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동은WhtDrgon Jul 29. 2024

BM북 제1장 BM, 캔버스, 산업 예시

김동은WhtDrgon. 

제1장 서문: BM의 정의와 중요성


 제가 이 글을 작성하게 된 환경에서는 BM이라는 용어는 비즈니스 캔버스나 사업기획, 마케팅, 투자, 경영의 의미보다는 콘텐츠의 과금모델과 수익모델에 가깝습니다. 사실 과금모델과 수익모델은 비즈니스 모델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긴 합니다.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의 과금모델과 수익모델은 단순히 이미 성공한 앱이나 게임의 결제 방식을 모방하는 것만이 아니라, 비즈니스 모델의 전체적인 틀 안에서 고객의 니즈를 충족하고, 지속 가능한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BM 설계는 BM이 비즈니스모델을 의미하는 만큼 아무리 수익/과금 모델이라고 할지라도 비즈니스 모델과의 관계성을 뗄 수 없을 것입니다. 물론 모바일 RPG나 방치형 게임 등의 설계에서는 아마 1위를 하는 게임의 모델을 분석하여 벤치마킹하거나 추출하려는 목적일 수 있지만, 다른 디지털 콘텐츠들이 게임의 영역으로 빠르게 진입하는 것처럼, 게임 역시 게이머들의 장르 귀속적인 영역에서 이른바 일반인 영역으로 확장될 것이기 때문에 게임 바깥의 개념들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적응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비즈니스 모델(BM)은 기업이 가치를 창출, 전달, 확보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적 도구입니다. 다양한 정의가 존재하지만, 핵심적으로 고객, 가치 제안, 수익 로직을 포함합니다. 비즈니스 모델은 9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업의 가치 창출 메커니즘을 설명합니다. 비즈니스 전략과는 상호 보완적 관계에 있으며, 전략의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틀을 제공합니다. 비즈니스 모델 혁신은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중요하며,  기업의 적응력과 혁신 능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비즈니스 모델과 과금/수익모델의 연관성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이 가치를 창출하고 전달하며 확보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고객 세그먼트, 가치 제안, 채널, 고객 관계, 수익원, 핵심 자원, 핵심 활동, 핵심 파트너십, 비용 구조의 9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는 서로 상호작용하며 기업의 가치 창출 메커니즘을 형성합니다. 과금모델과 수익모델은 이 비즈니스 모델의 중요한 부분으로,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치를 통해 어떻게 수익을 창출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합니다.


과금모델과 수익모델의 중요성

과금모델과 수익모델은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의 경제적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프리미엄 모델, 구독 모델, 인앱 구매, 광고 기반 모델, 하이브리드 모델 등 다양한 과금모델과 수익모델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하고,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며,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이 수익을 통해 회사가 유지되니 중요성은 더 강조할 필요가 없겠죠. 


비즈니스 모델의 필요성

비즈니스 모델은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거나 새로운 모델을 창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이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시장 환경에 대응하며,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비즈니스 모델 혁신은 가치 제안의 혁신, 가치 창출 및 전달의 혁신, 수익 모델의 혁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금/수익모델의 역사와 발전

과금모델과 수익모델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현재와 미래의 트렌드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입니다. 전통적인 상거래 모델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과금/수익모델로의 발전 과정은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와 기술 혁신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습니다. 초기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은 광고 기반의 무료 서비스에서 출발하여, 모바일 혁명과 함께 인앱 구매와 구독 모델이 등장하였고, 현재는 프리미엄, 구독, 인앱 구매, 광고 기반 모델이 혼합된 복합 모델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글의 구성 요소

본 글은 비즈니스 모델의 개념, 과금모델과 수익모델, 비즈니스 모델과 과금/수익모델의 상호 연관성, 과금/수익모델의 역사와 발전 등을 다룰 것입니다. 꼼꼼하게 기본적인 것들을 언급하며 독자들이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의 수익모델과 과금모델을 소개합니다. 독자들은 비즈니스 모델의 기본 개념과 과금/수익모델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의 성공적인 BM을 설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다루는 콘텐츠가 이미 마니아나 게이머나 시청자 같은 고객유형을 확보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전통적 과금모델과 수익모델은 신사업이냐에 관계없이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입니다.  적당한 과금 기획을 목표로 했다 하더라도 기왕 시작한 이상 비즈니스 전략을 구체화하고 기획에 반영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과금모델과 수익모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비즈니스 모델과 마케팅, 경영, 시장의 기본 개념을 함께 학습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이 글은 커머스의 정의, 비즈니스 모델, 비즈니스 캔버스, 핵심 마케팅, 사업, 경영의 용어와 개념, 과거 상거래의 BM의 발달 과정을 모두 다루어, 독자들이 포괄적이고 실질적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저 역시 게임 기획자 출신으로서 브랜드, 아이돌, 예술, 게임 분야의 융복합의 영역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제가 느끼는 필요성을 여러분도 느끼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책이 제공하는 지식과 인사이트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의 과금모델과 수익모델을 기획하는 초급 기획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생각보다 다루는 범위가 넓어지더라도 이 책이 MBA 교재는 아니기 때문에 BM 기획을 위한 폭넓은 이해와 지식을 얻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차분히 함께 공부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1.1 비즈니스 모델의 개념


1.1.1 비즈니스 모델의 다양한 정의 소개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이 가치를 창출, 전달, 확보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적 도구로서, 다양한 정의와 접근법이 존재합니다. 각 정의는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 요소와 그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기업이 어떻게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수익을 창출하는지를 설명합니다. 다음은 몇 가지 주요한 비즈니스 모델의 정의입니다.


Peter Drucker의 정의: 고객, 가치, 수익 로직

경영학의 대가 피터 드러커(Peter Drucker)는 비즈니스 모델을 "고객, 가치, 수익 로직"으로 정의했습니다. 그의 정의는 기업이 누구에게 가치를 제공하는지,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수익을 창출하는지를 중심으로 합니다. 드러커의 정의는 비즈니스 모델의 본질을 단순하고 명확하게 설명하며, 기업의 모든 활동이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수익을 얻는 과정임을 강조합니다.  

고객: 기업이 타깃으로 하는 고객 세그먼트.  

가치: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고 니즈를 충족시키는 제품이나 서비스.  

수익 로직: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한 대가로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  


Osterwalder & Pigneur의 비즈니스 모델 정의: 조직의 가치 창출, 전달, 포착 방식

알렉산더 오스터왈더(Alexander Osterwalder)와 이브 피그누어(Yves Pigneur)는 비즈니스 모델을 "조직의 가치 창출, 전달, 포착 방식"으로 정의했습니다. 이들은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Business Model Canvas)를 개발하여, 기업이 어떻게 가치를 창출하고 전달하며 포착하는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했습니다. 이 정의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성하는 9가지 핵심 요소를 통해 기업의 운영 방식을 체계적으로 설명합니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9가지 핵심 요소  

    고객 세그먼트 (Customer Segments): 기업이 타깃으로 하는 고객군을 정의합니다. 다양한 고객 그룹의 니즈와 특성에 따라 세분화된 고객 세그먼트를 설정합니다.  

    가치 제안 (Value Propositions): 고객 문제를 해결하고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를 설명합니다. 이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주요 이점과 차별화된 특성을 포함합니다.  

    채널 (Channels): 기업이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경로와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는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접하고 구매하는 모든 접점을 포함합니다.  

    고객 관계 (Customer Relationships): 고객과의 상호작용 방식을 정의합니다. 이는 고객 유치, 유지, 확대를 위한 전략과 활동을 포함합니다.  

    수익원 (Revenue Streams): 기업이 가치를 제공한 대가로 얻는 수익의 흐름을 설명합니다. 이는 제품 판매, 구독료, 사용료 등 다양한 수익 모델을 포함합니다.  

    핵심 자원 (Key Resources): 비즈니스 모델이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자산을 정의합니다. 이는 인적 자원, 물적 자원, 지적 자원 등을 포함합니다.  

    핵심 활동 (Key Activities): 가치 제안을 실현하고,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주요 활동을 설명합니다.  

    핵심 파트너십 (Key Partnerships): 비즈니스 모델 운영을 지원하는 외부 협력 관계를 정의합니다. 이는 공급업체, 파트너사, 제휴 관계 등을 포함합니다.  

    비용 구조 (Cost Structure):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는 데 드는 주요 비용 항목을 설명합니다. 이는 고정비, 변동비, 규모의 경제 등을 포함합니다.  


가치 창출, 전달, 포착 방식의 설명  

    가치 창출 (Value Creation): 제품이나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고,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모든 활동을 포함합니다.  

    가치 전달 (Value Delivery):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채널과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는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접하고, 구매하고, 사용하는 모든 과정을 포함합니다.  

    가치 포착 (Value Capture): 제공한 가치에 대한 대가로 수익을 얻는 방식입니다. 이는 수익원과 비용 구조를 통해 기업이 어떻게 경제적 가치를 확보하는지를 설명합니다.  


Teece의 정의: 고객 가치 제공과 지불 유도 메커니즘

데이비드 티스(David Teece)는 비즈니스 모델을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지불을 유도하는 메커니즘"으로 정의했습니다. 그의 정의는 기업이 어떻게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그 가치를 통해 고객이 지불하도록 유도하는지에 중점을 둡니다. 티스의 정의는 비즈니스 모델이 단순히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고 그 대가로 수익을 창출하는 복잡한 시스템임을 강조합니다.  

    고객 가치 제공: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고 만족을 제공하는 방식.  

    지불 유도 메커니즘: 고객이 가치를 인식하고 지불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Johnson, Christensen & Kagermann의 정의: 상호 연관된 요소들의 시스템

 마크 존슨(Mark Johnson), 클레이튼 크리스텐슨(Clayton Christensen), 헨리 카게르만(Henning Kagermann)은 비즈니스 모델을 "상호 연관된 요소들의 시스템"으로 정의했습니다. 이 정의는 비즈니스 모델이 단일 요소가 아닌, 여러 요소들이 상호작용하여 기업의 가치를 창출하는 복잡한 시스템임을 강조합니다. 각 요소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전체 시스템의 일부로 작용합니다.  

    상호 연관된 요소들: 고객 세그먼트, 가치 제안, 채널, 고객 관계, 수익원, 핵심 자원, 핵심 활동, 핵심 파트너십, 비용 구조.  

    시스템: 각 요소들이 상호작용하여 기업의 가치를 창출하고 전달하는 방식.  


1.1.2 가치 제안, 가치 창출, 가치 전달, 가치 확보의 개념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이 어떻게 가치를 창출하고 전달하며, 이를 통해 수익을 확보하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틀을 제공합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가치 제안, 가치 창출, 가치 전달, 가치 확보의 개념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이 네 가지 요소는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을 이루며, 각 요소가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기업의 성공을 이끄는지 설명합니다.


가치 제안: 고객 문제 해결 및 니즈 충족 방안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은 기업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핵심적인 가치를 의미합니다. 이는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고,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안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독특한 혜택과 특성을 포함합니다. 가치 제안은 고객이 왜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설명하며, 경쟁 제품과의 차별화를 꾀합니다.

예를 들어, 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가치 제안을 할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 사용자가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끊김 없이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함.  

    니즈 충족: 다양한 장르와 언어의 콘텐츠를 제공하여 글로벌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킴.  

    차별화 요소: 독점 오리지널 콘텐츠와 사용자 맞춤형 추천 알고리즘.  


가치 창출: 제품/서비스 생산 및 혁신 과정

가치 창출(Value Creation)은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혁신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원재료나 아이디어를 사용하여 고객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모든 활동을 포함합니다. 가치 창출 과정은 기술 개발, 생산 공정, 서비스 디자인, 품질 관리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  

    기술 개발: 고화질 스트리밍 기술과 안정적인 서버 인프라 구축.  

    콘텐츠 제작: 독창적인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과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한 콘텐츠 확보.  

    품질 관리: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한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  


가치 전달: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채널 및 방식

가치 전달(Value Delivery)은 기업이 창출한 가치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채널과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접하고, 구매하고, 사용하는 모든 경로와 방법을 포함합니다. 가치 전달 과정은 유통 채널, 마케팅 전략, 고객 서비스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  

    유통 채널: 웹사이트, 모바일 앱, 스마트 TV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플랫폼 제공.  

    마케팅 전략: 소셜 미디어, 이메일 마케팅, 인플루언서 협업을 통한 홍보.  

    고객 서비스: 24/7 고객 지원, 사용자 가이드 및 튜토리얼 제공.  


가치 확보: 수익화 및 지속가능한 수익 모델

가치 확보(Value Capture)는 기업이 제공한 가치에 대해 수익을 얻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이 지속 가능한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수익 모델과 가격 전략을 포함합니다. 가치 확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직결되며, 장기적인 생존과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  

    수익 모델: 구독 기반 모델, 프리미엄 멤버십, 광고 기반 무료 서비스.  

    가격 전략: 다양한 구독 요금제 제공, 특별 할인 및 프로모션.  

    지속 가능성: 지속적인 콘텐츠 업데이트와 사용자 경험 개선을 통한 고객 유지.  


이 네 가지 요소는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을 이루며, 기업이 어떻게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지를 설명합니다. 각각의 요소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결국 수익모델, 과금 모델과 연결됩니다. 


1.1.3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 구성 요소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이 가치를 창출하고 전달하며, 이를 통해 수익을 확보하는 구조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다양한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요소는 기업의 운영과 성과에 연결됩니다. 아래는 비즈니스 모델의 9가지 핵심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입니다.


고객 세그먼트: 타깃 고객군 정의

고객 세그먼트는 기업이 목표로 하는 고객 그룹을 정의합니다. 모든 고객이 동일한 요구와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기업은 고객을 세분화하여 각 세그먼트에 맞는 맞춤형 가치 제안을 제공해야 합니다. 고객 세그먼트는 연령, 성별, 소득 수준, 지리적 위치, 행동 패턴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의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각 항목의 예시입니다. 예를 들어, 한 스트리밍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고객 세그먼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 및 젊은 성인: 최신 영화와 TV 시리즈를 선호하는 사용자.  

    가족: 어린이용 콘텐츠와 가족 단위 시청을 선호하는 사용자.  

    전문직 종사자: 다큐멘터리와 교육적인 콘텐츠를 선호하는 사용자.  


가치 제안: 고객 문제 해결 및 니즈 충족 방안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은 기업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핵심적인 가치로서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고,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안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독특한 혜택과 특성을 포함합니다. 가치 제안은 고객이 왜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설명하며, 경쟁 제품과의 차별화를 꾀합니다.   

    문제 해결: 빠르고 안정적인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니즈 충족: 다양한 장르와 언어의 콘텐츠 제공.  

    차별화 요소: 독점 오리지널 콘텐츠와 맞춤형 추천 알고리즘.  


채널: 고객 접점 및 가치 전달 경로

채널은 기업이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경로와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접하고, 구매하고, 사용하는 모든 접점을 포함합니다. 채널은 온라인, 오프라인, 직접 판매, 제삼자 유통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채널: 웹사이트, 모바일 앱, 스마트 TV 애플리케이션.  

    오프라인 채널: 팝업 스토어, 프로모션 이벤트.  

    제삼자 유통: 파트너십을 통한 콘텐츠 배포.  


고객 관계: 고객과의 상호작용 방식

고객 관계는 기업이 고객과 어떻게 상호작용할 것인지를 정의합니다. 이는 고객 유치, 유지, 확대를 위한 전략과 활동을 포함합니다. 고객 관계는 고객 지원, 커뮤니티 관리, 맞춤형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객 지원: 24시간 고객 서비스 센터 운영.  

    커뮤니티 관리: 사용자 리뷰와 피드백을 통한 서비스 개선.  

    맞춤형 서비스: 개인화된 콘텐츠 추천과 사용자 프로필 관리.  


수익원: 수익 창출 메커니즘

수익원은 기업이 가치를 제공한 대가로 수익을 얻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제품 판매, 구독료, 사용료, 광고 수익 등 다양한 수익 모델을 포함합니다. 수익원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직결되며,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운영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이 책의 후크였던 BM 기획이 바로 여기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구독료: 월간/연간 구독 모델.  

    광고 수익: 무료 사용자 대상 광고 기반 수익 모델.  

    인앱 구매: 프리미엄 콘텐츠나 추가 기능 구매.  


핵심 자원: 비즈니스 운영에 필요한 주요 자산

핵심 자원은 비즈니스 모델이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자산을 의미합니다. 이는 인적 자원, 물적 자원, 지적 자원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핵심 자원은 기업이 가치 제안을 실현하고, 운영을 지속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인적 자원: 콘텐츠 제작팀, 기술 개발팀.  

    물적 자원: 서버 인프라, 데이터 센터.  

    지적 자원: 콘텐츠 라이선스, 브랜드 자산.  


핵심 활동: 가치 제안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프로세스

핵심 활동은 기업이 가치 제안을 실현하고,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주요 활동을 의미합니다. 이는 제품 개발, 마케팅, 유통, 고객 지원 등 다양한 프로세스를 포함합니다.  

    제품 개발: 새로운 콘텐츠 제작과 기존 콘텐츠 업데이트.  

    마케팅: 소셜 미디어 캠페인, 광고 프로모션.  

    유통: 다양한 채널을 통한 콘텐츠 배포.  


핵심 파트너십: 외부 협력 관계

핵심 파트너십은 비즈니스 모델 운영을 지원하는 외부 협력 관계를 의미합니다. 이는 공급업체, 파트너사, 제휴 관계 등을 포함합니다. 핵심 파트너십은 자원의 효율적 활용, 비용 절감, 시장 접근성 확대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콘텐츠 파트너십: 영화 스튜디오, TV 네트워크와의 라이선스 계약.  

    기술 파트너십: 스트리밍 기술 제공업체와의 협력.  

    마케팅 파트너십: 인플루언서와의 협업.  


비용 구조: 비즈니스 운영에 따른 주요 비용 항목

비용 구조는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는 데 드는 주요 비용 항목을 의미합니다. 이는 고정비, 변동비, 규모의 경제 등을 포함합니다. 비용 구조는 기업의 재무적 건강과 직결되며, 효율적인 비용 관리는 수익성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과금모델 역시 고정비 혹은 변동비에 영향을 주는 설계가 있습니다.  

    고정비: 서버 유지비, 인건비.  

    변동비: 콘텐츠 제작비, 마케팅 비용.  

    규모의 경제: 대량 구매를 통한 비용 절감.  


1.1.4 비즈니스 모델, 비즈니스 전략, 과금 모델

  비즈니스 모델과 비즈니스 전략은 기업이 가치를 창출하고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개념입니다. 이 두 개념은 상호 보완적이며, 각각의 역할과 목적이 명확히 구분됩니다. 비즈니스 전략은 기업의 장기적 방향성과 목표를 설정하며, 경쟁 환경을 분석하여 기업이 시장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할 것인지 결정합니다. 반면, 비즈니스 모델은 운영적이고 구체적인 구조로, 기업이 가치를 창출하고 전달하며 수익을 확보하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비즈니스 모델 혁신은 기존 비즈니스 모델의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하거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가치 제안, 가치 창출/전달 방식, 수익 모델 등 여러 측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과금 모델과 수익 모델은 비즈니스 모델과 전략의 방향성에 맞춰 설계될 때 가장 효과적입니다.  

    비즈니스 모델의 가치 제안과 연계: 과금 모델은 고객에게 제공하는 핵심 가치를 기반으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프리미엄 콘텐츠 제공 시 구독 모델을 활용하거나, 고유의 디지털 상품을 판매하는 모델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 전략과 시장 포지셔닝: 수익 모델은 기업의 전략적 목표와 시장 포지셔닝에 맞춰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고가 전략을 통해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면, 높은 가격의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운영 효율성과 수익 극대화: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이를 과금 모델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 결제 시스템 도입을 통해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고객에게 편리한 결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고객 세그먼트 맞춤형 모델: 다양한 고객 세그먼트를 대상으로 맞춤형 과금 모델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생 할인, 가족 요금제, 기업 대상 B2B 모델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더 훌륭한 과금 모델과 수익 모델을 기획하는 것은 기업의 전체 운영 방식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전략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2 BM의 중요성

 비즈니스 모델(BM)은 현대 기업 경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경쟁 우위 확보, 기업 성과 향상, 기술 혁신과의 시너지 창출, 산업 구조 변화 대응, 그리고 스타트업의 성공에 이르기까지 BM의 중요성은 다방면에서 나타납니다. 성공적인 기업들의 사례는 혁신적인 BM이 어떻게 시장을 변화시키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끄는지 보여줍니다. 특히 급변하는 기술 환경과 산업 구조 속에서 BM의 지속적인 혁신과 최적화는 기업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필수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스타트업에게 있어 BM은 시장 진입과 성장, 투자 유치의 핵심 도구로 작용하며, 유연한 BM 조정 능력은 시장 적응에 꼭 필요한 능력입니다.


1.2.1. 기업의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BM)의 역할


비즈니스 모델(BM)은 기업이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이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통해 이 가치를 전달하며, 지속 가능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차별화된 가치 제안 설계 :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니즈를 충족시키는 독특한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업은 경쟁사와 차별화될 수 있습니다. 혁신적인 기술이나 독특한 서비스 경험을 통해 고객에게 특별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가치 창출 및 전달 시스템 구축 : 생산, 유통, 서비스 제공 등 모든 단계에서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고객에게 신속하고 일관된 가치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이루어낼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수익 모델 확립 : 다양한 수익 창출 방식을 탐색하고 이를 통합하여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수익 구조를 구축해야 합니다. 구독 기반 모델, 광고 수익 모델,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다각적인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모방하기 어려운 비즈니스 시스템 구축 : 특허, 독점 기술, 브랜드 신뢰도, 고객 충성도 프로그램 등 다양한 요소를 결합하여 경쟁사들이 쉽게 모방할 수 없는 독창적인 비즈니스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시장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 능력 제공 :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함으로써, 기업은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고 위협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시장분석과 고객 피드백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1.2.2. 성공적인 BM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사례  


Amazon의 고객 중심 BM: 개인화 추천, Prime 멤버십. 
Amazon은 고객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로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개인화 추천 시스템을 통해 고객에게 맞춤형 상품을 제안하고, Prime 멤버십을 통해 신속한 배송과 독점 콘텐츠를 제공하여 높은 고객 충성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국내에도 로켓와우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Apple의 생태계 BM: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통합. 
Apple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가 통합된 생태계를 구축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했습니다. iPhone, Mac, Apple Watch 등의 하드웨어 제품과 iOS, macOS 등의 소프트웨어, 그리고 Apple Music, iCloud와 같은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합니다. 애플의 고객 충성도는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시장에 유명합니다. 


Netflix의 구독 기반 BM: 콘텐츠 투자와 데이터 활용. 
Netflix는 구독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콘텐츠 투자와 데이터를 활용한 개인화 추천 시스템으로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구독자 수를 꾸준히 늘리고 있습니다. 


Uber의 플랫폼 BM: 양면 시장 활용과 자산 경량화. 
Uber는 양면 시장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운전자와 승객을 연결하는 플랫폼을 구축했습니다. 자산을 소유하지 않으면서도 글로벌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여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빠른 시장 확장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양면 시장 비즈니스 모델은 예를 들어 제공자와 소비자 두 개의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을 연결하는 플랫폼을 중심으로 구축되는 모델입니다. 이 모델에서 플랫폼은 두 그룹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양쪽 모두에게 가치를 제공합니다. Uber는 운전자와 승객을 연결하는 플랫폼을 통해 양면 시장을 형성합니다. 운전자에게는 승객을, 승객에게는 운전자를 제공함으로써, 양쪽 모두에게 중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호 강화를 일으킵니다. 


Airbnb의 공유 경제 BM: 유휴 자산 활용과 커뮤니티 구축. Airbnb는 공유 경제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유휴 자산을 활용하고, 전 세계 커뮤니티를 구축했습니다. 개인이 소유한 공간을 여행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커뮤니티 기반의 신뢰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했습니다. 
공유 경제 비즈니스 모델은 개인들이 자산이나 서비스를 서로 공유하여 활용하는 경제 시스템입니다. 이 모델은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촉진하며, 소유보다는 접근을 중시합니다. 예를 들어, Airbnb는 개인이 소유한 주거 공간을 여행자와 공유하는 플랫폼을 제공하여 유휴 자산을 활용하고, 사용자 간의 신뢰를 기반으로 커뮤니티를 형성합니다.


1.2.3. 기술 혁신과 비즈니스 모델(BM) 혁신의 상호 관계


기술 혁신과 비즈니스 모델(BM) 혁신은 상호 보완적이며, 서로를 촉진하는 관계에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은 새로운 기술의 상업화와 가치를 현실화하는데 꼭 필요합니다. 특히 우리가 BM의 역사나 과거 사례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기술 변화에 따라 쇠퇴했던 BM이 또 다른 형태로 기회를 창출하기 때문입니다.   


    기술 혁신을 통한 새로운 BM 가능성 창출 :  기술 혁신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가능성을 창출합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은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여, 구독 기반 모델이나 맞춤형 광고 모델을 구현할 수 있게 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탈중앙화된 금융 서비스나 디지털 자산 거래와 같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탄생시켰습니다.  

    BM 혁신을 통한 기술의 상업화 및 가치 실현 :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은 새로운 기술을 시장에 성공적으로 도입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출현은 인터넷 기술을 상업화하고, 전 세계 소비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디지털 전환에 따른 BM 재설계 필요성 : 디지털 전환은 기존 비즈니스 모델을 재설계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전통적인 오프라인 비즈니스는 디지털 기술을 통합하여 온라인 플랫폼으로 전환하거나, 옴니채널 전략을 채택함으로써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은 기업이 더 나은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신기술 도입에 따른 가치 사슬 재구성 : 신기술의 도입은 기존 가치 사슬을 재구성하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자동화 기술은 제조업에서 생산 공정을 혁신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품질을 향상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IT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여, 기업이 더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기술-BM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 :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의 연계는 시너지 효과를 창출합니다. 기술 혁신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하고, 이러한 모델이 기술의 가치를 극대화합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술과 결합된 핀테크 비즈니스 모델은 금융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1.2.4.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BM


급변하는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유연하고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BM)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고민하는 새로운 콘텐츠도 그런 추세를 따라 나온 것이겠지요. 디지털화, 플랫폼 경제, 지속가능성, 고객 기대 변화, 글로벌 가치 사슬 재편 등 다양한 변화 요인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BM의 유연성과 혁신성은 특히 강조됩니다. 과금모델과 수익모델을 기획하는 기획자들은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전략을 설계할 필요가 있습니다.  

    디지털화에 따른 산업 경계의 붕괴 대응 : 디지털화는 국경과 지역, 전통적인 산업 경계를 허물고 있습니다. 다양한 산업이 디지털 기술을 통해 융합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콘텐츠 구독 서비스, 인앱 결제, 온라인 광고 등을 통해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과금모델과 수익모델 기획자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수익 창출 방안을 설계해야 합니다.  

    플랫폼 경제로의 전환에 따른 BM 재설계 : 플랫폼 경제로의 전환은 BM 재설계를 요구합니다.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은 다수의 사용자와 제공자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기획자들은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기존 BM을 플랫폼 중심으로 재설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속가능성 요구 증가에 따른 순환 경제 BM 도입 : 한국에서는 다소 느끼기 힘들 수 있겠지만 지속가능성에 대한 요구는 RE100까지 언급하지 않더라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업은 환경적 책임을 고려한 순환 경제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해야 합니다. 자원 효율성을 높이고, 폐기물을 최소화하며,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방식으로 BM을 혁신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구독 모델이나 재활용 가능한 제품 서비스를 통해 환경 친화적인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고객 기대 변화에 대응한 경험 중심 BM 구축 : 고객의 기대가 변화함에 따라, 경험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야 합니다. 고객은 단순한 제품이나 서비스 이상의 가치를 기대하며, 개인화된 경험과 우수한 서비스를 원합니다. 기획자들은 고객 경험을 중심으로 한 BM을 설계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충성도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맞춤형 추천 서비스, 프리미엄 회원제, 사용자 참여형 이벤트 등이 그 예입니다.  

    글로벌 가치 사슬 재편에 따른 BM 최적화 : 글로벌 가치 사슬의 재편은 BM 최적화를 요구합니다. 글로벌화와 지역화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기업은 효율적인 가치 사슬을 구축해야 합니다. 생산, 유통, 서비스 제공 등 모든 단계를 최적화하고, 글로벌 시장에 맞는 BM을 설계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과금모델과 수익모델을 기획하는 기획자들에게 비즈니스 모델은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디지털화, 플랫폼 경제, 지속가능성, 고객 기대 변화, 글로벌 가치 사슬 재편 등 다양한 요인에 적응하기 위해, 기획자들은 유연하고 혁신적인 BM을 통해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대응하고, 새로운 기회를 포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1.2.5. 스타트업의 성공과 BM의 연관성


아마 대부분의 독자님들이 해당될 수 있는데, 이유는 비즈니스 모델은 회사의 핵심이고 과금모델, 수익모델은 BM이라는 약자로 같은 의미로 통용될 만큼 코어라고 할 수 있는데 그게 기획자에게 맡겨진 상황을 통해 그렇게 짐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성공한 후에 BM이 필요한 것인가. 우리가 만드는 서비스가 너무나 표준적이고 수익모델이 명백하기 때문에 BM은 투자유치를 위해 SWOT처럼 장표 어딘가에 들어가야 하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여전히 BM은 중요하고, 회사의 주력 고객을 만드는 서비스와 과금모델 역시 그 흐름을 관통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히려 스타트업은 다음이 없고, 한 번의 기회를 흩트릴 수 없는 상태여서이기도 하겠죠. 이 글을 쓰는 저 역시 많은 반성과 고민을 하고 있는 영역입니다. 누구에게 맡겨졌든 수익모델은 타당하다면 회사 전체의 방향성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기획입니다. 더 많은 걸 고민하고 적용할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습니다.  


좋은 BM을 통한 시장 진입 장벽 극복 :  기존 시장에서 높은 진입 장벽은 스타트업에게 큰 도전입니다. 혁신적인 BM은 이러한 진입 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기존 기업들이 제공하지 못하는 독특한 가치 제안이나 효율적인 운영 방식을 통해 스타트업은 시장에서 차별화된 위치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확장성 높은 BM 설계를 통한 빠른 성장 : 스타트업의 BM은 초기 성공 이후 빠르게 확장할 수 있는 구조여야 합니다. 확장성 높은 BM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여 빠른 성장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스타트업은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높이고, 경쟁자보다 앞서 나갈 수 있습니다.  

린 스타트업 방법론과 BM 검증 : 린 스타트업 방법론은 최소한의 자원으로 BM을 검증하고, 반복적인 피드백을 통해 개선하는 접근법입니다. 초기 단계에서 BM을 검증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장의 반응을 확인하며, 지속적으로 BM을 수정하는 과정은 스타트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입니다.  

투자 유치를 위한 명확한 BM 제시의 필요성 : 투자 유치는 대부분의 스타트업에게 가장 중요한 과제입니다. 명확하고 설득력 있는 BM을 제시하는 것은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고 자금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투자자들은 스타트업의 BM을 통해 시장 잠재력, 수익 창출 가능성, 확장성 등을 평가하며, 성공적인 BM 제시는 투자 유치의 기본 요소가 됩니다.  

BM 피봇을 통한 시장 적응력 향상 : 초기 BM이 예상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빠르게 피봇(변경)하여 새로운 BM을 적용하는 능력은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합니다. BM 피봇을 통해 스타트업은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고, 실패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1.3 BM 캔버스 소개


비즈니스 모델을 기왕 다루고 있으니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대부분의 스타트업 대표들이 반드시 만나는 지식체계입니다. 이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복잡한 비즈니스 모델을 직관적으로 시각화하고 분석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9개의 핵심 빌딩 블록을 통해 기업의 가치 창출, 전달, 확보 방식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BM 캔버스는 현재 모델 분석부터 새로운 모델 설계까지 다양하게 활용되며, 팀 협업을 통한 아이디어 발전에 특히 유용합니다. 그러나 정적인 특성과 일부 세부 요소의 부족으로 인한 한계도 존재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Lean Canvas, Value Proposition Canvas 등 추가 도구들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습니다. BM 캔버스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출발점으로서, 기업의 전략적 사고와 실행을 연결하고 시각화해 줍니다. 

개인적으로 타임비즈 출판사에서 나온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 : 상상과 혁신, 가능성이 폭발하는 신개념 비즈니스 발상법 알렉산더 오스터왈더’를 추천드립니다. 그림으로 되어있고 매우 이해하기 좋습니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복잡한 비즈니스 모델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시각적 도구로서 알렉산더 오스터왈더(Alexander Osterwalder)와 이브 피그넬(Yves Pigneur)이 2010년 "Business Model Generation"이라는 책을 출판하면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대중화했습니다. 이 책은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설명하고, 이를 다양한 비즈니스 상황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와 가이드를 제공했습니다. 이 BM 캔버스는 비즈니스 전략 수립과 실행에 큰 도움을 줍니다. 특히,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구상하거나 기존 모델을 혁신할 때,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활용하면 구조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가능해집니다. 수익모델과 과금모델 역시 이 캔버스의 일부로서 전체 그림을 파악하면 훨씬 더 효율적인 기획이 가능해집니다. 


1.3.1. 9개 빌딩 블록의 상세 설명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9개의 빌딩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블록은 비즈니스 모델의 각 구성 요소를 나타냅니다. 이 9개 블록을 통해 기업은 비즈니스 모델의 전반적인 구조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설계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그려보면 이 9개 항목들은 서로 필연성 같은 강한 연결관계를 가집니다. 마치 0장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하나의 항목이 발전하면 그에 최적화되기 위한 다른 항목들의 체크가 필요해지는 것이죠.


고객 세그먼트: 타깃 고객군 정의 및 특성 파악.
고객 세그먼트는 고객을 나눴다는 뜻으로 기업이 타깃으로 삼는 고객군을 정의하고, 이들의 특성을 파악하는 과정입니다. 0장에서 다룬 ‘누가'에 해당합니다. 다양한 고객 세그먼트를 식별하고, 각 세그먼트의 니즈와 특성에 맞춘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Netflix는 가족, 개인 사용자, 청소년 등 다양한 세그먼트를 타깃으로 하여 각각의 세그먼트에 맞춘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우리가 전제한 ‘차별성 있는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는 고객 세그먼트가 디지털 영역에서 더욱 추상화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가치 제안: 고객 문제 해결 및 니즈 충족 방안 제시.
가치 제안은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고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핵심 가치를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Apple의 iPhone은 사용자 친화적인 디자인과 높은 성능을 통해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채널: 고객 접점 및 가치 전달 경로 설계
채널은 기업이 고객과 접촉하고 가치를 전달하는 경로를 설계하는 것입니다. 이는 물리적 채널과 디지털 채널 모두를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안경 스타트업 Warby Parker는 온라인 스토어를 통해 고객이 집에서 여러 개의 안경을 집으로 받아보고, 직접 착용해 본 후 마음에 드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Home Try-On"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온라인 쇼핑의 불편함을 해소했습니다. 또한, Warby Parker는 오프라인 매장도 운영하여, 고객이 직접 방문하여 제품을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고객 관계: 고객과의 상호작용 방식 및 관계 유지 전략
고객 관계는 고객과의 상호작용 방식을 정의하고,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이는 고객 지원, 로열티 프로그램, 개인화된 서비스 등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Starbucks는 고객 로열티 프로그램인 Starbucks Rewards를 통해 고객의 재방문을 유도하고, 개인화된 혜택을 제공합니다.


수익원: 각 고객 세그먼트로부터의 수익 창출 메커니즘
우리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인 수익원은 각 고객 세그먼트로부터 수익을 창출하는 메커니즘을 정의하는 것입니다. 이는 제품 판매, 구독 서비스, 광고 수익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potify는 무료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프리미엄 구독 서비스를 통해 추가 수익을 확보합니다.


핵심 자원: 비즈니스 모델 운영에 필요한 주요 자산 식별
핵심 자원은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주요 자산을 식별하는 것입니다. 이는 인적 자원, 물적 자원, 지적 자산 등을 포함합니다. 수익/과금 모델 면에서 핵심자원은 좀 다르게 파악될 수 있습니다. 회사의 명백한 자산이나 경쟁력의 원천 이전에 과금모델 설계 역시 무엇인가를 주고 돈을 받는 것입니다. 이때 주어지는 것이 대체로 핵심 자원일 확률이 높습니다. 과금을 통해 소진된다면 매우 중요한 핵심 자원인데, 혹시 이를 제대로 눈치채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검토해야 합니다. 가령 광고를 제거하는 BM이라면 광고를 제거한 이후 결제 유발요소가 사라집니다. 


핵심 활동: 가치 제안 실현을 위한 핵심 프로세스 정의
핵심 활동은 가치 제안을 실현하기 위한 주요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것입니다. 이는 제품 개발, 마케팅, 유통, 고객 서비스 등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Tesla는 혁신적인 전기차 개발과 생산,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통해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합니다.


핵심 파트너십: 외부 협력 관계 및 에코 시스템 구축 전략.
 핵심 파트너십은 외부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을 강화하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공급 업체, 유통 파트너, 기술 협력사 등을 포함합니다.  에코 시스템은  주로 생태계라고 합니다. 스타트업 단계에서도 생태계 조성이 필요합니다. 그 이유는 전통시장의 견고함 때문에 우리의 콘텐츠가 사용자의 새로운 습관을 형성해야 할 확률이 높은데 이 작업을 홀로 성공시킬 확률이 매우 낮기 때문입니다. 물론 성공한 게임은 장르가 됩니다만, 처음부터 트렌드의 연대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파트너십과 생태계가 대기업에게만 적용되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비용 구조: 비즈니스 운영에 따른 주요 비용 항목 분석
비용 구조는 비즈니스 모델 운영에 따른 주요 비용 항목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이는 고정 비용과 가변 비용을 포함하며, 당연히 효율적인 비용 관리는 수익만큼 중요합니다. 수익 모델, 과금 모델 역시 비용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입니다. 


1.3.2. BM 캔버스의 활용  

    현재 비즈니스 모델 분석: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활용하면 현재 비즈니스 모델의 강점과 약점을 명확히 식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개선이 필요한 포인트와 혁신 기회를 도출할 수 있으며, 경쟁사와의 차별화 요소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사용하여 현재의 고객 세그먼트, 가치 제안, 채널, 고객 관계, 수익원, 핵심 자원, 핵심 활동, 핵심 파트너십, 비용 구조를 분석하면, 기존 모델의 어디에 개선이 필요한지 명확히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강점을 강화하고,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설계: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는 데 유용합니다. 다양한 대안 모델을 신속하게 프로토타이핑하여, 각 모델의 장단점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가장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선택할 수 있으며, 핵심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타트업이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할 때,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고, 그중에서 가장 잠재력이 높은 모델을 선택하여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기업이 현재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지속적인 혁신을 추구하며,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특히 수익모델, 과금모델은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새로 그리게 할 수 있을 정도의 핵심요소임을 잊으면 안 됩니다. 


1.3.3.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한계와 보완 도구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예찬하긴 했지만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적인 모델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정적인 모델로, 빠르게 변화하는 동적 시장 환경을 반영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시장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이에 맞춰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고객 니즈와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 부족: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고객 세그먼트와 가치 제안을 다루지만, 고객의 구체적인 니즈와 문제를 깊이 있게 분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는 고객 중심의 세부 전략 수립에 미흡할 수 있습니다.  

    재무적 세부 사항 및 운영 계획의 미흡: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비즈니스의 전반적인 구조를 시각화하는 데 중점을 두지만, 재무적 세부 사항이나 구체적인 운영 계획을 다루는 데는 부족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들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차별성 있고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들이 많이 있습니다.   


Lean Canvas (Ash Maurya): 불확실성이 높은 스타트업에 최적화된 Lean Canvas는 스타트업의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설계되었습니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와 유사하지만, 문제해결에 더 집중하고 있습니다. 고객의 문제를 명확히 정의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를 통해 고객의 실제 니즈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https://www.leanfoundry.com/tools/lean-canvas 


Value Proposition Canvas: 고객 프로필과 가치 맵을 상세히 분석하여, 고객이 원하는 가치를 명확히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를 통해 제품-시장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https://www.strategyzer.com/canvas/value-proposition-canvas 


Environment Map: 외부 환경 분석 도구로, 시장 트렌드, 경쟁 상황, 규제 등 외부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이 외부 환경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The-Business-Model-Environment-Map-Osterwalder-Pigneur-2010_fig3_369586412 


Business Model Patterns: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 패턴을 참조하여, 새로운 모델 설계 시 영감을 얻고, 검증된 전략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https://www.businessmodelnavigator.com 


Customer Journey Map: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체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구입니다. 고객의 경험을 상세히 분석하고, 각 단계에서의 니즈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세밀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고객의 여정을 이해하고, 최적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데 유용합니다. https://www.nngroup.com/articles/customer-journey-mapping/ 


JTBD (Jobs to Be Done) Framework: 고객이 특정 상황에서 해결하려는 "작업"에 초점을 맞춘 도구입니다. 고객의 행동과 선택을 이해하고, 이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나 달성하려는 목표를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가 고객의 실제 요구를 어떻게 충족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https://hbr.org/2016/09/know-your-customers-jobs-to-be-done 


Lean Startup Methodology: Eric Ries가 개발한 Lean Startup Methodology는 빠르게 시장에 제품을 출시하고, 고객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접근법입니다. 최소 기능 제품(MVP)을 신속히 출시하고, 실험과 피드백을 통해 제품과 비즈니스 모델을 검증하고 조정할 수 있습니다. http://theleanstartup.com 


Blue Ocean Strategy: W. Chan Kim과 Renée Mauborgne이 제안한 Blue Ocean Strategy는 경쟁이 없는 새로운 시장 공간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존의 경쟁 시장(레드 오션)에서 벗어나,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여 새로운 시장(블루 오션)을 개척하는 전략입니다. https://www.blueoceanstrategy.com 


Business Model Navigator: St. Gallen University의 연구팀이 개발한 Business Model Navigator는 55가지의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 패턴을 기반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는 도구입니다. 다양한 산업에서 성공한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모델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https://www.businessmodelnavigator.com 


1.4 BM과 수익 모델의 차이


수익 모델은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 구성 요소로, 기업이 창출한 가치를 수익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정의합니다. BM 내에서 수익 모델은 가치 제안과 고객 세그먼트를 연결하며, 전체 BM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양한 수익 모델 유형이 존재하며, 각 모델은 BM의 다른 요소들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칩니다. 수익 모델의 선택은 고객 관계, 채널, 핵심 활동 등 BM 전반의 설계에 영향을 주므로 신중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현대 기업들은 often 복합 수익 모델을 채택하여 다양한 수익원을 확보하고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성공적인 복합 수익 모델의 운영을 위해서는 각 모델 간의 시너지 창출과 운영 효율성 유지가 핵심입니다.


1.4.1. 수익 모델의 정의와 구성 요소

수익 모델은 기업이 제공하는 가치에 대해 수익을 창출하는 구체적인 방식을 정의합니다. 이는 기업이 어떻게 돈을 벌고, 그 과정에서 어떤 메커니즘을 사용하는지를 설명합니다. 


주요 구성 요소:  

    수익원: 수익이 발생하는 원천입니다. 이는 제품 판매, 서비스 제공, 광고 수익, 구독료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격 책정 메커니즘: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화폐적 평가 방식입니다. 이는 비용 기반 가격 책정, 가치 기반 가격 책정, 경쟁 기반 가격 책정 등 다양한 방식이 있습니다.  

    지불 방식: 고객이 대가를 지불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일회성 결제, 분할 결제, 구독 결제, 광고 기반 무료 모델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수익 흐름의 시기와 빈도: 수익이 발생하는 시기와 그 빈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일회성 수익, 반복 수익, 주기적 수익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핵심 고려사항:  

    고객 지불 의사: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지불할 의사가 있는 금액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시장 조사와 고객 인터뷰 등을 통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경쟁 환경: 경쟁사의 가격 책정 및 수익 모델을 분석하여, 차별화된 수익 모델을 설계해야 합니다. 차별시킬 수 없다면 차라리 단적으로 비교가 불가능하게 여러 이점을 섞는 것도 방법일 수 있습니다. 

    가치 제안과의 일치성: 수익 모델은 기업의 가치 제안과 일치해야 합니다. 즉, 고객이 인식하는 가치와 실제 지불하는 금액이 일치하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1.4.2. BM 내에서의 수익 모델의 위치와 역할

수익 모델은 비즈니스 모델(BM)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로서, 기업의 성공과 지속 가능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BM 내에서 수익 모델의 위치와 역할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BM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로서의 수익 모델: 수익 모델은 BM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이는 기업이 제공하는 가치에 대해 어떻게 수익을 창출할 것인지를 명확히 정의합니다.  

    가치 제안과 고객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브리지 역할:  가치 제안과 고객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중요한 브리지 역할을 합니다. 이는 기업이 제공하는 가치를 고객에게 전달하고, 그 대가로 수익을 얻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전체 BM의 지속 가능성과 수익성 결정에 핵심적 영향:  전체 BM의 지속 가능성과 수익성을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잘 설계된 수익 모델은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과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다른 BM 요소들과의 상호작용 및 일관성 유지: 다른 BM 요소들과 상호작용하며, 일관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고객 세그먼트, 가치 제안, 채널, 고객 관계 등과 잘 조화를 이루어야 효과적인 BM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BM 혁신의 주요 대상으로서의 수익 모델: BM 혁신의 주요 대상 중 하나입니다. 시장 변화, 기술 혁신, 경쟁 환경 변화 등에 따라 수익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혁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4.3. 다양한 수익 모델 유형

기업은 다양한 수익 모델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각 수익 모델은 고유한 방식으로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수익을 얻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의 이후 목차에서는 이런 수익모델을 다양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직접 판매 모델 : 제품이나 서비스를 일회성으로 판매하여 수익을 얻는 모델입니다. 예: 전자제품, 의류, 식품 등 일반 소매업.  

    구독 모델:  고객이 정기적으로 요금을 지불하고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델입니다. 예: 넷플릭스, 스포티파이 등의 스트리밍 서비스, 신문 및 잡지 구독.  

     Free미엄 모델:  기본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하고, 추가적인 고급 기능이나 콘텐츠에 대해 비용을 부과하는 모델입니다.  예: 드롭박스, 스포티파이의 프리미엄 서비스.  

    광고 기반 모델: 사용자에게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광고주로부터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입니다. 예: 페이스북, 유튜브 등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  

    라이선싱 모델: 기업의 지적 재산권을 사용하도록 허가하고 그 대가로 로열티를 받는 모델입니다. 예: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특허 사용 허가.  

    중개 수수료 모델:  거래를 중개하고 그에 따른 수수료를 수취하는 모델입니다. 예: 이베이, 에어비앤비, 우버 등의 플랫폼.  

    데이터 판매 모델: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입니다.  예: 데이터 분석 기업, 마케팅 리서치 기관.  

    프랜차이즈 모델: 비즈니스 모델 자체를 판매하고, 프랜차이즈 가맹점으로부터 로열티를 받는 모델입니다.  예: 맥도널드, 스타벅스 등의 프랜차이즈 체인.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번들 모델: 하드웨어 제품과 소프트웨어 또는 서비스의 번들을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입니다. 예: 게임 콘솔과 게임 타이틀의 번들 판매.  

    사용량 기반 모델: 고객이 실제로 사용한 만큼 요금을 지불하는 모델입니다. 예: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유틸리티 서비스(전기, 가스 등).  

    서비스 모델: 제품 판매 외에도 관련 서비스 제공을 통해 수익을 얻는 모델입니다. 예: 자동차 제조업체의 정비 서비스, IT 기업의 유지보수 서비스.  

    크라우드펀딩 모델: 다수의 개인으로부터 자금을 모아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후원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모델입니다. 예: 킥스타터, 인디고고, 텀블벅 등의 플랫폼.  

이 외에도 다양하고 새롭거나 결합되고 재해석된 다양한 수익모델이 있지만 대체로 이 안에 속합니다. 


1.4.4. 수익 모델 선택이 전체 비즈니스 모델에 미치는 영향


앞서도 과금/수익 모델이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을 바꿀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한 요소라고 언급했습니다만, 그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수익 모델은 단순히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을 넘어서, 고객 관계, 가치 전달 채널, 핵심 자원 및 활동, 파트너십 구조, 비용 구조 등 비즈니스 모델의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과금/수익모델의 설계자는 다른 부분들과 연결점을 면면히 살펴봐야만 합니다. 


고객 관계 형성 방식의 변화:  

일회성 관계: 직접 판매 모델을 선택하면 고객과의 관계가 일회성 거래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고객 유치 비용이 높고, 재구매율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마케팅 노력이 필요합니다.   

지속적 관계: 구독 모델이나 프리미엄 모델을 선택하면 고객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고객 유지 비용이 줄어들고, 장기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합니다.  

가치 전달 채널의 설계:  

직접 판매: 제품을 직접 판매하는 모델은 전통적인 소매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며, 물리적 유통망이 중요합니다.  

온라인 플랫폼: 광고 기반 모델이나 데이터 판매 모델은 주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지며, 디지털 채널의 설계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핵심 자원 및 활동의 조정:  

제품 중심: 직접 판매 모델이나 라이선싱 모델은 제품 개발과 생산이 핵심 자원 및 활동에 해당합니다.  

서비스 중심: 구독 모델이나 프리미엄 모델은 고객 지원과 서비스 제공이 핵심 자원 및 활동에 해당합니다.  

파트너십 구조의 변화:  

공급망: 직접 판매 모델은 주로 공급망 파트너와의 관계가 중요합니다. 이는 제조업체, 유통업체 등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합니다.  

생태계 : 광고 기반 모델이나 데이터 판매 모델은 다양한 파트너와의 생태계 구축이 중요합니다. 이는 플랫폼 파트너, 콘텐츠 제공자 등과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심지어는 수익과 과금이 분배되기도 합니다.   

비용 구조에 미치는 영향:  

고정비: 직접 판매 모델은 제조, 유통, 마케팅 등 고정비가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변동비: 구독 모델이나 프리미엄 모델은 고객 수에 따라 변동하는 비용이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확장성과 규모의 경제 실현 가능성:  

확장성: 구독 모델이나 프리미엄 모델은 상대적으로 확장성이 높아, 고객 수가 증가할수록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규모의 경제: 직접 판매 모델은 대규모 생산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지만, 초기 투자 비용이 높을 수 있습니다.  


1.4.5. 복합 수익 모델의 설계와 운영: 사례 연구

복합 수익 모델은 다양한 수익 창출 방식을 결합하여, 기업의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접근법입니다. 여러 수익 모델을 통합하여, 각각의 장점을 활용하고 리스크를 분산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다음은 복합 수익 모델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몇 가지 사례와, 이를 운영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들입니다.


Amazon의 복합 수익 모델:  

    직접 판매: Amazon은 다양한 제품을 직접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이는 전통적인 리테일 모델로, 물리적 상품을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마켓플레이스 수수료: Amazon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타사 제품도 판매하며, 이로 인한 수수료 수익을 얻습니다. 이는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의 일환으로, 양면 시장을 활용합니다.  

    Prime 구독: Amazon Prime은 구독형 모델로, 회원들에게 빠른 배송, 스트리밍 서비스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며, 정기적인 구독 수익을 창출합니다.  

    AWS 클라우드 서비스: Amazon Web Services(AWS)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기업 고객으로부터 안정적인 수익을 얻습니다.  


Spotify의 혼합 모델:  

    광고 기반 무료 서비스: Spotify는 기본적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며,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이는 사용자 유입을 극대화하고, 플랫폼의 사용자 기반을 확장하는 데 기여합니다.  

    프리미엄 구독 모델: 광고 없이 고음질 음악 스트리밍을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프리미엄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여, 정기적인 구독 수익을 얻습니다. 이는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혼합 수익 모델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Adobe의 전환 사례:  

    패키지 소프트웨어 판매: Adobe는 전통적으로 패키지 소프트웨어 판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해 왔습니다. 이는 일회성 구매 모델로, 초기 매출이 높은 반면 지속적인 수익 창출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Creative Cloud 구독 모델: Adobe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Creative Cloud 구독 모델로 전환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지속적으로 최신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으며, Adobe는 정기적인 구독 수익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복합 모델 운영의 핵심 고려사항:  

    각 수익 흐름 간의 시너지 효과 창출: 다양한 수익 모델이 서로 보완하고 강화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전체적인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합니다.  

    고객 세그먼트별 차별화된 가치 제안과 연계: 각각의 수익 모델이 타깃 고객 세그먼트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차별화된 가치 제안을 연계해야 합니다.  

    수익 모델 간 균형 유지 및 리스크 분산: 한 가지 수익 모델에 의존하지 않고, 여러 수익 모델 간의 균형을 유지하여 리스크를 분산시켜야 합니다.  

    운영 복잡성 관리 및 효율성 유지: 복합 수익 모델은 운영 복잡성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통해 운영의 복잡성을 줄이고, 효율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1.5 산업별 BM의 특성

이 장은 각 산업별 BM의 주요 특성과 혁신 동향, 그리고 대표적인 사례들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각 산업에서 일어나고 있는 주요 변화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등장, 그리고 이를 선도하는 기업들의 전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5.1. 제조업의 전통적 BM

제조업의 전통적인 비즈니스 모델(BM)은 주로 제품 중심, 대량 생산, 선형 가치 사슬 구조를 특징으로 합니다. 이 모델은 주로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판매 후 서비스는 부수적인 역할로 취급합니다. 그러나 디지털 혁신과 시장 요구의 변화로 인해 제조업의 비즈니스 모델은 큰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전통적 BM:  

    제품 중심: 제품의 생산과 판매에 초점을 맞추며, 주요 수익원은 제품 판매에서 발생합니다.  

    대량 생산: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여 대량으로 제품을 생산, 단가를 낮추고 이익을 극대화합니다.  

    선형 가치 사슬: 원자재 공급부터 제조, 유통, 판매, 폐기까지 일방향으로 흐르는 가치 사슬 구조를 가집니다.  

서비스화(Servitization):  

    제품-서비스 시스템(PSS) 도입: 제품과 함께 유지보수, 운영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합니다.  

    성과 기반 계약: 제품의 사용 결과에 따라 과금하는 방식으로, 고객의 실제 성과와 연동된 과금 모델을 도입합니다.  

    구독 모델: 제품의 소유권을 제공하지 않고 사용권만 제공하는 구독 모델을 통해 지속적인 수익을 확보합니다.  

    Rolls-Royce의 "Power by the Hour": 항공기 엔진 사용 시간에 따라 과금하는 성과 기반 계약 모델입니다. 이를 통해 고객은 예측 가능한 비용으로 엔진을 유지 관리할 수 있습니다.  

    Philips의 "Light as a Service": 조명 시스템을 구독 서비스로 제공하여 초기 투자 비용 없이 조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Philips는 유지보수와 업그레이드를 포함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발전:   

    디지털 트윈, IoT 활용한 스마트 제조: 디지털 트윈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제품의 실시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예측 유지보수, 생산 최적화 등을 구현합니다. 이를 통해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순환경제 모델 도입: 재활용, 리퍼비시, 업사이클링: 제품의 수명 주기를 연장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재활용, 리퍼비시(Refurbishment), 업사이클링(Upcycling) 등을 도입합니다. 이는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환경 영향을 줄이면서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합니다.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전통적인 제품 중심의 대량 생산 모델을 유지하면서도 디지털 혁신을 통해 스마트 제조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여 생산 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예측 유지보수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는 구독 모델인 '현대 셀렉션'을 도입하여, 고객이 차량을 소유하지 않고도 일정 기간 동안 다양한 모델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LG화학: LG화학은 순환경제 모델을 도입하여 배터리 재활용 및 리퍼비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경 영향을 줄이고, 자원 활용 효율성을 높이며,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LG CNS: LG CNS는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통해 제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IoT, 빅데이터, AI를 활용한 스마트 제조 솔루션을 제공하여,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예측 유지보수 및 생산 최적화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제조업체들은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포스코: 포스코는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여 생산 공정을 디지털화하고 있습니다. IoT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설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예측 유지보수를 실시합니다. 이는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비상 상황을 미리 예방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효성중공업: 효성중공업은 스마트 그리드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통해 전통적인 에너지 사업 모델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IoT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전력 소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재생 에너지의 변동성을 해결하는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모델입니다.  


1.5.2. 서비스업의 BM

서비스업은 무형성, 동시성, 이질성, 소멸성 등 특수한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에 맞추어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고 운영해야 합니다. 각 특성에 대응하는 전략을 통해 서비스업은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무형성 대응:  

    서비스 품질의 가시화: 서비스는 물리적 제품과 달리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품질을 가시화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인증서, 고객 후기, 평가 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신뢰성을 구축합니다.  

    브랜드 가치 강화: 강력한 브랜드는 서비스의 무형성을 보완하는 요소입니다. 브랜드 가치를 강화하여 고객에게 신뢰를 주고, 서비스를 선택하는 기준을 제공합니다.  

동시성 대응:  

    수요 관리: 서비스는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피크 타임과 비피크 타임의 수요를 관리해야 합니다. 피크 타임에 차별화된 요금제를 적용하거나, 예약 시스템을 통해 수요를 분산시킵니다.  

    셀프서비스 옵션 제공: 고객이 직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셀프서비스 옵션을 제공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부담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입니다.  

이질성 대응:  

    서비스 표준화: 서비스는 제공자와 고객에 따라 품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매뉴얼, 트레이닝 시스템을 구축하여 서비스의 표준화를 도모합니다.  

    고객 참여 유도: 고객이 서비스 생산 과정에 참여하게 하여, 공동 생산(Co-production) 모델을 구축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의 기대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소멸성 대응:  

    수익 관리(Revenue Management) 시스템 도입: 서비스는 저장이 불가능하므로, 제공되지 않은 서비스는 곧바로 손실로 이어집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익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가격과 공급을 최적화합니다.  

    보완 서비스 개발: 유휴 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보완 서비스를 개발하여, 소멸성을 극복하고 추가 수익을 창출합니다.  

사례:  

    Starbucks의 모바일 주문 시스템: 대기 시간을 감소시키고, 수요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모바일 주문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의 대기 시간을 줄이고, 피크 타임의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Airbnb의 호스트-게스트 매칭: 유휴 자산을 활용하고, 이질성을 관리하기 위해 호스트와 게스트 간의 매칭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서비스 품질을 유지합니다.  

    배달의민족: 배달의민족은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무형성, 동시성, 이질성, 소멸성에 대응하는 다양한 전략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고객 후기와 평점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가시화하고, 브랜드 가치를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피크 타임에 차별화된 요금제를 적용하고, 예약 시스템을 통해 수요를 분산시키는 전략을 사용합니다.  

    야놀자: 야놀자는 숙박 예약 플랫폼으로, 고객 후기와 평점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가시화하고 신뢰성을 구축하였습니다. 또한, 피크 타임과 비피크 타임에 따른 가격 변동을 통해 수요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숙박 옵션과 맞춤형 서비스 제공으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카카오톡 플러스친구는 기업과 고객 간의 소통을 강화하는 플랫폼입니다. 고객이 직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셀프서비스 옵션을 제공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서비스 제공자의 부담을 줄이고 있습니다. 고객의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서비스를 개선하고 있습니다.  


1.5.3. IT 산업의 BM

IT 산업은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과 높은 경쟁 속에서 다양한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들은 네트워크 효과, 데이터 활용, 그리고 사용자 기반 확장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합니다.


플랫폼 비즈니스:  

    양면/다면 시장 모델: 플랫폼은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 간의 가치 교환을 촉진합니다. 예를 들어, 라이더와 드라이버를 연결하는 Uber는 양면 시장 모델을 통해 성장했습니다.  

    네트워크 효과 활용: 플랫폼에 더 많은 사용자가 참여할수록 그 가치가 상승합니다. 이는 사용자 증가가 추가 사용자 유입을 촉진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합니다.  

Free미엄 모델:  

    기본 서비스 무료 제공, 고급 기능 유료화: 많은 IT 기업들이 프리미엄 모델을 통해 사용자 기반을 확장합니다. 예를 들어, Dropbox는 기본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무료로 제공하고, 추가 기능과 용량은 유료로 제공합니다.  

    사용자 기반 확대와 수익화의 균형: 초기에는 무료 서비스로 사용자 수를 늘리고, 이후 유료 업그레이드를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구독 경제:  

    SaaS(Software as a Service) 모델: 소프트웨어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요금을 지불하고 서비스를 이용하게 합니다. Salesforce는 대표적인 SaaS 모델을 통해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합니다.  

    정기 결제를 통한 안정적 수익 창출: 구독 모델은 예측 가능한 수익 흐름을 제공하며,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합니다.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사이트 제공: 기업은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도출합니다. 이는 맞춤형 서비스와 효율적인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AI/ML 기반 서비스 개인화: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을 통해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고,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서비스 충성도를 높입니다.  

사례:  

    Uber: 라이드셰어링 플랫폼으로, 사용자와 드라이버 간의 연결을 통해 양면 시장 모델을 구현했습니다. 또한 동적 가격 책정을 통해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춥니다.  

    Dropbox: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로, 프리미엄 모델을 채택하여 기본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추가 기능과 용량은 유료로 제공합니다.  

    Salesforce: B2B SaaS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플랫폼으로, 구독 모델을 통해 기업 고객에게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네이버: 네이버는 검색 엔진을 중심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네이버 페이, 네이버 웹툰, 네이버 블로그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양면 시장 모델을 구현하고 있으며, 사용자 증가에 따른 네트워크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카카오: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기업으로, 카카오페이, 카카오택시, 카카오모빌리티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양면 시장 모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의 무료 메시징 서비스와 프리미엄 기능을 결합하여 사용자 기반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직방: 부동산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사용자(임차인/매수자)와 부동산 중개업자를 연결하는 양면 시장 모델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직방은 부동산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클래스101: 온라인 강의 플랫폼으로, 프리미엄 모델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무료 강의를 제공하면서, 추가 기능과 고급 강의는 유료로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기반을 확장하고, 구독 모델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토스: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 기업으로, 사용자의 금융 데이터를 분석하여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토스는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며, 프리미엄 모델과 구독 모델을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1.5.4. 소매업의 BM 

소매업의 비즈니스 모델(BM)은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 행동과 기술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현대 소매업체들은 다양한 혁신적 전략을 통해 고객 경험, 효율성, 수익성을 향상하고자 합니다.

옴니채널 전략:  

    온/오프라인 채널 통합: 소매업체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채널을 통합하여 일관된 고객 경험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온라인에서 주문한 제품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픽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편리함을 극대화합니다.  

    데이터 기반 개인화: 다양한 채널에서 수집된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화된 마케팅 전략을 구현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의 행동을 예측하고, 맞춤형 프로모션을 제공합니다.  

D2C(Direct to Consumer):  

    중간 유통 단계 생략: 소매업체가 직접 소비자에게 제품을 판매하여 마진을 개선하고, 고객과의 직접 소통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강화합니다. 이는 고객 충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브랜드 가치 강화 및 고객 충성도 제고: D2C 모델을 통해 소비자와의 직접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브랜드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퀵커머스:  

    초고속 배송: 소매업체들은 1시간 이내의 초고속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여, 즉각적인 소비자 요구를 충족시킵니다. 이는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반복 구매를 유도합니다.  

     소규모 물류 센터(Dark Store) 활용: 도시 내에 소규모 물류 센터를 운영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배송을 실현합니다.   

구독 기반 리테일:  

    정기 배송 서비스: 생필품이나 식품 등을 정기적으로 배송하는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여, 소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합니다. 이는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큐레이션 박스: 고객의 취향에 맞춘 개인화된 제품을 선별하여 정기적으로 배송하는 큐레이션 박스를 통해 새로운 쇼핑 경험을 제공합니다.  

사례:  

    Zara: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합하여 재고를 관리하고, 매장 픽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 편의를 증대시켰습니다.  

    Dollar Shave Club: 면도기 구독 서비스를 통해 직접 소비자에게 제품을 판매하고, 고객 충성도를 높였습니다.  

    Gorillas: 10분 이내 식료품 배달 서비스를 통해 초고속 배송을 실현하고, 소비자 만족도를 극대화했습니다.  

    쿠팡: 한국의 대표적인 온라인 쇼핑몰로, '로켓배송' 서비스를 통해 주문 후 단 몇 시간 내에 제품을 배송합니다. 이 서비스는 고객들에게 큰 만족을 주며 반복 구매를 유도합니다.  

    마켓컬리: 신선 식품을 새벽에 배송하는 '새벽배송' 서비스로 유명합니다. 고객이 밤에 주문하면 아침에 신선한 식품을 받을 수 있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SSG닷컴: 이마트와 신세계의 온라인 쇼핑몰로,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합하여 편리한 쇼핑 경험을 제공합니다. 특히, 온라인에서 주문한 제품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픽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GS 프레시몰: GS리테일의 온라인 쇼핑몰로, 신선 식품과 생활용품을 빠르게 배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도시 내 소규모 물류 센터를 활용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배송을 실현합니다.  

1.5.5. 금융업의 BM

금융업은 기술 혁신과 규제 변화에 힘입어 비즈니스 모델(BM)의 혁신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핀테크, 인슈어테크, 로보어드바이저, 오픈뱅킹 등의 혁신적 접근이 금융업계의 판도를 바꾸고 있으며, 새로운 서비스와 가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핀테크:  

    P2P 대출: 개인 간 직접 대출을 중개하는 플랫폼을 통해 대출 절차를 간소화하고, 중개 비용을 절감합니다. 이는 대출자와 차입자 모두에게 더 나은 조건을 제공합니다.  

    모바일 결제: 간편 송금과 디지털 월렛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와 기업 간의 금융 거래를 혁신합니다. 이를 통해 금융 접근성을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합니다.  

인슈어테크:  

    사용 기반 보험(UBI): 실제 사용량에 따라 보험료를 책정하는 모델로, 고객의 개별적인 사용 패턴을 반영한 맞춤형 보험을 제공합니다.  

    온디맨드 보험: 고객이 필요할 때 단기적으로 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유연성과 편의성을 높입니다.  

로보어드바이저:  

    알고리즘 기반 자산 관리: 저비용으로 자동화된 포트폴리오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투자 접근성을 높이고 관리 비용을 절감합니다.  

    하이브리드 모델: 인공지능(AI)과 인간 전문가를 결합하여, 자동화된 관리와 인간의 전문성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오픈뱅킹:  

    API 기반 금융 서비스 생태계 구축: 은행이 API를 통해 데이터를 외부에 개방하여, 제삼자 서비스 제공업체와의 협력을 강화합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한 플랫폼에서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제삼자 서비스 제공업체와의 협력: 다양한 핀테크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를 개발하고, 고객에게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합니다.  

사례:  

    Ant Financial: 종합 금융 플랫폼을 구축하여, 빅데이터 기반 신용평가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Lemonade: AI 기반 보험 청구 처리와 P2P 보험 모델을 도입하여, 보험 청구 과정을 자동화하고, 보험 가입자 간의 리스크를 분산합니다.  

    Wealthfront: 자동화된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세금 최적화 전략을 통해 고객의 투자 수익을 극대화합니다.  

    카카오페이: 간편 송금과 디지털 월렛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이 쉽게 금융 거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카카오페이 보험: 사용 기반 보험(UBI)과 온디맨드 보험을 포함하여 고객의 개별적인 니즈에 맞춘 보험 상품을 제공합니다.   

    토스 (Toss): 개인 간 대출을 중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대출 절차를 간소화하고 중개 비용 절감하고 종합 금융 플랫폼으로 송금, 투자, 보험, 대출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한 플랫폼에서 제공합니다.   

    뱅크샐러드: 사용자 금융 데이터를 분석하여 맞춤형 자산 관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핀다: 대출 비교 플랫폼으로 다양한 금융기관의 대출 상품을 비교하여 제공합니다.   

    핀크: 모바일 금융 플랫폼으로 신용관리, 자산관리, 맞춤형 금융 상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5.6.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산업의 BM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디지털 혁신과 소비자 행동의 변화에 따라 비즈니스 모델(BM)의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스트리밍 서비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인터랙티브 콘텐츠, 메타버스 플랫폼 등이 이 변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스트리밍 서비스:  

    구독 기반 무제한 콘텐츠 제공: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요금을 지불하고 무제한으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구독 모델을 채택합니다. 이는 안정적인 수익 창출과 고객 충성도 향상에 기여합니다.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투자: 독점적인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을 통해 구독자를 유치하고 유지합니다. 고유의 콘텐츠는 플랫폼의 차별화 요소로 작용합니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개인 창작자 중심의 콘텐츠 생태계: 개인 창작자가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를 제작하고 배포하며, 직접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입니다.  

    다양한 수익화 모델: 광고 수익 분배, 후원, 상품 판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합니다. 이는 창작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극대화합니다.  

인터랙티브 콘텐츠:  

    사용자 참여형 스토리텔링: 사용자가 스토리 전개에 참여하고 선택을 통해 이야기를 진행시키는 형태의 콘텐츠입니다. 이는 높은 몰입감과 재방문율을 유도합니다.  

    게임과 영상의 융합: 전통적인 영상 콘텐츠와 게임 요소를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합니다. 이는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창출합니다.  

메타버스 플랫폼:  

    가상공간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 사용자들이 가상공간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고,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디지털 자산 거래 및 경제 활동: 가상 아이템과 자산을 거래하고 경제 활동을 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합니다. 이는 새로운 경제 모델을 제공합니다.  

사례:  

    Netflix: 데이터 기반 콘텐츠 추천 시스템과 오리지널 시리즈 제작을 통해 구독자를 유치하고 유지합니다. 독점적인 콘텐츠로 차별화를 시도합니다.  

    YouTube: 크리에이터 파트너 프로그램과 멤버십 기능을 통해 창작자들이 다양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Roblox: 사용자 제작 게임 플랫폼을 제공하며, 가상 경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들이 디지털 자산을 거래하고 경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왓챠: 구독 기반 무제한 콘텐츠 제공과 데이터 기반 콘텐츠 추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콘텐츠를 쉽게 찾도록 지원합니다.  

    V LIVE: 아이돌 및 아티스트와 팬들이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팬클럽 멤버십 및 유료 팬미팅을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네이버 웹툰: 개인 창작자들이 웹툰을 제작하고 배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며, 광고 수익 분배와 유료 결제 모델을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아프리카TV: 크리에이터가 실시간 방송을 통해 팬들과 소통하며, 별풍선과 후원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카카오페이지: 웹소설 및 웹툰 플랫폼으로, 유료 결제와 광고 모델을 통해 창작자와 플랫폼이 수익을 공유합니다.  

    네이버 ZEPETO: 사용자들이 가상 아바타를 꾸미고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디지털 아이템 판매와 가상 경제 시스템을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1.5.7. 헬스케어 산업의 BM

헬스케어 산업은 디지털 혁신과 기술 발전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BM)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원격 의료, 개인화 의료, 예방 중심 모델, 디지털 치료제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한국의 경우, 헬스케어 산업의 디지털화는 아직 규제와 정책적 논란으로 인해 진척이 느린 편이지만, 국외에서는 다양한 변화와 혁신이 기대받고 있습니다. 

원격 의료:  

    비대면 진료 및 모니터링: 환자가 의료 기관을 방문하지 않고도 온라인을 통해 진료와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접근성을 높이고 의료 서비스의 효율성을 증대시킵니다.  

    만성질환 관리 플랫폼: 만성질환 환자들을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개인화 의료:  

    유전체 분석 기반 맞춤형 치료: 환자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는 치료의 정확성과 효과를 높입니다.  

    AI 활용 정밀 진단: 인공지능을 활용한 정밀한 진단과 분석을 통해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보다 효율적인 치료 방법을 제시합니다.  

예방 중심 모델:  

    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건강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스마트 워치나 피트니스 트래커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 개선 코칭 서비스: AI 기반 코칭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디지털 치료제:  

    소프트웨어 기반 치료 솔루션: 전통적인 약물 치료 대신,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한 치료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는 특히 정신 건강 관리 및 행동 교정 분야에서 효과적입니다.  

     기존 약물 치료 보완 또는 대체: 디지털 치료제를 통해 기존의 약물 치료를 보완하거나 대체하여, 보다 종합적인 치료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사례:  

    Teladoc Health: 24/7 원격 의료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여, 환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23andMe: 직접 소비자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통해 개인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건강 관리와 연구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Noom: AI 코치 기반 다이어트 및 운동 관리 앱으로, 사용자의 건강한 생활습관을 돕고, 개인 맞춤형 코칭을 제공합니다.  

    굿닥: 비대면 진료 및 건강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사용자들이 쉽게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라이프시맨틱스: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공하여 만성질환 관리와 예방 중심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젠큐릭스: 유전체 분석을 통해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바이오 헬스케어 회사로, 개인화된 의료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휴레이포지티브: 만성질환 환자들을 위한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여, 실시간으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예방 중심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1.5.8. 교육산업의 BM 

교육산업은 디지털 전환과 기술 발전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BM)에 큰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에듀테크, MOOC, 마이크로 러닝, 실습 기반 온라인 교육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특히 교육산업은 글로벌 온라인 시대의 주도권을 위하여 예일, 하버드, 스탠퍼드, MIT 등의 전통 교육산업의 강자들이 오픈교육 시장을 특히 주도하고 있습니다.

에듀테크:  

    AI 기반 개인화 학습: 인공지능을 활용해 학생 개개인의 학습 성향과 수준을 분석하여 맞춤형 학습 경로를 제공합니다. 이는 학습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학습자의 성취도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실시간 피드백 및 성과 추적: 학습 과정에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성과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학생의 발전 상황을 모니터링합니다.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s):  

    대규모 무료 온라인 강좌: 인터넷을 통해 대규모로 제공되는 무료 온라인 강좌로, 누구나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교육의 접근성을 높이고, 평생 학습을 촉진합니다.  

    인증서 발급을 통한 수익 창출: 수료 후 인증서를 발급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이는 학습자의 동기 부여를 높이고, 교육 기관의 수익성을 보장합니다.  

마이크로 러닝:  

    짧은 단위의 학습 콘텐츠 제공: 짧고 간결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틈새 시간을 활용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바쁜 현대인들에게 적합한 학습 방식입니다.  

    모바일 최적화: 모바일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여,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실습 기반 온라인 교육:  

    VR/AR 활용 실습 환경 구현: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활용해 실제와 유사한 실습 환경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보다 실감 나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기반 협업 학습 플랫폼: 프로젝트 기반으로 학습자들이 협업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여, 실습과 협업을 통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사례:  

    Coursera: 대학과 연계하여 온라인 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다양한 분야의 강좌를 수강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Coursera는 MOOC의 대표적인 예로, 수료 인증서를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Duolingo: 국내에도 유명한 게이미피케이션 기반의 언어 학습 앱으로, 사용자가 재미있게 언어를 배울 수 있도록 합니다. Duolingo는 무료로 기본 서비스를 제공하며, 프리미엄 기능을 유료화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VIPKid: 1:1 온라인 영어 교육 플랫폼으로, 학생들이 전 세계의 원어민 교사와 연결되어 영어를 배울 수 있습니다. VIPKid는 수업당 요금을 부과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SNUON: 서울대학교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으로, 다양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하며 MOOC 형태로 수강생들에게 교육을 제공합니다.   

    클래스101: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강의를 개설하고 수강생들이 이를 구독 형태로 수강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입니다.   

    튜터링: 1:1 영어 회화 튜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며, 학생들이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을 통해 원어민 튜터와 영어를 배울 수 있습니다.   

    Enuma: 토도수학을 개발한 회사로, 어린이를 위한 맞춤형 디지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여, 재미있고 효과적인 수학 학습을 지원합니다.  


1.5.9. 에너지 자원 산업의 BM 

에너지 산업은 신재생 에너지의 도입과 기술 혁신을 통해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BM)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RE100으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기후 위기등의 관심사와 맞물려 자원 재활용,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과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목표로 하며, 여러 새로운 BM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신재생 에너지:  

    분산형 발전 모델: 태양광, 풍력 등 분산형 발전 시스템을 통해 전력을 생산합니다. 이는 중앙 집중식 발전소 의존도를 낮추고, 지역별 자급자족형 에너지 공급을 가능하게 합니다.  

    에너지 프로슈머: 가정이나 기업이 자체적으로 생산한 잉여 전력을 전력망에 판매하거나, 다른 사용자와 거래하는 모델입니다. 이는 전력 소비자와 생산자의 경계를 허물고, 보다 유연한 전력 시장을 형성합니다.  

에너지 저장:  

    배터리 기술 혁신 및 규모의 경제 실현: 고성능 배터리 기술을 통해 대규모 에너지 저장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신재생 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보장합니다.  

    그리드 안정화 서비스 제공: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활용해 전력망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피크 수요를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스마트 그리드:  

    IoT 기반 실시간 에너지 관리: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통해 실시간으로 에너지 소비를 모니터링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소비 패턴에 맞춘 최적의 에너지 사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수요 반응(Demand Response) 프로그램: 소비자가 전력 사용을 조절하여 전력망의 안정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소비자는 수요 반응에 참여함으로써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에너지 효율화 / 재생 :  

    ESCO(Energy Service Company) 모델: 에너지 절약을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델입니다. ESCO는 고객의 에너지 소비를 분석하고,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며, 절약된 에너지 비용의 일부를 수익으로 얻습니다.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건물의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입니다. BEMS는 실시간 모니터링과 제어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재생 에너지: 친환경 에너지 생산을 통해 탄소 배출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 확보  

 사례:  

    NextEra Energy: 미국에서 가장 큰 재생 에너지 기업으로, 태양광 및 풍력 발전소를 운영하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TerraCycle: 다양한 폐기물을 수거하여 재활용하거나 새로운 제품으로 업사이클링하는 순환 경제 모델을 운영합니다.  

    John Deere: 정밀 농업 기술을 도입하여 농업 생산성을 향상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을 지원합니다.  

    ClimateTrade: 탄소 배출권 거래 플랫폼을 통해 기업들이 탄소 배출을 줄이고, 탄소 크레딧을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Patagonia: 재활용 소재와 지속 가능한 생산 방식을 통해 환경 친화적인 아웃도어 의류를 제공합니다.  

    Xylem: 스마트 물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여 물 사용 효율성을 높이고, 수자원 보호에 기여합니다.  

    Tesla: 전기차와 배터리 기술을 통해 지속 가능한 교통수단을 제공하며, 탄소 배출 저감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한화큐셀: 태양광 패널 제조 및 태양광 발전소 운영을 통해 재생 에너지 보급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LG화학: 전기차 배터리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통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SK이노베이션: 탄소 배출 저감 기술과 친환경 에너지 프로젝트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합니다. 

    GS칼텍스: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원료로 사용하는 순환 경제 모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 스마트 물 관리 솔루션을 통해 물 사용 효율성을 높이고, 수자원 보호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 전기차와 수소차 개발을 통해 지속 가능한 교통수단을 제공하며, 탄소 배출 저감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Tesla: 전기차, 태양광 패널, 가정용 배터리를 통합한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Tesla는 전기차와 재생에너지의 결합을 통해 에너지 산업에 혁신을 가져왔습니다.  

    Nest (Google): 스마트 온도조절기와 에너지 절약 프로그램을 통해 가정의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합니다. Nest는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지원합니다.  

    Octopus Energy: 동적 요금제와 재생에너지 중심의 전력 공급을 통해 에너지 시장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Octopus Energy는 소비자의 에너지 사용 패턴에 맞춘 맞춤형 요금제를 제공하여 에너지 비용을 절감합니다.  


1.5.10 패션 산업의 BM

패션 산업은 디지털 혁신과 지속 가능성 요구에 따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변화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환경에 대한 관심 증가와 자정 촉구 등의 움직임과 함께 패션 산업은 새로운 BM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패션테크 (FashionTech):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을 활용한 가상 피팅룸은 고객이 온라인 쇼핑 중에도 옷을 착용해 보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는 반품률을 줄이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구독 기반 의류 서비스: 의류 렌탈 및 구독 모델은 고객이 일정한 구독료를 지불하고, 다양한 의류를 정기적으로 대여할 수 있습니다.   

    지속 가능 패션: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고, 제품의 재활용과 재사용을 촉진하는 순환 경제 모델을 도입하여, 환경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맞춤형 패션 서비스: AI를 기반으로 고객의 취향과 체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맞춤형 패션 아이템을 추천합니다.   

    디지털 패션: 고객이 가상 세계에서 착용할 수 있는 디지털 패션 아이템을 판매합니다. 이는 특히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수익 창출에 기여합니다.  

예시:  

    Zara: AR을 활용한 가상 피팅룸을 도입하여, 고객들이 온라인에서도 실제로 옷을 입어보는 것과 같은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반품률을 줄이고, 고객 만족도를 높였습니다.  

    Rent the Runway: 구독 기반 의류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들이 다양한 디자이너 의류를 정기적으로 대여하고, 착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Patagonia: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고, 의류의 수선과 재판매를 통해 순환 경제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의류 재활용 프로그램을 통해 환경 보호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Stitch Fix: AI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고객의 스타일과 취향에 맞춘 개인화된 의류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 맞춤형 경험을 제공합니다.  

    The Fabricant: 디지털 패션 하우스로, 가상 의류를 제작 및 판매하여, 메타버스와 같은 디지털 환경에서 착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무신사: 온라인 패션 플랫폼으로, 다양한 브랜드와 협력하여 트렌디한 패션 아이템을 제공합니다. 무신사는 개인화된 추천 시스템과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고객 충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코오롱FnC: 친환경 패션 브랜드를 운영하며, 지속 가능한 소재와 생산 방식을 도입하여 환경 보호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코오롱FnC는 재활용 소재를 사용한 의류를 통해 지속 가능한 패션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LF(엘에프)/파스텔몰: AI 기반의 패션 추천 서비스를 도입하여 고객의 취향에 맞는 맞춤형 의류를 추천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충성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1.5.11 식품 및 음료 산업의 BM 

식품 및 음료 산업은 디지털화와 소비자 트렌드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수익 모델과 과금 모델을 통해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소비자에게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식사/음료 구독 서비스: 정기적으로 다양한 음료나 식사 키트를 배송하여 소비자가 편리하게 다양한 식음료를 집에서 즐길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D2C(Direct to Consumer) 모델 : 브랜드와 소비자 간 직접 거래로 중간 유통 단계를 생략하여 소비자와의 직접 소통 강화 및 마진을 개선합니다.   

    맞춤형 제품 제공:  소비자의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건강식품/영양제를 제공합니다.   

    온디맨드 서비스: 소비자가 원하는 시간에 식사를 받을 수 있도록 즉석식품 배달 서비스 제공  

    친환경 포장 및 재활용: 지속 가능한 포장재 사용 및 재활용 프로그램 도입  

    지속 가능한 원재료 조달: 환경 친화적인 농업 방식과 지속 가능한 어업을 통해 원재료를 조달  

사례:  

    Sips by: 맞춤형 차 구독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차 샘플을 매월 배송하여 소비자가 새로운 차를 발견할 수 있게 합니다.  

    Blue Bottle Coffee: D2C 모델을 통해 고품질 커피 원두를 직접 판매하며, 소비자와의 관계를 강화합니다.  

    Care/of: 개인의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영양제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건강 목표 달성을 지원합니다.  

    DoorDash: 레스토랑과 협력하여 소비자에게 다양한 식사를 빠르게 배달하는 즉석식품 배달 서비스를 운영합니다.  

    Loop: 재사용 가능한 포장재를 사용하여 지속 가능한 소비를 촉진하고, 환경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Beyond Meat: 식물성 고기를 생산하여 육류 소비로 인한 환경 영향을 줄이고 있습니다.  

    마켓컬리: 신선한 식재료와 고품질 식품을 새벽 배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신선한 식품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프레시코드: 식사 구독 서비스로, 신선한 샐러드와 식사를 정기적으로 배송하여 건강한 식습관을 지원합니다. 현재 파산상태이지만 BM 설계 부분에서는 눈에 띄는 사례를 가진 회사입니다.   

    동원F&B: 친환경 포장재를 사용한 제품을 출시하며, 지속 가능한 식품 소비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풀무원: 친환경 농법으로 재배한 재료를 사용한 식품을 제공하여, 건강과 환경을 모두 고려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1.5.12. 부동산 산업의 BM 

부동산 산업은 기술 혁신을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하며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PropTech(부동산 기술)는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있으며, 임대 모델의 다양화, 스마트 빌딩의 등장 등을 통해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합니다. 디지털 콘텐츠의 과금 모델과 수익 모델을 기획하는 초급 기획자들에게는 이러한 혁신 사례들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PropTech(부동산 기술)의 도입:  부동산 기술 혁신을 통한 서비스 제공: PropTech은 부동산 거래, 관리, 분석 등에 첨단 기술을 적용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 플랫폼을 통해 매물 검색, 가상 투어, 온라인 계약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임대 모델의 다양화 :   에어비앤비와 같은 플랫폼을 통하여 유휴 자산 활용을 높이는 단기 임대 모델과  유연한 임대와 협업이 장점인  WeWork와 같은 공유 사무실 모델이 대표적입니다.   

    스마트 빌딩/홈의 등장 : 스마트 빌딩은 IoT 기술을 활용하여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하고,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이를 통해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지속 가능한 건물 관리를 실현합니다. 스마트 홈 기술은 거주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 잠금장치, 조명 제어, 온도 조절 시스템 등을 도입합니다.  

    부동산 시장 데이터 분석: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하여 부동산 시장 동향을 분석하고, 투자 전략을 수립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에게 맞춤형 부동산 정보를 제공하고, 경쟁 우위를 확보합니다.  

사례:   

    Zillow: 부동산 매물 검색 플랫폼으로, AI 기반의 부동산 가치 평가 모델인 "Zestimate"를 통해 사용자에게 정확한 가격 정보를 제공합니다.  

    Airbnb: 단기 임대 플랫폼으로, 전 세계 숙박 공간을 제공하며 부동산 임대 시장에 혁신을 가져왔습니다.  

    WeWork: 공유 사무실 모델을 통해 유연한 임대 조건과 협업 공간을 제공하며,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의 공간 문제를 해결합니다.  

    Nest (Google): 스마트 홈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온도조절기와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여, 주거 환경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입니다.  

    모두의집: 인테리어 플랫폼으로 시작하여 부동산 중개까지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사용자들의 인테리어 정보 공유를 기반으로 한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합니다.  

    KT 스마트홈: 통신사의 강점을 활용하여 IoT 기반의 스마트홈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네이버 부동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부동산 시세, 거래 동향, 주변 환경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합니다.   

    스파크플러스: 국내 대표적인 공유 오피스 브랜드로, 유연한 임대 조건과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5.13. 농업 산업의 BM 

농업 산업은 기술 혁신을 통해 전통적인 농업 방식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하며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정밀 농업, 수직 농업, 농업용 로봇 등의 첨단 기술이 적용되면서 효율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 사례들은 디지털 콘텐츠의 과금 모델과 수익 모델을 기획하는 초급 기획자들에게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정밀 농업(Precision Agriculture): 드론, 센서, 데이터 분석을 통한 농업 효율화: 정밀 농업은 드론과 센서를 활용하여 농작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 재배 조건을 찾습니다. 이를 통해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자원 사용을 최적화합니다.  

    수직 농업(Vertical Farming): 도시 내 고층 빌딩에서의 농작물 재배: 수직 농업은 도시 내 고층 빌딩을 활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으로,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도시 내 식량 자급률을 향상합니다. LED 조명과 수경 재배 기술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업을 구현합니다.  

     농업용 로봇(Agricultural Robots): 자동화된 파종, 수확 시스템: 농업용 로봇은 자동으로 파종, 수확, 잡초 제거 등을 수행하여 노동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입니다. 이러한 자동화 시스템은 특히 노동력이 부족한 지역에서 큰 효과를 발휘합니다.  

    데이터 기반 농업 경영: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농업 경영 최적화: 농업 데이터 분석을 통해 농업 경영을 최적화하고, 예측 모델을 통해 작물 수확량을 예측합니다. 이를 통해 농부들은 더 나은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통합 농업 관리 시스템: 스마트 농업 플랫폼은 다양한 농업 기술을 통합하여 하나의 관리 시스템으로 제공하며,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경영 효율성을 개선합니다.  

    구독 모델 및 예약 생산 모델 :  고객이 특정 품종의 농산물을 매년 제철에 공급받는 구독 모델을 도입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합니다. 예약 생산 모델을 통해 고객의 수요를 미리 파악하고, 이에 맞춰 생산 계획을 세웁니다. 특정 품종을 선호하는 커뮤니티 모델로도 연결됩니다.   

예시:   

    John Deere는 드론과 센서를 사용하여 농작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비료와 물의 사용량을 최적화합니다.  

    AeroFarms는 뉴욕에 위치한 수직 농장을 운영하며, LED 조명과 수경 재배 기술을 통해 고효율 농작물 생산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Blue River Technology는 머신러닝 기반의 로봇을 개발하여, 잡초를 정밀하게 제거하고, 파종 및 수확 작업을 자동화합니다.  

    Climate Corporation은 기후 데이터와 농업 데이터를 분석하여 농부들에게 맞춤형 농업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Trimble Ag Software는 농업 관리 소프트웨어를 통해 농업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농업 경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Local Roots는 구독 모델을 통해 고객에게 신선한 농산물을 정기적으로 공급하며, 예약 생산을 통해 낭비를 줄이고 효율적인 재배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한국 농촌진흥청은 IoT 센서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스마트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상상텃밭 주식회사는 도시 내 유휴 공간을 활용한 수직농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은 장시간 비행이 가능한 수소연료전지 드론을 개발하여 농약 살포, 작물 모니터링 등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헬로네이처는 신선 농산물 정기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소비자와 농부를 직접 연결하는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5.14. 항공우주 산업의 BM 

항공우주 산업은 전통적인 항공 운송뿐만 아니라, 우주 탐사와 민간 우주여행 등의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하며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디지털 콘텐츠의 과금 모델과 수익 모델을 기획하는 초급 기획자들에게도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항공우주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됩니다:  

    비용 절감과 효율성 극대화: 저비용 항공사(Low-Cost Carrier, LCC)는 운영 비용을 최소화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항공권 가격을 낮추고,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합니다.  

    민간 우주여행 비즈니스: 우주 관광은 민간인이 우주를 여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이는 고부가가치 서비스로, 우주여행 경험을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데이터 수집 및 통신 서비스: 위성 서비스를 통해 지구 관측, 데이터 수집, 통신 서비스 등을 제공합니다. 이는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서비스입니다.  

    항공우주 제조 혁신: 항공우주 산업에서는 경량화와 강도를 겸비한 첨단 소재와 3D 프린팅 기술 등을 도입하여 제조 혁신을 이루고 있습니다.  

    정기적 유지보수 및 수명 연장 서비스: 항공우주 산업에서는 정기적인 유지보수와 수명 연장 서비스를 통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예시:   

    Ryanair와 Southwest Airlines는 저비용 항공사의 대표적인 예로, 운항 효율성 극대화와 부가 서비스 수익 창출을 통해 낮은 운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SpaceX와 Blue Origin은 민간 우주여행을 위한 상업용 우주선을 개발하고 있으며, 민간 우주 관광 시장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Planet Labs는 소형 위성을 통해 지구의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며, 이를 통해 농업, 환경 모니터링, 도시 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Boeing과 Airbus는 탄소 복합 소재와 3D 프린팅 부품을 도입하여 항공기의 효율성을 높이고,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있습니다.  

    GE Aviation은 엔진 유지보수 프로그램을 통해 항공기 엔진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한국에서는 한화시스템이 정부용 저궤도 우주 위성통신 사업 '프로젝트 리퍼'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1.5.15 호텔 및 숙박 산업의 BM 

호텔 및 숙박 산업은 전통적인 서비스 모델에서 벗어나,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디지털 콘텐츠의 과금 모델과 수익 모델을 기획하는 기획자들에게도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독특한 경험 제공: 부티크 호텔은 대규모 체인 호텔과는 달리, 개별적인 테마와 디자인을 통해 독특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는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며, 높은 고객 만족도를 이끌어냅니다.  

    개인 주거 공간의 임대: 에어비앤비와 같은 공유 숙박 플랫폼은 개인 주거 공간을 임대하여 여행객들에게 다양한 숙박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는 기존 호텔 산업의 틀을 벗어나, 유휴 자산을 활용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합니다.  

    자동화된 룸서비스, 체크인 시스템: 호텔 산업에서는 로봇 기술을 도입하여 룸서비스와 체크인 시스템을 자동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경험 중심의 테마 숙박:  고객의 특별한 경험을 중시하는 테마 숙박 서비스는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며,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합니다.  

    장기 체류 고객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비즈니스 여행자나 장기 체류 고객을 위해, 호텔과 아파트의 장점을 결합한 서비스 아파트는 편리한 시설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예시:  

    Ace Hotel과 The Standard는 독특한 인테리어와 지역 문화를 반영한 서비스로, 고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Airbnb는 전 세계의 개인 주거 공간을 여행객들에게 제공하며, 호스트와 게스트 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통해 다양한 숙박 경험을 가능하게 합니다.  

    Henn-na Hotel in Japan은 로봇이 체크인, 체크아웃, 룸서비스 등을 담당하는 자동화된 시스템을 도입하여 고객 경험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Treehotel in Sweden은 나무 위에 지어진 독특한 숙박 시설을 제공하여, 자연 속에서의 특별한 경험을 추구하는 고객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Marriott's Residence Inn은 장기 체류 고객을 위한 넓은 공간과 주방 시설을 제공하여, 집과 같은 편안함을 제공합니다.  

    여기어때는 국내 숙박 예약 플랫폼으로, 다양한 숙박 시설을 한 곳에서 비교하고 예약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신라스테이는 모바일 체크인/체크아웃, 디지털 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LG 클로이’ 로봇dms 조선호텔 앤 리조트와 호텔 서비스 로봇 개발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워커힐 호텔은 의료 AI 기업 웨이센과 전용 헬스케어 프로그램을 도입키로 했습니다.   


1.5.16 스포츠 및 웰니스 산업의 BM 


스포츠 및 웰니스 산업은 디지털 기술과 연결성을 활용하여 고객들에게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피트니스 클래스: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또는 온디맨드로 피트니스 클래스를 제공하는 모델입니다. 고객들은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하며,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웨어러블 기기: 운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개인화된 피트니스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경기 라이브 스트리밍 구독: 스포츠 팬들에게 다양한 경기의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독 모델로 제공하여,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경기를 시청할 수 있게 합니다.  

    IoT 및 AI 기반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 스마트 체육관은 IoT 기기와 AI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운동 기구와 사용자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운동 계획을 제안합니다.  

    소셜 피트니스 플랫폼: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 성과를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와 경쟁하거나 협력할 수 있는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이러한 커뮤니티 기능은 사용자 참여를 높이고, 지속적인 동기부여를 제공합니다.  

    오프라인 및 온라인 커뮤니티 이벤트: 정기적인 운동 모임, 워크숍, 챌린지 등을 통해 커뮤니티의 결속력을 강화하고, 고객 충성도를 높입니다.  

    웰니스 원격 진료 및 상담: 비대면으로 의료 상담과 진료를 제공하여 접근성을 높입니다.  

    구독 기반 웰니스 프로그램: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과 정신 건강 관리를 구독 형태로 제공하여 지속적인 건강 관리를 지원합니다.  

    개인 맞춤형 건강 솔루션: 유전자 분석 및 개인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건강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여 보다 개인화된 건강 관리를 지원합니다.  

예시:   

    Peloton은 실시간 스트리밍과 온디맨드 클래스를 제공하여, 고객들이 집에서도 전문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Fitbit은 사용자의 운동, 심박수, 수면 패턴 등을 모니터링하여 맞춤형 건강 관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DAZN은 여러 스포츠 경기를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제공하며, 월간 구독 모델을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Tonal은 AI 기반의 개인 트레이너 기능을 갖춘 스마트 피트니스 장비로, 사용자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Strava는 운동 기록을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와 비교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 간의 연결성과 경쟁심을 고취시킵니다.  

    CrossFit은 지역별 커뮤니티 이벤트와 글로벌 챌린지를 통해 회원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Teladoc Health는 원격 의료 상담 서비스를 통해 24/7 진료를 제공하고, 만성질환 관리 플랫폼을 운영합니다.  

    Headspace는 명상 앱을 통해 다양한 명상 프로그램을 구독 서비스로 제공합니다.  

    23andMe는 유전자 검사를 통해 개인의 건강 위험 요인을 분석하고 맞춤형 건강 관리 전략을 제안합니다.  

    카카오 VX는 AI 기반 골프 연습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여, 실내 골프 연습장에서 맞춤형 레슨과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실력 향상을 지원합니다.  

    눔(Noom)은 AI를 활용한 개인화된 다이어트 및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식습관과 생활 패턴을 분석하고 맞춤형 조언을 제공합니다.  

    독일 기업 ‘바하'가 스마트 피트니스 거울  '바하'를 출시한 이후 다양한 회사들이 스마트 피트니스 거울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캐나다 누라로직스(NuraLogix)는 CES에서 공개한 자사의 스마트 미러를 통해 우울증을 비롯해 심혈관 질환·당뇨 위험·지방간·피부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고 합니다.   


1.5.17 자동차 산업의 BM

자동차 산업은 전통적인 제조업에서 벗어나, 전기차, 카셰어링, 자율주행 등 다양한 혁신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전기차의 핵심 기술 중 하나는 배터리입니다. 배터리 효율성을 높이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키는 기술 개발등이 있습니다.  

    충전 인프라: 전기차의 보급을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의 확충이 필요합니다. 이는 전기차 소유자들에게 편리한 충전 환경을 제공하고, 전기차 사용을 촉진시킵니다.  

    차량 공유 서비스: 소유 대신 필요할 때만 차량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는 차량 소유 비용을 줄이고, 환경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단기 렌탈 및 라이드헤일링: 단기적으로 차량을 렌탈하거나 라이드헤일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델입니다.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자율주행 기술을 통해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를 개발하고, 이를 상용화하는 모델입니다. 이는 교통사고 감소, 교통 흐름 개선 등 여러 장점을 제공합니다. 아직 먼 미래 같지만 특히 중국을 중심으로 누적 주행거리 연구의 격차는 생각보다 훨씬 크게 벌어지고 있습니다.   

    차량 구독 서비스: 고객이 월간 구독료를 지불하고 다양한 차량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모델입니다. 이는 다양한 차량을 경험하고 싶은 고객들에게 적합합니다.  

    부속품 애프터마켓 서비스: 차량 부속품 판매, 유지보수 서비스 등 추가적인 수익 창출 모델입니다.  

    부속품 구독 모델: 정기적으로 소모품이나 부속품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차량용 전자 시스템: 차량의 전자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한 수익 창출 모델입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엔터테인먼트 및 정보 시스템을 차량에 통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예시:   

    Tesla는 자사의 전기차 모델에 고효율 배터리와 빠른 충전 기술을 도입하여,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ChargePoint는 광범위한 충전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전기차 소유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충전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Zipcar는 회원들이 필요할 때마다 차량을 예약하고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차량 소유의 부담을 덜어줍니다.  

    Turo는 개인이 소유한 차량을 단기적으로 렌탈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여, 차량 소유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이익을 줍니다.  

    Waymo는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한 완전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여, 교통의 미래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Porsche Passport는 고객이 월 구독료를 지불하고, 다양한 Porsche 모델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구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Bosch는 다양한 자동차 부속품과 애프터마켓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Hum by Verizon은 자동차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할 때 소모품을 구독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Continental은 차량용 전자 시스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등을 개발하여, 자동차 제조업체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Harman International은 차량용 오디오 및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개발하여, 고급 차량 브랜드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쏘카: 국내 최대 카셰어링 서비스입니다.  

    LG전자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LG전자는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에게 고품질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1.5.18. 운송/물류 산업의 BM 

운송과 물류 산업은 기술 혁신과 소비자 요구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BM)이 등장하여 산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라스트마일 딜리버리:  

    도심 내 소형 물류 센터 활용: 대도시 내에 소형 물류 센터를 배치하여, 주문 후 빠른 시간 내에 배송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이는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고, 배송 시간을 단축시킵니다.  

    드론, 자율주행 로봇 배송: 드론과 자율주행 로봇을 활용하여, 라스트마일 배송을 자동화하고, 인건비를 절감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배송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배송 속도를 높입니다.  

공유 모빌리티:  

    차량 공유, 전기 스쿠터 등 다양한 이동 수단 제공: 차량 공유 서비스와 전기 스쿠터 대여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들이 다양한 이동 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교통 혼잡을 줄이고, 환경 친화적인 이동을 촉진합니다.  

    구독형 모빌리티 서비스(MaaS): 구독형 서비스로 다양한 모빌리티 옵션을 제공하여, 소비자들이 필요한 시점에 적절한 이동 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합니다.  

자율주행:  

    무인 택시, 트럭 운송 서비스: 자율주행 기술을 통해 무인 택시와 트럭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건비를 절감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입니다. 이는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물류비용을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안전성 향상 및 운영 비용 절감: 자율주행 차량은 사고를 줄이고, 운전 시간제한 없이 운행할 수 있어, 전반적인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물류 플랫폼:  

    실시간 화물 추적 및 경로 최적화: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화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최적의 경로를 제안하여, 물류 운영을 효율화합니다. 이는 물류 관리의 투명성을 높이고, 배송 시간을 단축시킵니다.  

    운송 수단과 화물의 효율적 매칭: 디지털 플랫폼은 화물과 운송 수단을 효율적으로 매칭하여, 공차 운행을 줄이고, 자원 활용을 극대화합니다.  

사례:  

    Amazon Prime Air: 드론을 이용한 배송 서비스로, 빠른 배송을 가능하게 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입니다.  

    Uber: 라이드헤일링 서비스와 음식 배달, 자율주행 기술을 결합한 종합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다양한 이동 수단을 제공합니다.  

    Waymo: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를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로봇 배송 서비스 '브링' 과 '브링온' 플랫폼을 출시했습니다.    

    배민로봇: 우아한형제들은 자율주행 배달 로봇을 딜리를 개발하여 라스트마일 배송 혁신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 로봇은 대학 캠퍼스나 아파트 단지 등에서 시범 운영되고 있습니다.  

    CJ대한통운의 TES: CJ대한통운은 택배 기사의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해 TES(Terminal Excellence System)를 도입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최적의 배송 경로를 제안합니다.  

    현대자동차의 UAM(도심항공모빌리티): 현대자동차는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으로 UAM을 개발 중입니다. 이는 도심에서의 항공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여 교통 혼잡 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1.5.19 공공 서비스 산업의 BM 혁신

공공 서비스 산업은 기술 혁신을 통해 시민들에게 더욱 효율적이고 접근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도시급의 변화부터 급변하는 기술을 따라잡기 위한 공기업/국가/도시의 위탁과 확장 서비스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습니다.   

    스마트 시티 IoT 기반 도시 관리: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의 다양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이는 교통, 에너지, 환경 모니터링 등 여러 분야에서 스마트한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디지털 정부 온라인 공공 서비스 : 정부의 다양한 서비스를 디지털화하여, 시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을 높이고, 행정 절차를 간소화합니다.  

    자동화된 대중교통 시스템: 자율주행 기술을 도입하여, 대중교통 시스템을 자동화하고 효율성을 높입니다. 이는 교통 혼잡을 줄이고, 안전성을 향상합니다.  

    오픈 데이터 플랫폼: 정부와 공공 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공개하여, 시민과 기업이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투명성을 높이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합니다.  

     디지털 재난 대응 시스템: IoT와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재난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대응합니다. 이는 응급 상황에서의 대응 속도를 높이고,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전력 및 가스 공급의 스마트 그리드 도입: 공기업이 운영하는 전력 및 가스 공급망에 스마트 그리드를 도입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공급망을 최적화합니다.  

    스마트 시큐리티 시스템: 공공 안전을 위한 IoT 기반의 스마트 보안 시스템을 도입하여, 도시 전체의 안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합니다.  

    통합 교통 정보 시스템: 다양한 교통수단의 정보를 통합하여, 시민들에게 실시간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최적의 이동 경로를 안내합니다.  

    스마트 파킹 시스템: 공공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시민들이 주차 공간을 쉽게 찾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시:  

    바르셀로나는 스마트 시티 기술을 도입하여 교통 관리, 쓰레기 수거, 공기 질 모니터링 등을 개선했습니다. 이를 통해 시민들에게 더 나은 생활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에스토니아는 전자 정부(e-Government) 시스템을 통해 모든 정부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은 인터넷을 통해 세금 신고, 투표, 의료 기록 조회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싱가포르는 자율주행 셔틀버스를 시범 운영하여, 대중교통 시스템의 혁신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이는 교통 혼잡을 줄이고, 승객들의 이동 편의성을 높입니다.  

    영국의 data. gov.uk는 정부 데이터를 공개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연구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민과 기업은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J-ALERT 시스템은 지진, 쓰나미 등 자연재해 발생 시, 실시간으로 경보를 발령하고 대응책을 안내합니다. 이를 통해 시민들의 안전을 보호하고, 재난 피해를 줄입니다.  

    EDF(프랑스 전력공사)는 스마트 그리드를 통해 실시간 에너지 사용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효율적인 에너지 분배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런던의 CCTV 네트워크는 도시 전역에 걸친 광범위한 CCTV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범죄를 감시하고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뉴욕의 MTA(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는 실시간 버스와 지하철 정보를 제공하여, 시민들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LA Express Park는 스마트 파킹 미터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주차 공간 정보를 제공하고 요금을 자동으로 부과합니다.  

    국민재난안전포털: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이 포털은 재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국민 행동 요령을 안내합니다. 지진, 태풍 등 각종 재난 상황에 대비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서울교통공사의 스마트 스테이션: 지하철역에 IoT 기술을 적용하여 실시간 열차 운행 정보, 혼잡도, 공기질 등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합니다.  

    세종시 자율주행 버스: 세종시는 국내 최초로 자율주행 버스를 정규 노선에 투입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래 대중교통의 혁신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부산시는 에코델타 지역에 AI와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시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한국전력공사의 AMI(지능형 검침인프라): 한전은 AMI를 통해 실시간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고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소비자에게 맞춤형 전기 요금제를 제공합니다.  

    서울시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서울시는 IoT 센서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교통, 안전, 환경 등 다양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가로등'은 보행자 움직임을 감지해 밝기를 조절하고, CCTV와 연계하여 범죄 예방에도 기여합니다.  


1.5.20. 버추얼 아이돌 산업의 BM

버추얼 아이돌 산업은 패션, 방송, 엔터테인먼트, 음악 등 다양한 산업을 결합한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모델은 디지털 콘텐츠의 과금 모델과 수익 모델을 기획하는 초급 기획자들에게 유용한 사례가 됩니다. 버추얼 아이돌은 여러 산업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창출하고, 다양한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비즈니스 모델의 복합성과 혁신성을 잘 보여줍니다.  

    2D,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음성 합성 기술을 활용한 버추얼 아이돌 콘텐츠 제작: 고품질의 3D 모델링과 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 AI를 활용한 음성 합성 기술을 통해 버추얼 아이돌을 제작합니다. 이를 통해 생동감 넘치는 콘텐츠를 팬들에게 제공합니다.  

    라이브 스트리밍, 팬미팅, SNS 활동을 통한 팬과의 소통 강화: 버추얼 아이돌은 라이브 스트리밍과 팬미팅을 통해 팬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SNS를 통해 지속적으로 팬들과의 관계를 유지합니다.  

    YouTube, Twitch 등의 플랫폼을 통한 팬덤 확장 및 수익화: 버추얼 아이돌은 YouTube, Twitch 등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글로벌 팬덤을 형성하고, 이를 수익화합니다.  

    음악 판매: 앨범과 싱글 발매, 스트리밍을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라이브 공연: 온라인 콘서트 티켓 판매와 후원을 통해 수익을 확보합니다.  

    굿즈 판매: 의류, 피겨 등 다양한 팬 상품을 판매하여 추가 수익을 창출합니다.  

    브랜드 협업: 패션 브랜드와의 컬래버레이션, 광고 모델 활동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합니다.  

    AI 및 애니메이션 기술: AI를 활용한 음성 합성 및 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 제작 기술을 통해 고품질의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AR/VR 활용: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기술을 활용하여 팬들과의 인터랙션을 강화합니다.  

    데이터 분석: 팬덤 분석을 통해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합니다.  

사례:   

    키즈나 아이(Kizuna AI): 버추얼 유튜버(VTuber)로서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며 글로벌 팬덤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홀로라이브(Hololive): 다양한 버추얼 아이돌을 운영하며 음악, 게임 스트리밍, 굿즈 판매 등 다각화된 수익 모델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터니티(Eternity): 펄스나인(주)에서 개발한 AI 기반의 11인조 가상 걸그룹입니다. 실제 연습생들의 모션 캡처 데이터와 AI 기술을 결합하여 만들어진 이터니티는 음원 발매, 뮤직비디오 제작, SNS 활동 등을 통해 K-pop 아이돌 그룹과 유사한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AI 멤버들의 개별 활동과 그룹 활동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선보이며, 버추얼 아이돌 시장에서 혁신적인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세계 아이돌 : 인터넷 방송인 우왁굳이 기획한 오디션을 통해 결성되어 2021년 12월 17일에 데뷔한 6인조 버츄얼 걸그룹입니다.  

    PLAVE :  2023년 3월 12일에 데뷔한 VLAST 소속의 5인조 버추얼 보이그룹입니다. 특징적으로 멤버들이 직접 작사, 작곡, 프로듀싱, 안무 창작 등 음반 제작과 무대 활동에 필요한 모든 음악과 퍼포먼스를 만드는 자체 제작돌, 음원 차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으며 2024년 3월에는 버추얼 아이돌 최초로 음악방송 1위를 달성했습니다.  

    로지(ROZY): 싸이더스 스튜디오 엑스(현 LOCUS-X)가 제작한 가상 인플루언서로, 광고 모델 활동과 SNS를 통한 팬 소통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다양한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20240729 

김동은WhtDrgon. 

fewk@meje.kr 

                    

이전 01화 0. BM북의 오프닝과 요약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