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이올 Apr 13. 2019

일기

1. 친구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와는 초등학교 시절 이후 왕래가 하나 없어, 사실 친구인지도 의문인 사이다. 이름으로 남은 사람이다. 그렇지만 그와 이십 몇 년 전 나누었던 대화는 아직도 생생하다.


 '어깨 좀 펴고 살아, 어?'


 악의 없는 말이었다. 나 역시 움츠린 채 다니는 내 모습에 스스로 놀라, 그 말을 들은 이후로 그때 생각을 하며 어깨를 의식적으로 피려고 노력해왔다. 그렇게 내 어깨를 걱정하던 녀석은 몇 달 전 마포대교 밑에서 발견되었다한다. 자취를 감춘지 한 달 만에. 무엇이 힘들었을까, 세상의 무엇이 그의 어깨를 펴지 못하게 했을까. 알지는 못할, 차디찬 한강으로 그를 밀어넣은 세상의 매정함이 밉다.


2. 그때에, 이제 남은 건 이별 뿐이라고 그렇게 운을 떼었던 것 같다, 네가. 변할 자신이 없다고, 더 잘할 수 없다고 그렇게 또 말했다. 그런 잔혹한 말들 사이에서 생(生)을 포기한 사람의 뒤집어진 뒷모습을 보았다. 철이 녹아 흐르는 듯한, 범접할 수 없는 강물 위에 떠있는. 그리고 이내 괜한 소리가 들렸다. 풍덩. 너는 오랜 연애에 지쳐 다른 사람을 바라고 있는 걸지도, 아니면 적어도 나를 사랑하지 않는 걸지도 모른다는 의심이 파문으로 일었다.

 서운하였다. 그리고 넌 눈물을 쏟아내었는데. 그건 사람을 보내는, 사랑을 포기하는 눈물이 아니었다. 또 그 눈물이 끊이지 않았으므로 나로 하여금 아직도 네가 나를 사랑하는 지도 모른다고 느끼기에 과연 충분하였다. 답례인지 모르게 내 눈에서도 눈물이 쏟아져 내렸다 그리고 흐느꼈다.

 한편으로 분하였다. 억울하였다. 왜, 왜 우리가 이렇게 가슴 아파야하는지 연애가 서툰, 혹은 긴 사랑이 서툰 네가 원망스러웠다. 서툴러서, 처음이어서. 이런 가벼운 이유로 오래된, 사랑하는 사람을 영영 보지 못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니 불방망이 같은 게 가슴을 두들기는 듯 하였다.

 그렇지만 진퇴양난이었다. 만날 수도 이별할 수도 없었다. 악착 같이 곁에 남아 눈치 없는 연인으로 사랑하는 이에게 남을 수도,  서로 사랑하고 있음을 알면서 헤어질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도저히 이 세상에 남은 방법 중엔 내가 할 수 있는 선택이란 없는 것 같았다.


3. 생을 포기하게 하는 건 세상의 매정함이 전부라 생각했는데, 이외에도 세상엔 힘든 일이 많다는 걸 알았다. . 그러나 시간은 매정해서 어떤 선택이든 만들어낸다. 시간이라는 간수(看守)에 쫓기다 다리 밑으로 뛰어내렸다. 풍덩. 내 의지가 아니었다고, 합리화해봐도 물이 차다. 몸이 식는다. 봄이 되서야 뭍으로 나온 친구가 보고 싶어졌다.

매거진의 이전글 퇴근 후 샤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