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UX DAYS SEOUL May 19. 2021

무주의 맹시

Inattentional blindness

시야에 있지만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 사물을 간과해 버리는 현상을 말한다

하나의 사물에 집중하는 등 특정 사실과 상황, 태스크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는 정도가 지나치게 높을 때는 예측하지 못한 변화나 정보를 간과하기 쉬운 경향이 된다.


이 사상은 1992년 심리학자 Arien Mack박사와 Irvin Rock박사가 실시한 지각과 주의의 실험 중에 관찰된 현상에서 발견되었다. 1999년 하버드 대학의 Daniel Simons박사와 Christopher Chabris박사가 실시한 “보이지 않는 고릴라 실험"에 의해 명확히 입증되었다.


Daniel Simons박사와 Christopher Chabris박사


“보이지 않는 고릴라 실험"은 다음의 내용과 같다.


피험자에게는 하얀 셔츠를 입은 사람과 검은 셔츠를 입은 사람이 농구공을 패스하는 짧은 비디오 영상을 보여주고 하얀 셔츠를 입은 사람의 패스 횟수를 세도록 지시한다.


실험 종료 후, 피험자에게 몇 가지 질문을 하는데 그중의 하나가 “패스하는 사람들 이외에 무엇인가 발견한 점이 있나요?”이다. 영상에서는 고릴라 인형 옷을 입은 사람이 패스하는 사람들 사이로 지나가는데 42%의 피험자가 고릴라 존재를 알지 못했다.

실험 영상 : “보이지 않는 고릴라 실험"

동영상을 보시면 알겠지만 패스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고릴라는 화면에 화면 오른쪽에서 등장해 화면 중앙으로 와서 가슴을 친 뒤 왼쪽으로 사라진다.


대니얼 시몬스 박사는, 우리는 대개 보일 것으로 예상하는 것을 보고 있다며 한 가지 사물에 주의가 필요할수록 시야에 들어와 있는 다른 사물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위의 박사의 말을 뒷받침하는 것으로서 고릴라 실험에서 다음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흰 셔츠를 입은 사람들의 패스를 세어본 피험자 중 고릴라를 봤다고 답한 사람이 42%였던 반면 검은 셔츠를 입은 사람들의 패스를 세어본 경우는 83%가 고릴라를 봤다고 답했다는 것.


여기서 검은 고릴라의 통과라는 예상치 못한 사건과 검은 셔츠의 사람들을 주시하(패스를 세는)는 태스크 사이에는 "검다"는 유사성이 있기 때문에 발견할 수 있다는 것도 밝혀졌다.


무주의 맹시를 일으키는 요인은 시각뿐만 아니다

인간의 뇌는 들어오는 정보의 모든 것을 한꺼번에 처리할 수 없다. 이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뇌가 다양한 감각 입력을 선택하고 버리기 때문이다.


입력되는 정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시각과 청각이다. 앞서 말한 실험에서는 시각이 주의력을 빼앗는 것이었지만 청각 또한 같은 요소를 가지고 있다.


유타대 연구팀이 2003년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차량 운전 중 핸즈프리의 휴대전화를 이용해 대화를 나누다가도 무주의 맹시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 입증됐다.


슈미 레이터를 이용해 참가자들은 운전만 2km 주행하는 것을 3번, 핸즈프리로 대화하면서 운전해 같은 거리를 주행하는 것을 3번 등 총 6번 운전했다.


이 주행 중에 게시되어 있는 광고판을 보았는지, 보지 않았는지를 집계했는데,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

광고판을 '보았다'라고 대답한 비율.
운전만 하는 경우 : 65%
운전 + 핸즈프리 회화의 경우: 24%

또한 실험에서 아이트래커를 사용하여 확인했기에 광고판이 시야에 들어왔는지 어떤지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논문 “Cell-Phone–Induced Driver Distraction”


무주의 맹시를 의식하고 정보를 전하자

하나의 정보·태스크의 부담이 많으면, 다른 것을 간과해 버린다. 그 때문에 기사나 web 사이트 등 정보를 많이 하지 않고 유저가 내용의 간과하는 일이 일어나지 않게, 정말로 필요한 정보화를 정리하고 나서 구성을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를 들면, Apple의 web 사이트에서는 유저가 보고 싶은 내용을 픽업 해 유저가 보기 쉽도록 설계되어 있다.


Apple Store

유저는 언제라도 1개의 콘텐츠에 포커스 할 수 있기 때문에 부담이 줄어들어 사이트 내의 정보의 변화에 인식할 수 있고 정보를 놓치는 점을 경감할 수 있다.

작가의 이전글 사회적컨텍스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