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한 Feb 07. 2022

후천 오행으로 보는 양심과 욕심의 작용 ①

4장. 메타 명리의 변화원리② : 사상(四象)·오행(五行)



유교의 성인 맹자는 양심(선천 오행)의 근본원리에 갖춰진 인의예지(仁義禮智)가 현상계에서 그대로 우러나는 것을 ‘사단(四端)’이라고 보았습니다.


사랑·정의·예절·지혜는 바깥으로부터 말미암아 나에게 녹아든 것이 아니다. 내가 본래부터 가지고 있던 것이나, 다만 생각하지 않았을 뿐이다. 그래서 '구하면 얻고, 내버려 두면 잃어버린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맹자』 「고자告子 상」)1)
“군자가 본성으로 삼는 ‘인의예지仁義禮智’는 ‘마음’에 뿌리를 둔 것으로, 그 형색을 나타냄에, 얼굴에서는 훤하게 드러나고, 등에서는 풍성하게 드러나며, 사지四肢에서는 실제로 시행된다. 사지가 말을 하지 않아도 남들이 깨닫게 된다.”라고 하였다. (『맹자』 「진심盡心 상」)2)
“측은지심은 ‘사랑’(仁)의 싹이요, 수오지심은 ‘정의’(義)의 싹이요, 사양지심은 ‘예절’(禮)의 싹이요, 시비지심은 ‘지혜’(智)의 싹이다. 사람이 이 4가지 싹(4단)을 가지고 있는 것은, 팔다리의 4지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같다. … 4단이 나에게 있는 것을 넓히고 채워 줄(확충擴充) 줄 알면, 불이 처음 타오르며, 샘이 처음 솟아 나오는 것과 같을 것이니, 진실로 이를 채울 수 있다면 족히 4해를 보존할 것이요, 진실로 이를 채우지 못한다면 부모님도 모실 수 없을 것이다.” (『맹자』 「공손추公孫丑 상」)3)


사단은 네 가지 단서라는 뜻으로 절대계의 양심이 현상계에서 싹처럼 터져 나온다고 본 것이죠. 인(仁,사랑)은 남을 나처럼 여겨 연민하고 사랑하는 ‘측은지심(惻隱之心)’, 의(義,정의)는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자 하는 ‘수오지심(羞惡之心)’, 예(禮,예절)는 겸손하게 조화를 이루는 ‘사양지심(辭讓之心)’, 지(智,지혜)는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시비지심(是非之心)’으로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하나 생략된 신(信,성실)은 늘 정성스럽게 사단을 발현하여 신뢰를 주는 ‘성실지심(誠實之心)’으로 나타납니다.


사람의 마음은 자연과 달리 복잡미묘해서 후천 오행의 상생·상극 흐름에 일방적으로 지배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상생·상극을 마음에 그대로 대입해서 적용하기보다는 토土를 기준으로 후천 오행의 전체적인 구조에 맞춰 마음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자료>

1)윤홍식 지음 『대학, 인간의 길을 열다』 봉황동래, 2017 p.45

2)윤홍식 지음 『대학, 인간의 길을 열다』 봉황동래, 2017 p.393)윤홍식 지음 『대학, 인간의 길을 열다』 봉황동래, 2017 p.45





매거진의 이전글 후천 오행 상생·상극의 예 ③식물의 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