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한 Feb 02. 2022

하도·낙서와 상생·상극 ②

4장. 메타 명리의 변화원리② : 사상(四象)·오행(五行)

하도·낙서의 그림에 나타난 수리와 방위에 따른 십간을 오행으로 압축하여 배치하면 하도는 왼쪽 그림, 낙서는 오른쪽 그림처럼 배치됩니다. 시공을 초월하여 영원불변하는 절대계(무극·태극) 자체에서는 오행의 운동성과 관계성을 나타내는 상생·상극이 일어날 리 없고(하도), 현상계의 제약에 갇힌 사상(四象)이 초월적인 절대계(황극, 낙서의 土)를 동일선상에서 생하거나 극하는 일도 일어날 수 없습니다(낙서). 그러므로 위의 두 그림은 후천 오행의 보편법칙으로 드러난 상생·상극의 운동성과 관계성을 선천으로 거슬러 올라 임의로 적용해 살펴본 것입니다(후천→선천).


하도 자체에 상생의 규칙성이 내재하고, 낙서 자체에 상극의 규칙성이 내재해서 후천 오행의 상생·상극 보편법칙이 도출된 것이 아니라는 말이죠. 선천의 근본원리를 직관하면서 후천의 보편법칙을 연역해 정보를 얻기도 하지만, 후천의 보편법칙을 추론하여 선천의 근본원리를 귀납해볼 때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정보도 있기에 후천에서 선천으로 거꾸로 적용해보는 것입니다.


후천 오행의 상생·상극 관계를 적용하면, 하도에는 상생의 규칙성이 순행하는 방향으로 연속해서 드러나고, 낙서에는 상극의 규칙성이 역행하는 방향으로 연속해서 드러납니다. 하도에서 절대계 자체의 선천 오행은 완전하게 공존하기에 ‘후천의 관점’에서는 상생이 순행으로 편하고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모습처럼 읽힙니다. 낙서에서 절대계의 영원불변한 황극(토土)이 현상계의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상을 경영하기에 ‘후천의 관점’에서는 상극이 역행으로 강제로 힘을 들이며 일어나는 모습처럼 읽힙니다.


절대계의 평화로운 무극·태극에 비해 절대계에서 현상계를 향해 경영하는 황극은 후천의 입장에서 무진 애를 쓰며 공들이는 모습처럼 보인다는 것이죠. 물론 이것은 후천의 관점을 선천에 적용해본 인간의 눈으로 보이는 모습이지 전지전능한 경영의 하느님(황극)이 힘에 부친다거나 피곤을 느끼는 일 따위는 없습니다. 하도·낙서의 오행 배치에 후천 오행의 상생·상극 작용을 거꾸로 대입하면서 얻게 된 정보란 절대계 자체의 환경(하도)과 현상계를 경영하는 절대계의 환경(낙서)을 인간적인 느낌으로 비교해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절대계만을 나타내는 하도와 절대계가 현상계에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낙서를 같은 위계에서 보는 건 오류가 있지만, ‘후천의 관점’에서 생·극 관계도 적용해본 마당에 하도와 낙서를 합쳐보지 못할 이유도 없습니다. 물론 이것도 인간적인 관점에서 정보를 캐내기 위한 일종의 시도입니다.

하도·낙서의 생·극을 동시에 한 그림으로 나타내면 위와 같습니다. 하도상생도와 낙서상극도에서 수목토水木土는 위치가 같고 화금火金은 위치가 달라집니다. 하도·낙서 생·극에서 화금火金의 위치가 서로 교환되는 이치를 ‘금화교역(金火交易)’이라고 합니다. 금화교역에서 남방·여름(위쪽)에는 화火가 더는 팽창·분열하지 못하도록 금金이 수렴지기로 억제해줍니다.


금金의 음기(형태)로 화火의 양기(에너지)를 포장하는 포양包陽 작용으로 결실이 알차게 무르익습니다. 서방·가을(오른쪽)에는 아직 태양의 열기(火)가 남아있어 영양가 높은 열매(火) 안에서 씨앗(金)이 성숙해가는 이치를 설명합니다. 남방의 금金은 열매의 껍질, 남방과 서방의 화火는 열매의 속살, 서방의 금金은 열매의 씨앗으로 비유해보면 결실이 이뤄지는 원리를 한층 자세하게 보여줍니다.


하도(무극·태극)·낙서(황극)를 합쳐보면서 새로운 개념으로 발견한 ‘금화교역’의 핵심은 여름~가을의 성숙과 결실입니다. 결국 절대계 삼극三極이 (인간적인 관점으로 볼 때) 특별히 신경 쓰는 공통적인 목적은 ‘추수秋收’에 있다고 추론해볼 수 있습니다. 하도와 낙서를 합쳐보아도 변치 않는 겨울~봄의 정보와 생명 탄생은 우주의 당연한 기본값이지만, 오행 작용이 복잡해지는 ‘추수’의 경우 인간의 개입 여하에 따라 얼마든지 최선과 최악이 달라지는 의지와 노력의 산물이라고 말해주는 듯합니다.


식물이 열매를 맺는 건 가장 낮은 차원의 추수이고, ‘인간 농사’를 지어 영적 각성과 성숙을 이끌고, 나아가 그러한 인간들이 모여 고등 문명과 지상천국을 일궈내는 게 삼극이 그리는 궁극적인 목적일 것입니다. 하느님 아버지와 누구보다 가까이 지낸 하느님의 아들, 예수님께서도 그러한 하느님의 목적에 대해 절실히 알고 계셨습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시길 “추수할 것은 많은데 일꾼(군자)이 적으니, 추수하는 주인(삼극)에게 밭으로 일꾼들을 보내 달라고 간청하라!”라고 하셨다. (『도마복음』 73절)1)


화火와 금金의 관계는 다른 오행 관계보다 일관성이 떨어집니다. 사계절 상으로는 여름에서 가을로 순행하지만(生), 후천 오행 관계에서는 불기운이 쇠기운을 제어합니다(克). 선천 오행에서는 토土가 중앙에 있지만, 후천 오행에서는 토土가 화火와 금金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토土의 위치변화로 생기는 차이입니다.



<참고자료>

1)윤홍식 지음 『도마복음, 예수의 숨겨진 가르침』 봉황동래, 2021 p.162






매거진의 이전글 하도·낙서와 상생·상극 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