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정연 Mar 06. 2021

시간은 거꾸로 흐르지 않는다

 


현재 우리 요양원 9층에서 최고령자는 성기선(가명) 어르신이다. 

그녀는 노환으로인해 여러 질환을 앓고 있지만 겉보기에는 비교적 양호한 상태였다. 몸은 다소 비대해도 키가 크고 또 얼굴이 아주 귀여운 인상의 동안이라서 누구도 그녀가 최고령자임을 가늠하지 못했다. 


패션에 관심이 많아서 하루에도 몇 차례씩 스스로 옷을 갈아입고, 몸에 열이 많은 탓에 아기자기하고 예쁜 손수건을 물에 적셔 항상 목에 걸고 있었다. 물론 아기같이 해맑은 웃음과 귀여운 표정에 비해 그녀의 성격은 거침없고 직설적이며 조금 사납기도 해서 ‘귀여운 악당’ 혹은 ‘싸움꾼’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아무튼 우리 요양원에 왔을 때 그녀는 워커를 이용해 충분히 보행이 가능했고, 인지 능력이 있어서 일상적인 대화 또한 무리 없이 진행할 수 있었다. 다만 귀가 어두워 TV 소리를 너무 크게 트는 탓에 다른 어르신들과 마찰이 있긴 했지만, 요양보호사들의 걱정을 덜어주는 모범적이고 안정적인 생활을 하고 있었다. 불과 얼마 전 예기치 않던 사고가 일어나기 전까지는.


겨울이 깊어지면서 예전과는 달리 그녀의 행동이 조금씩 굼뜨기 시작했다. 나이에 비해 훨씬 젊어 보이는 그녀의 겉모습 때문에 방심하고 있었던 탓일까. 그녀의 치매가 나날이 조금씩 깊어지고 있었던 것을 눈치채지 못했던 것이다. 

방에서 이동 변기를 사용하는 어르신들에게 부끄러운 줄 모른다며 대놓고 욕했던 그녀였다. 그런데 한밤중에도 화장실을 손수 다닐 만큼 자존심 강한 그녀가 자신의 방에 있는 이동 변기를 남몰래 이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바로 며칠 뒤 그녀는 밤에 도움을 요청하지 않고 혼자 변기로 걸어가던 중에 넘어져 고관절이 골절되는 큰 사고를 당했다. 가장 우려하던 일이 현실이 된 것이다. 고령의 어르신들에게 낙상은 곧 와상으로 가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출근길에 그녀가 병원에서 수술을 받았다는 얘기를 듣고 언제 다시 돌아올 수 있을지 생각하니 막연했다. 그녀가 과연 돌아올 수 있을까? 

쌍꺼풀 짙은 오목조목한 동그란 얼굴에 절로 미소를 짓게 되는 천진한 웃음을 만면에 가득 띄우던 그녀의 빈자리가 유독 크게 느껴졌다. 

그렇게 20여 일이 흘렀을까, 그녀는 예상보다 빨리 요양원으로 돌아왔다. 고령의 그녀에게는 너무 이른 퇴원이라고 생각했지만 수술은 비교적 잘 되었다고 했다. 그러나 좀 더 살이 찐 비대한 몸으로 돌아온 그녀에게는 무엇보다 전에 없던 커다란 욕창이 생겨서 더욱 큰 문제였다. 


와상 환자에게 생기기 쉬운 엉덩이 위쪽 전형적인 꼬리뼈 부근의 욕창이었다. 간병인이 체위 변경을 제대로 하지 않은 탓이겠지만 어떻게 병원에 입원해 있으면서 단기간에 그렇게 심한 욕창이 생길 수 있는지 이해되지 않았다.

(요양원 일을 그만둔 후 쉬는 동안 요양병원에서 잠시 실습할 기회가 있었는데, 왜 병원에서 짧은 시간에 그런 욕창이 생겼는지 환경을 알고 나니 조금은 이해가 됐다. 요양원에 비해 그곳에서는 너무 많은 어르신들을, 너무 적은 숫자의 간병인이나 요양보호사들이 돌보고 있었다. 안타깝게도 일일이 환자의 상태를 세밀하게 확인하기에는 일손이 지나치게 부족한 듯 보였다. 병원은 무엇보다 입원한 환자의 병을 고치는 데만 집중하는 것 같았다. 물론 모든 병원이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어르신을 케어하는 데 있어서 요양원의 환경과는 질적으로 차이가 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지극히 개인적인 소견이므로 오해가 있을 수도 있음을 양해 바란다.)


그녀는 전반적으로 좀 더 어눌해져 있었다. 밤에는 제대로 잠을 이루지 못했고, 섬망 증세도 보였다. 아무리 고령이라지만 사고 이전과 이후의 모습이 이렇게도 확연하게 달라질 수 있는 것인지 그저 안타까웠다.

욕창 치료는 역시나 쉽지 않았다. 이미 그 부분의 살이 썩어서 겉으로는 500원짜리 동전 크기만큼 구멍이 난 상태였지만 속은 몇 배나 더 큰 공간이 문드러져 텅 비어 있었다. 날마다 속을 긁어내고 치료하는 과정은 그녀에게도 또 그걸 지켜봐야 하는 나에게도 적지 않은 충격과 고통이었다. 욕창이 무섭다는 것을 들어는 봤지만 선임 요양보호사들도 이렇게 심한 경우를 보는 것은 흔한 일이 아니라고 혀를 내둘렀다.


지금 그녀는 조금씩 컨디션을 되찾아 가는 듯 보이지만 여전히 하루하루 위태롭다. 그래서인지 외국에 있는 자녀들이 서둘러 찾아오는 등 이미 이별을 준비하는 수순을 밟고 있다. 요양보호사들도 항상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특히 야근일 때는 자주 라운딩 하면서 그녀의 동태를 살핀다.

불과 한 달 전만 해도 멀쩡하게 생활했던 그녀이기에 이 모든 일들이 꿈만 같다. 


어르신들의 삶이란 이렇듯 하루하루가 전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우리에겐 일상이지만 그들에겐 언제든 마지막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된다.  

   

임종을 앞둔 어르신들을 모시는 특별실로 옮겨진 지 하루 만에 성기선 어르신은 결국 돌아가셨다. 야근하러 들어와서 낮에 특별실로 옮겨졌다는 그녀를 보러 갔을 때 그녀는 이미 의식이 불분명한 채로 거친 숨을 몰아쉬고 있었다. 동공은 풀렸고 기계적으로 숨을 내쉬는 입술에만 오로지 생명이 남아 있는 듯 보였다. 얼굴은 비교적 평화로웠으나 손과 발이 차가웠다. 순간 나는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누군가의 임종을 맞이한 경험이 없었지만, 왠지 그녀가 이 밤을 넘기기 힘들 거라는 생각을 했다.

일찍 맞이한 휴식 시간 탓에 수면실에서 잠깐 잠이 들었는데 공교롭게도 그녀가 돌아가시는 꿈을 꾸었고, 조금은 어수선한 소리에 잠에서 깨었다. 무거운 적막이 깔린 특별실에 불이 환하게 켜진 것을 본 순간 그녀가 이미 운명했다는 것을 직감할 수 있었다.


구십이 넘는 고령이었다고는 하지만, 불과 두 달 전 해맑게 웃으며 워커를 끌고 당당하고 꿋꿋하게 걸어 다니던 모습, 거실에 앉아 다른 어르신들과 담소 나누던 그녀가 아직도 기억 속에 선명한데 그녀는 너무 편안한 얼굴로 그곳에 누워 있었다. 

처음이었다. 생명을 잃은 사람을 그렇게 가까이서 보는 것이. 

그녀의 머리카락을 쓸어 넘기며 

“어르신 편히 가세요. 고통 없는 세상에서 이제는 편안히 쉬세요”

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왔다. 

요양원에 온 이후 유일하게 그녀를 자주 찾아와 수발했던, 그녀를 꼭 닮아서 무척이나 예뻤던 손녀가 울음을 삼키며 

“할머니... 잘 가. 잘 가요, 할머니...”

라며 마지막으로 그녀를 꼭 끌어안았다. 


구급대원들에 의해 단단한 천으로 휩싸인 그녀의 몸이 요양원 문을 빠져나갈 때 나는 이상하게도 지나칠 정도로 담담했다. 보호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돌아서면서도 마치 수십 번이나 겪었던 일인 양 조용히 다른 어르신들의 동태를 살폈다. 그러나 그 시간 이후 새벽까지 다시 잠을 이룰 수는 없었다. 


이 세상에 삶과 죽음을 가르는 경계가 있기는 한 걸까. 오늘도 맹렬히 살아있는 자들에게 죽음이란 과연 어떤 모습으로 언제 다가오는 것일까.


구십을 넘겼으니 누군가는 분명 ‘호상’이라고 할 테지만, 그녀가 누군가의 기억 속에서 최소한 아무렇지 않게, 너무 빨리 잊히지는 않았으면 좋겠다.

이전 12화 욕쟁이 할머니의 진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