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Woo Jan 30. 2019

영화 백발마녀전(1993)

연인께서 앞으로 두세 달쯤 전혀 만날 수 없는 장기 출장을 가셔야 해서, 그전에 좀 진득한 사랑 이야기를 같이 보고 싶어 고른 영화였다. 이 영화는 자신의 사랑하는 연인을 위하여 어떠한 정도의 어려움까지도 감수해야 하는지, 또 연인을 믿는다 했을 때는 어떠한 상황까지도 무릅쓰고 믿어야 하는지를 절절히 보여준다. 사랑이란 이렇게 볼 때, 참으로 쉽지 않고 한없이 무겁다.     


장국영이 연기한 탁일항은 정의감도 능력도 있어 빛나 보이는 데다, 남들은 바라마지 않는 보장된 권력의 자리를 부담스럽게 여기고 그마저 초탈하려 하니 그 태도도 매력적이다. 그러면서도 정에 이끌려 우유부단하거나, 눈앞의 선을 행하기는 해도 그 행동의 결과나 책임을 더 내다보지는 못하며, 감정적 부추김이나 주어진 굴레에 크게 휩쓸리고 휘말리는 점은 인간적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하지만 그래서 결국은 파국을 초래한다. 장국영의 우수에 젖은 얼굴이나 흔들리는 눈빛은 무척이나 아름답고 그 나른한 태도 역시 시선을 잡아끈다.


어쩌면 대조적으로, 임청하가 연기하는 랑녀는 대단히 고독하고 굳세어 보인다. 마교라고도 할 수 있고, 극 중에서는 한족에게 배척당하며 소외당하여 끝까지 내몰리며 원한을 쌓을 수밖에 없었던, 변방의 소수민족이라고도 할 수 있을 집단을 수호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탁월하고도 잔인한 무력을 발휘하며 늘 전쟁에 앞장서야 한다. 그렇다고 그 집단 내의 사람들과 두루 교류하며 친밀히 연대한다기보다는 자의에서든 타의에서든 구별되어, 그 책임을 묵묵히 짊어지고만 있다. 사실 마교 교주가 늑대 소굴에서 자라고 있던 랑녀를 아주 어릴 때 데려온 그 순간부터 전쟁을 위해서만 살아가도록 그렇게 구별하고 제한해 놓은 것이다. 하지만 랑녀에게 다른 어떤 기대나 목적하는 바 없이, 순수한 호의만으로 다가오는 아이들에게 랑녀가 대하는 태도를 보면, 그렇게 꾸밈없이 진실하고 진정으로 다가오는 관계에 대하여 랑녀가 얼마나 목말라하는지 역시 느낄 수 있다. 자기 삶 속에서는 전혀 겪어볼 수 없었던 영역인지라 자기 스스로는 그 필요를 알아차릴 수도 없었지만 말이다. 임청하 특유의 비장하고 꿋꿋하면서도 처연한 분위기는 그러한 인물의 그 양극단을 심화시키면서도 설득시킨다.     


이제 이 두 사람이 반대 진영으로 만나 사랑에 빠지고, 연인으로서 서로를 바라본다.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을 연인으로 만나, 그 이전에는 전혀 아무런 관계도 없었던 타인이었지만, 그래서 자기 삶의 그 어떤 비중도 고려하거나 허락하지 않았던 상대였지만, 이제는 연인으로서 나의 삶 속에 밀려 들어와 흘러넘치며 빛나는 상대에게, 과연 내 삶의 얼마만큼을 포기하며 어디까지를 내어줄 수 있을까, 과연 얼마나 믿으며 그 믿음에 스스로를 내던질 수 있을까.     


이 두 연인 중 한 사람은 오직 다른 한 사람과의 새로운 삶과 미래를 위해, 이전의 자신의 삶과 그 배경을 이루었던 모든 연결고리를 끊고자 모진 고난을 감수한다. 하지만 그 사이 다른 한 사람은 자신의 삶에서 애매하게 떨어져 나온 상태에서 다시 부추겨지고 동요되어 애매하게 되돌아가서는, 그 애매함에서 싹을 틔우고 휘몰아치는 감정들과 의심 속에 그 한 사람을 끝내 믿지 못하고 배신한다. 이러한 어긋남은 상황 탓일까, 믿음이나 의지가 부족한 탓일까, 그저 불운이 겹친 탓일까.     


나는 장기간 멀리 떠나 있을 연인께, 사랑의 그러한 점을 묻고 싶었다.

작가의 이전글 용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