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영화인 Z Jan 07. 2021

영화만 보는 똥 멍청이

책도 보는 바보


한 분야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집요하게 한 우물만 파고들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있다. 


내가 그랬다. 


불과 몇 달 전까지 나는 책과 영화만 보는 바보였다. 

왓챠에서 인정하는 상위 0.01%에 꼽히는 '베테랑 영화인'이었지만

다양한 걸 접해야 한다는 시류를 느끼고 내가 한 일은

내 취향과 맞지 않거나 지겹다고 보지 않았던 영화와 책을 보는 거였다. 


그것도 고전 문학과 흑백 무성 영화를 말이다. 

<국가의 탄생>은 여전히 못 봐주겠고, 

<군주론>는 권위주의의 끝판왕이었다.


한 사람이 전문가가 되기 위해선 꾸준한 파고듬이 있어야 하겠지만

10년을 한 분야에서 일한 나에게 필요한 건 영화의 역사나 이야기의 원형이 아니라 

내 목소리를 발견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점이었다. 

숨기고 싶었던 게 너무 많아 나를 돌아볼 수가 없었다. 

그러니 내가 쓰는 글들은 어딘지 허황되거나,

섣부른 일반화로 인해 쉽게 누군가에게 상처가 되는 것들이었다. 

내 목소리를 발견하는 걸 뒤로 한채 여전히 남들이 쌓아 올린 행적의 뒤꽁무니만 따라다녔다. 

그게 안전해 보였고, 그래야만 할 것 같았고, 권위에 기대고 싶었다. 


정작 부족했던 건 자신에 대한 무지였지만,

불안한 마음에 엉뚱한 곳에서 헤매면서 답을 찾았다. 


온갖 줄임말을 못 알아들을 때면 

오히려 미디어의 홍수에서 벗어나서 잘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 

다들 그 속에서 파도도 타며 신나게 즐길 때 

고인물에서 고고하게 떠 있으면 어느 날 누가 알아봐 줄 거라고 기대했다. 

그냥 저 유튜브 안 봐요, 인스타 안 해요, 인터넷 뉴스 안 봐요. 

그렇게 신문명의 홍수에 힘껏 두 눈과 두 귀를 닫고 살았다. 


10년 전 김난도 교수가 쓴 '아프니까 청춘이다'를 보고, 내 상황의 불합리함에 안도했다. 

그렇게 10년을 보내고 돌아보니 엄청나게 원망스러웠다. 

하지만 그는 꾸준히 트렌트를 읽었을 뿐 무조건 자신을 따르라고 말한 건 아니었다. 

10년이 지난 지금 그가 내놓은 '2021 트렌드 코리아'를 보며 격하게 흔들렸다. 

내가 우직하게 한 길만 한눈팔지 않고 가는 사이에 세상이 엄청나게 변했다고 말한다. 


간혹 한 집단이나 사람에게 수년간 억압을 당하는 누군가에 관한 소식을 들을 때면

사람이 어떻게 그렇게 모를 수 있지? 그랬는데, 

내가 그러고 있었다. 


집에 티브이가 없기도 했지만 

인터넷 뉴스마저 안 보게 된 계기는 세월호 사건이었다.

각종 오디션 프로그램이 유행을 하면서 더 멀리했다. 

굳이 찾아보지 않으니 대중매체가 어떻게 변해가고 있는지 몰랐다. 

어쩌면 그게 더 지적이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그동안 난 뭘 위해서 대학생 때도 보지 않았던 흑백영화와 고전작품을 꾸역꾸역 보면서 시간을 보냈을까. 

그걸 내 시선을 간직한 채 보았다면 메타분석의 도구가 되었겠지만, 


'영화사를 바꾼 영화들'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서울대학교 학생을 위한 권장도서 100'


과 같은 타이틀 아래 있으니, 제대로 된 비평의지를 발휘하지도 못했다. 


모든 트렌드의 흐름을 따라가는 건 정말 피곤한 일이다.

어떨 땐 그냥 누군가 다 정해줬으면 하는 유혹을 느낀다. 

그 틈을 공략해서 눈 밝은 누군가가 정해주는 구독 서비스 또한 발전하고 있었다. 


하지만 누군가 나 대신 무언가를 결정했을 때,

나는 나에 대한 통제권을 넘기는 것이다. 

그러니 수 없이 이유도 모른 채 흔들리고 아파하고 괴로웠을 것이다. 

이제는 나를 드러내고, 나만의 시각을 발견할 때이다. 


















이전 21화 혼자가 편하다는 착각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