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플리트 Sep 04. 2019

[시스루]영화 속 장면이 현실로, 바이오 메트릭스

U-Biz Consulting Div. 핫님


이미지 출처 : 영화 '킹스맨'

킹스맨이나 미션 임파서블 같은 영화에서 고도화된 생체 기술을 사용하는 장면을 종종 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어느 지점에 손바닥을 올려두자 스캔한 손바닥으로 사람을 인식하여 숨겨져 있던 공간이 나오기도 하고, 저 멀리 있는 사람의 걸음걸이 만으로 누구인지 신원을 확인하기도 합니다.

이런 일들은 더 이상 영화에서만 실현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 주변에 흔하게 볼 수 있는 일이 됐습니다. 


바이오메트릭스(Biometrics)
하나 이상의 고유한 신체적, 행동적 형질에 기반하여 사람을 인식하는 방식을 두루 가리킨다. 생체 인증, 바이오 인증, 생물 측정학, 바이오인식, 생체 인식, 생체 측량 등 다양한 용어로 번역된다. 바이오매트릭스에 쓰이는 신체적 특성으로는 지문, 홍채, 얼굴, 정맥 등이 있으며 행동적 특성으로는 목소리, 서명 등이 있다.                                                                                        -출처 : 위키백과



생체... 인증?

KB국민은행은 손바닥 정맥을 사용하면 통장·인감·비밀번호가 없어도 예금 지급이나 해약이 가능한 정맥 인증 서비스를 8월부터 선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정맥을 사용하여 인증하는 것이 낯설지만 이미 우리는 알게 모르게 수많은 생체 인증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지문인식뿐 아니라 홍채인식, 음성인식, 얼굴인식 등 수많은 생체 인증 서비스들이 대체 인증 수단으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Who? 생체 인증 서비스의 사용자

생체 인증 서비스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률 증대에 따라서 사용이 보편화되었습니다. 따라서 모바일 사용이 익숙한 젊은 밀레니얼 세대, 3040세대가 주 사용자입니다. 이런 사용자는 처음 지문인식이 나왔을 때도, 얼굴인식으로 인증방법이 바뀌었을 때도 쉽게 학습하며 각 인증방법에 따라 바뀌는 디바이스 모양에도 쉽게 적응합니다. 하지만 고령층에겐 좀 더 다른 얘기일 수 있죠? 2030 세대의 80%가 모바일 뱅킹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60대 이상 인구의 모바일 뱅킹 사용률은 18%에 머물러 있다고 하니, 다양해지는 인증수단이 그들의 모바일 뱅킹 이용에 진입장벽이 될 수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수많은 생체 인증 서비스의 현 위치

삼성이나 애플 모두 지문을 활용한 인증 방식을 보편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물론, 공항이나 은행에서도 많이 쓰이는 인증방식입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전면 또는 후면의 홈버튼에 손가락을 올려 인증하면 됩니다. 하지만 홈버튼이 물리적으로 망가지거나, 지문에 이물질이 묻어있는 상황이라면 지문 인증이 불가능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삼성은 홍채 인식을, 애플은 얼굴 인식 서비스를 출시하게 됩니다.

홍채와 얼굴 인증은 화면 앞부분의 카메라를 활용하여 인증하는 방식입니다. 개인의 얼굴 윤곽이나 홍채 위치를 인식하여 인증하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터치를 해야 하는 부분이 없어 지문인식보다 사용자 접근성이 높아지게 되었고, 또한 정확하고 빠른 인식으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가져다준 인증방식입니다. 홍채와 얼굴 인증의 탄생으로 텐센트에서 발표했던 2020년 UX 디자인 트렌드에서도 나온 것처럼 디바이스 화면이 홈버튼이 없는 풀 스크린 화면으로 발전되기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음성 인증 서비스는 지문이나 얼굴 인증과는 약간 다르게 사용자의 건강상태나 주변 환경(날씨, 위치 등)에 따라 인식률이 달라질 수 있는 인증서비스입니다. 때문에 현재의 음성 인증서비스는 비밀번호나 패턴 등 다른 인증 서비스와 함께 이중 인증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맥 인증은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사람의 손바닥의 정맥으로 인식하는 서비스입니다. 손바닥 피하조직 안에 있는 정맥의 패턴을 인식하여 인증하기 때문에 생체인증 가운데 보안성이 가장 높은 인증서비스입니다. 현재 정맥 서비스가 도입되어있는 시장은 금융뿐만이 아니라 공항에서도 제공되고 있고, 범죄자 식별이나 전자주민증을 발급해주는 공공기관, 환자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의료 분야에서도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생체 인증 서비스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정보이기 때문에 비밀번호보다 보안이 뛰어나고 따라서 점점 더 많은 곳에서 정맥 인증 서비스를 포함한 많은 생체 인증 서비스가 확산될 것으로 보입니다. 



From now on, Biometrics(바이오 메트릭스)!

생체인증은 신체나 행위 인증까지 발전하고 있습니다. 몸 전체를 얼굴, 몸통, 종아리, 손 등을 구분 인식해 사람이 걸을 때의 각 부분 사이의 길이, 속도, 각도 등을 통해 본인 확인을 할 수 있는 걷는 행위 인증이 나타나는가 하면, 고유의 필기 패턴을 인식하여 인증하는 방식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필체는 궤적, 속도, 필압의 변화 등의 버릇은 따라 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눈 깜빡임을 통한 인증 또한 사용자의 무의식적인 행동을 활용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은 인증 방법입니다. 




멀고 어렵게만 느껴질 수 있었던 생체 인증 방식이 더 큰 범위의 바이오 메트릭스(Biometrics)로 좀 더 정교하고, 좀 더 사용하기 쉬운 인증방법들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분야는 우리의 삶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있습니다. 가장 쉽고 빠르게 느낄 수 있는 변화는 디바이스의 변화로 나타나고 있고, 우리 삶을 둘러싼 공공기관, 의료시설, 금융기관 등 보안이 필요한 곳에 점점 더 발전된 모습으로 나오게 될 것입니다.





참고링크

은행에서 공항으로 영역 넓혀가는 '생체 인증'

"손바닥 보여주세요" …생체인증 뜬다

고령자 금융소외 없도록…은행들, 디지털 접근성 높인다

국민은행, 금융권 최초 지점에 정맥인증 도입

디지털금융 시대…노인은 서럽다


-


작가의 이전글 '현금 없는 사회'와 '아이폰 도둑'의 상관관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