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정호 Sep 14. 2021

왜관에서 폭동이 일어나다


조선은 고려 말 왜구의 노략질을 근절하기 위해 대마도를 정벌하고, 부산포와 내이포, 염포에 왜관을 설치했다. 그리고 이곳에 60명에 한해 일본인이 거주하며 문물을 교역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점차 왜관에 머무는 일본인의 수가 늘어나고, 거래하는 품목도 늘어나자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 그러나 무력 충돌을 원하지 않았던 조선 정부는 어느 정도의 문제는 눈감아주며 삼포를 불안하게 운영했다.

중종이 즉위하자 왜관에 대한 정책은 강경책으로 변경되었다. 조선은 삼포에 머물면서 농사짓는 일본인에게도 세금을 징수하고, 규정된 60명을 초과한 일본인에게는 추방령을 내렸다. 또한 일본 선박을 조사해 정해진 품목이 아닌 것을 거래할 경우 처벌했다. 그러자 왜관에 머무는 일본인들의 삶은 어려워졌다.


일본인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마도주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1510년(중종 5년) 4월, 대마도주 아들 소사(宗盛弘)를 대장으로 삼고 제포에 거주하던 오바리시와 야스코 등 4천~5천여 명의 일본인이 폭동을 일으켰다. 이들은 부산을 공격해 부산첨사 이우증을 죽인 뒤 제포를 공격했다. 제포에 주둔하던 조선군은 힘껏 싸웠으나 수적 열세를 이기지 못하고 패하면서 제포첨사 김세균이 납치되었다. 일본인은 부산과 제포에서의 승세를 몰아 웅천과 동래까지도 포위하고 공격했다.



조정은 황형을 좌도방어사로, 유담년을 우도방어사로 임명해 삼포에서 폭동을 일으킨 일본인을 진압하라 명했다. 정예병으로 구성된 조선군은 대마도주 소사를 비롯한 왜인 295명을 죽이고, 왜선 5척을 격침했다. 그러나 조선의 피해도 만만치 않았다. 백성 272명이 죽고 민가 796채가 불타는 등 조선 역시 막대한 손해를 입었다. 조정은 일본인이 앞으로 난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왜관에 거주하던 일본인을 모두 강제 추방했다. 그리고 난에서 죽은 일본인들의 무덤을 높이 쌓아 조선에 들어오는 일본인들에게 폭동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경고했다.


삼포왜란 이후 조선과 일본은 한동안 통교가 중단되었다. 조선과의 교역이 끊겨 생계가 어려워진 대마도주는 삼포왜란의 주모자를 처형하고, 포로로 끌고 갔던 조선인을 송환하면서 다시 통교를 요청했다. 조선도 너무 강경책으로만 나가면 일본이 다시 침략할 것을 우려해 1512년(중종 7년), 임신약조를 체결했다. 다만 징계의 의미로 삼포 중 내이포만 개항하고, 교역하는 선박과 인원도 줄였다. 그리고 삼포왜란을 진압한 황형 등 873명에게 논공행상했다.


매거진의 이전글 형에게 반기를 들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