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에네 May 26. 2022

디아 여백작

Comtessa de Dia | 연표 및 작품 목록

Comtessa de Dia


디아 여백작

Comtessa de Dia

c.1140~c.1212  |  음유시인, 작곡가  |  중세시대   



c. 1140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디아 Diá'라는 도시를 다스리는 이주아 2세 Isoard II 백작 가에서 태어났다. 이 백작의 이름을 통해 이 음유시인의 이름은 이주르다 Isoarda라고 유추한다. 혹은 예부터 전해져 오는 기록에 등장하는 트루바이리츠를 디아 여백작으로 여겨 베아트리츠 Beatritz로 유추하는 학자들도 있다. 오늘날엔 대부분 이 트루바이리츠의 이름을 베아트리츠로 인정하여 불리고 있다. 



c. 1160

프랑스 발랑티누아 주 County of Valentinois를 다스리는 '푸아티에 가의 빌리앙 William of Poitiers'과 결혼하였다. 핀란드의 언어학자인 아이모 사카리 Aimo Sakari는 디아 여백작은 푸아티에 가의 빌리앙의 아들, '푸아티에의 아데마르 Ademar de Peiteus'와 결혼하였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만약 그의 말대로 아데마르와 결혼하였다면 디아 여백작의 진짜 이름은 '필리파 드 페이 Philippa de Fay'일 수 있다. 디아 여백작은 정략으로 맺어진 남편 외에 '랭보 도렝가 Raimbaut d'Aurenga'라는 트루바두르를 사랑했다고 한다. 



c. 1212

프랑스 남부에서 사망함. 사망 경위나 이후의 행적은 남아있는 사료가 없음. 







작품 목록


오늘날 그 기록이 얼마 남지 않은 트루바이리츠 중 한 명인 디아 여백작의 음악 작품은, 현대에 유일하게 온전하게 전해지는 단 한 곡뿐인 트루바이리츠의 작품이다. 이 작품은 운 좋게도 1270년경, 루이 9세가 필사한 '왕의 필사본 Le manuscript di roi'에 기록되어 현대에 전달될 수 있게 되었다. 



음악이 남아있는 칸소 Canso

나는 원치 않은 노래를 노래해야 해요  A chantar m'er de so qu'eu no volria | 12세기



시로만 전해지는 칸소


젊음과 기쁨에 나는 번성하네  Ab joi et ab joven m'apais  |  12세기  

난 알고 있었지, 그 거대한 불행을  Estât ai en greu cossirier  |  12세기 

예의 바른 기쁨이 나에게 호소하네  Fin ioi me don'alegranssa  |  12세기  



이전 04화 III. 현대에 단 한 곡만 남은 여성 음유시인의 노래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