님이 제철 무가 맛있다며, 평소 아버님과 아주버님이 드실 수 있게 해 놓으신 밑반찬이었는데, 두 끼 만에 나 혼자 반 통을 먹어 치웠다.


    며칠 입맛이 별로 없어 식사량이  줄었는데, 무생채를 먹자마자 달아났던 입맛이  배로 돌아왔다. 무생채로   그릇 뚝딱, 어머님표 고등어조림, 돼지갈비, 브로콜리 무침 등등으로   그릇, 그렇게  끼니 밥을 두 그릇씩 먹어댔다. 하지만, 수많은 반찬 가운데서도 무생채가 단연 으뜸이었다.


   선연한 빨간색의 무생채를 한 젓가락 집어 입안에 넣었다. 깔끔하면서도 상큼한 양념 맛이 입안에 감돈다. 어금니로 무생채를 씹고 있자니, 아삭아삭을 넘어 오독오독하기까지 한 식감과 겨울 무 자체에서 흘러나오는 감칠맛과 단맛에 그만, 밥이 계속 들어간다.




   무생채를 먹으면서, 뜬금없지만 성심 씨와 사진 씨 생각이 났다. 성심 씨의 무생채는 분명 어머님 표 무생채와는 전혀 맛이 달랐다. 어머님은 깔끔하게 소금에 절여 맛을 내셨고, 우리 성심 씨는 멸치 액젓과 미원 가루 살짝으로 맛을 냈으니 말이다. 그런데도 무생채를 보니 성심 씨 생각이 났다.


   성심 씨는 꼭 이맘때쯤 소고기뭇국을 끓여주곤 했다. 손이 큰 그녀답게 몇 날 며칠 먹어도 줄어들지 않는 소고기뭇국에는 꼭 무생채가 함께 밥상에 올라오곤 했다. 소고기뭇국에 살짝 담근 밥 한 숟가락에 무생채를 얹어서 입 안 가득 넣으면 뜨뜻한 기운과 더불어 무생채의 그 식감이 밥을 술술 들어가게 했다. 나나 우리 아빠 사진 씨는 국의 건더기보다 국물을 좋아했는데, 둘 다 밥과 뭇국, 그리고 무생채를 얹어 겨울을 나곤 했다.


   사실 그때는 왜 꼭 소고기뭇국을 먹을 때만 무생채가 밥상에 올라오는지 잘 몰랐다. 주부가 된 요즘에야 비로소 알게 된 사실인데, 손이 큰 성심 씨이지만, 커다란 무 반 토막은 뭇국에 반 토막은 무생채를 만들었단 걸 깨달았다. 물론 나는 나름 현명한 주부 코스프레를 한다며, 뭇국을 끓일 땐 잘린 무 한 토막만 사곤 하지만 말이다.


   명절 밥상에 올라온 무생채를 씹으며 그렇게 성심 씨와 사진 씨를 떠올리자니, 차례가 뭐 별건가 싶었다. 무생채 한입에 성심 씨의 오독오독한 목소리를, 또 한입에 사진 씨의 뭉근한 단맛이 느껴지는 목소리를 떠올리면, 그게 추모예배(追慕禮拜, memorial service.죽은 사람을 생각하며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교회용어사전)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아직 살아서 무생채를 씹으며 맛을 느끼지만, 이제 볼 수 없는 그들은 이 맛을 영영 모르겠지. 그들은 천국에서 무엇을 하려나 하는 생각을 하며.


   다만, 그들과 함께 둘러앉았던 주홍빛이 도는 꽃 모양의 나무 밥상과 성심 씨가 시집올 때 해 왔다는 한국도자기 밥그릇과 국그릇, 각자 한 벌씩 정해져 있는 은수저가 쪼르륵 놓인 그 밥상을 떠올리는 것. 그때 주고받던 이야기, 중간중간에 코를 자극하던 뭇국의 구수한 향, 무생채의 감칠맛과 참기름을 잔뜩 넣어 고소하기까지 했던 그 맛까지 떠올리다 보면, 나는 어느새 성심 씨와 사진 씨를 모두 만나, 밥상을 나누고 있는 기분마저 들었다.


   그렇게 이번 연휴 시댁에서 먹은  끼를 무생채와 함께 성심 씨와 사진 씨를 기억하며 나만의 추모예배를 드렸다. 자세한 속내를 모르시지만 엄청나게 맛있게 무생채를 먹는 며느리를 보며, 어머님이 커다란  하나를  사셨다. 그리곤   가득 새로 만든 무생채를 집으로 돌아오는 손에 쥐여 주셨다.


   오늘도 간단히 라면 하나를 끓여 맞게 된 밥상에 무생채 한 접시만 올렸다. 무생채를 집어 라면과 후룩후룩 먹으며, 또 그들을 떠올린다. 저 한 통이 다 비워질 때까지 나만의 추모는 계속될지도 모르겠다. 오독오독한 성심 씨의 목소리와 달근한 사진 씨의 목소리를 그리는 일. 그러면서 이렇게 중얼거릴지도 모르겠다. 엄마, 글쎄, 작은외삼촌네 둘째가 결혼한다네. 이모네 막내는 취업했다더라. 난 벌써 마흔이 코앞이네. 아빠, 우리 나물이 발차기 좀 봐, 잘하지?


매거진의 이전글 모든 것을 폭 덮는 깻잎장아찌의 마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