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 Revitalization Experts (LORE)
경영지도사들 중 지방소멸에 대응하고자 소모임을 만들었길래 가입하여 어떤 활동을 하게 될 지 이야기를 들을 기회가 있었습니다. 지도사 경력은 길지 않지만, 중소기업/소상공인에 국한하지 않고 좀 더 장기적인 비즈니스모델을 만들고 사회에 대한 영향력도 더 크게 가져갈 수 있는 가능성에 동감하였습니다. 다만, 초기 어떻게 자리를 잡을 것인가에 대해 많은 시행착오가 필요해 보였습니다.
강원도에 초점을 맞추어 브레인스토밍을 시작하면서, 우선 강원도에서 주력으로 육성하려는 사업을 먼저 정리해봅니다.
강원도 주력 산업을 반영한 사업 제안서 개선 보고서
1. 서론
강원도는 천연물 바이오소재, 세라믹 원료소재, 디지털 헬스케어, 디지털 헬스 데이터 분석 활용, 차세대 고성능 센서 등 5개 분야를 주력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산업 특성을 반영하여 기존 제안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합니다.
2. 강원도 주력 산업 현황
2.1. 천연물 바이오소재 산업
강원도는 천연물 소재를 활용한 바이오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습니다.2024년 6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가 천연물 산업화 혁신센터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2.2. 세라믹 원료소재 산업
강원도는 세라믹 원료소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2023년 9월, 강원테크노파크는 천연물바이오소재 산업 혁신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미래전략 포럼을 개최하였습니다
2.3.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강원도는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육성을 위해 규제자유특구를 지정하고, 다양한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0년 12월 기준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관련 32개 기업·기관·병원이 규제특례를 부여받아 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3. 제안서 개선 방안
3.1. 천연물 바이오소재 산업
강원도 특화 천연물 활용: 원도의 다양한 천연물을 활용한 바이오소재 개발 및 상용화 방안을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흑찰거대배아미 발효추출물을 활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산업화 혁신센터 활용: 2024년 6월에 조성된 천연물 산업화 혁신센터를 활용한 연구개발 및 산업화 지원 방안을 포함시킵니다.
3.2. 세라믹 원료소재 산업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세라믹 원료소재의 기술 개발 및 상용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통해 지역 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을 포함시킵니다.
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 2023년 9월에 개최된 미래전략 포럼을 통해 논의된 산업 혁신 생태계 고도화 전략을 반영합니다.
3.3.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규제자유특구 활용: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자유특구를 활용한 실증사업 추진 방안을 제시합니다.
2020년 12월 기준으로, 32개 기업·기관·병원이 규제특례를 부여받아 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산업 생태계 고도화: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관련 기관과의 협력 및 산업 생태계 고도화 방안을 포함시킵니다.
4. 결론
강원도의 주력 산업 특성을 반영한 제안서 개선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산업 분야의 현황과 추진 전략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