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한 Feb 02. 2022

하도·낙서와 상생·상극 ③

4장. 메타 명리의 변화원리② : 사상(四象)·오행(五行)

선천 오행 : 상생상극의 이치 / 후천 오행 : 상생상극의 작용

선천 오행에서는 음양이 하나로 통합되어 있기에 갈등과 마찰 없이 평화롭게 공존합니다. 다만 현상계에서 관찰되는 보편법칙에 따라 ‘후천 오행 상생상극의 근본원리’도 절대계(선천 오행)에 모두 내재한다고 귀납적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절대계가 근본원리를 품고 있기에 현상계에서 그러한 근본원리가 보편법칙으로 작동되는 것입니다.


영원불변으로 하나로 통합된 절대계의 선천 오행 자체는 본래 상생·상극 관계가 일어나지 않지만, 인간의 관점에서 선천 오행에 내재한 상생·상극 관계를 추론해보면 후천 오행의 상생·상극과 다른 양상이 드러납니다. 선천 오행에서는 중심의 토土(무극)을 배제하고 상생·상극이 일어난다고 가정해야겠죠. 이렇게 볼 때 후천 오행과 달리 선천 오행의 상생에서는 여름이 가을로 향하는 것처럼 화생금(火生金)이라는 이치가 드러납니다. 선천 오행의 상극에서도 여름과 겨울이, 봄과 가을이 상반되는 특징을 가진 것처럼 수화水火와 목금木金이 정확히 대칭하면서 완벽한 균형을 이루며 서로 상대하는 이치가 드러납니다.


선천 오행 자체는 ‘하늘의 뜻’을 말해준다면, 선천 오행에 내재한 상생·상극의 이치는 인간의 정신과 달리 하늘의 뜻에 맹목적으로 순종하는 ‘자연의 질서’에 잘 드러납니다. 선천 오행 자체는 하늘의 뜻을 다루는 6장 「천본(天本·선천 십간)」으로, 선천 오행의 상생·상극 이치는 자연의 질서를 다루는 8장 「지지(地支·후천 십이지)」의 논리로 이어집니다.


후천 오행은 상극 관계가 일방적으로 꼬리에 꼬리를 물면서 순환합니다. 생각·감정·오감으로 이루어지는 현상계에서는 상극 관계에서 이기고 지는 강약의 우열이 명백하게 그려집니다. 후천 오행에서는 토土가 이미 분열된 음양의 세계에 뛰어 들어와 동참하기에 음양의 완벽한 균형이 깨진 탓입니다. 현상계에서는 토土도 음양의 영향을 받으면서 오행 생·극을 제한적으로만 균형 잡고 언제든 치우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후천 오행의 이치는 자유의지를 지녀 필연적으로 불완전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정신’에 잘 적용됩니다. 그래서 후천 오행의 이치는 7장에서 다루게 될 「인간(人干·후천 십간)」의 논리로 이어집니다.


현상계는 에고(土)의 의식적이고 적극적인 개입, 경영 작용이 중요합니다. 후천 오행의 중심에 내재한 선천 오행(인의예지신)을 존재 기반으로 두고 인식·활용할 때 상황에 맞게 중도中道를 지키고 조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 선천 오행이 적절히 개입하면 현상계에서 일을 처리할 때 후천 오행이 원만하게 상생하여 모두에게 이로운 결실을 잘 이뤄갈 것입니다(火生土生金). 반면 무지와 아집에 의해 선천 오행의 존재 기반을 잃고 가려지면 후천 오행이 치우치게 작용하여 결실 자체를 망치거나 누군가에게 해를 끼치는 결실을 이루기도 합니다(火克金).


겨울에서 봄으로 갈 때는 모든 생명이 알아서 자라나게끔 자연이 차별 없이 다 키워줍니다. 여름에서 가을로 갈 때는 주체적인 의지와 능력을 통해 수확을 일궈내야 하며 알곡과 쭉정이를 냉정하게 분별합니다. 때가 되면 모두에게 추수의 기회가 찾아오지만, 뚜렷한 목적의식으로 씨를 뿌리고 밭을 일군 자만이 양질의 수확을 거둘 수 있죠.


자연(천황·지황)은 늘 무조건 성실하게 운행하지만, 욕망을 자유롭게 부리는 인간(개체성으로 분산된 인황)은 그만큼 흐트러지기도 쉽습니다. 자유의지는 우주가 인간에게 부여한 특권이자 딜레마입니다. 사람이 사람으로 태어났으면 사람답게 살기 위해 끝없이 공부하고 수행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후천 오행에서 토土는 비록 완전한 중심 자리에서 물러나 현상계의 불완전하게 치우친 중심이지만, 여전히 오행 중 가장 중요한 위치와 역할을 차지합니다. 후천 오행의 상생·상극에서도 특히 토土가 개입한 △화토금火土金(상생)과 △목토수木土水(상극)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목토수木土水 상극 삼각형이 ‘창조’의 본령이라면, △화토금火土金 상생 삼각형은 ‘결실’의 본령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후천 오행에서 상극 삼각형 △목토수木土水와 상생 삼각형 △화토금火土金이 후천 오행의 본체·작용을 균형 잡아주는 요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창조의 삼각형(△木土水)이 후천 오행 전체의 균형을 잡아주는 기둥(척추)이라면, 결실의 삼각형(△火土金)은 후천 오행 특유의 개성을 나타내는 지붕(얼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창조의 삼각형처럼 시야를 넓게 두고 큰 그림을 그리면서 설계할 때 창조가 이뤄지고, 결실의 삼각형처럼 눈앞의 문제에 몰입하면서 결실이 이뤄집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하도·낙서와 상생·상극 ②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