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받기 위해 사는 사람은 없다
평균은 통계일 뿐이다. 조사를 토대로 추출한 정보를 나열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사람들은 결과가 나타내는 의미를 남다르게 받아들인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객관적인 지표를 주관적으로 해석하면서 고통받는다. 어떤 사람들은 평균이하에 속하는 이들을 조롱한다. 같은 결과를 보고 누군가는 우월감을 즐기고 누군가는 우울감에 빠진다.
숫자 몇 개를 보면서 열심히 살아온 삶을 스스로 부정할 필요는 없다. 삶은 평가받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학창 시절의 등급이 평생 동안 이어진다는 생각에서 벗어나야 어른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평균과 등급에 얽매여있다. 성적으로 울고 웃던 아이들이 성과와 평가로 일희일비하는 어른이 된 현실은 비극이다.
인정받고 싶은 욕구와 평균이 주는 안정감은 비슷하다. 평균에 속한다는 안도감은 내가 살아온 삶을 인정받는 기분이다. 우월감을 느낄 수는 없지만 안정감을 느낀다. 반대로 평균이하에 속하는 것을 확인하게 되면 분노와 좌절을 경험한다. 삶이 부정당하는 기분을 벗어날 수 없어서 조사결과를 욕하게 된다. 그러나 정작 평균은 현실에서는 아무런 쓸모도 의미도 없다.
학창 시절 수련회에서 교관들이 남발하는 보너스 점수처럼 현실의 어느 누구도 신경 쓰지 않는다. 평균이하라고 면전에 대고 면박주는 사람도 없고 평균을 상회한다고 박수받는 일도 없다. 한국인의 평균이라는 통계를 두고 우월감과 우울감을 느끼는 어른답지 않은 사람들만 있을 뿐이다. 평균 이하라는 사실이 부끄러운 사람들은 노력해서 평균 이상으로 올라가도 행복할 수 없다. 비교하면서 줄 세우기를 시작하면 끝이 없다.
나보다 잘살고 잘 나가는 사람들을 보면 바로 초라해진다. 노력하고 땀 흘린 결과물이 잘난 사람들의 발치에도 못 미친다는 현실에 좌절한다. 그러다 번아웃에 빠질 수도 있고 경제력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속물이 될 수도 있다. 남보다 우월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자존감이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나약하고 보잘것없는 내면을 포장하기 위해 허울뿐인 우월감에 의지한다. 약한 개일수록 크고 사납게 짖는 법이다. 정작 자기보다 잘난 사람 앞에서는 한없이 초라해지면서 위축된다. 평균에 목을 매는 사람들은 위아래 어느 쪽이든 결국 내면이 빈곤한 사람일 뿐이다.
평가받기 위해 사는 사람은 없다. 타인의 삶에 등급을 매겨서 평가할 필요도 없다. 내 등급을 따지면서 일희일비할 이유도 없다. 삶은 선택이 만든다. 모두가 다른 선택을 하므로 일관된 평가 기준을 적용시키는 것은 애초에 무의미한 일이다. 인생에 충실한 사람은 남의 눈치나 타인의 평가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각자의 선택이 다르므로 결과물인 삶도 다른 것뿐이다.
비교하면서 행복해질 수 있는 부류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1등급 안에서도 1등과 꼴찌가 존재한다. 겪어보지 못한 인생과 살아본 적 없는 삶은 허상일 뿐이다. 남이 아니라 나에게 집중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모르면 불행해진다. 등급에 집착하다 보면 인생은 괴로워진다. 비교하기 시작하면 삶은 비참해진다. 남을 부러워하다 보면 자신이 부끄러워지는 법이다. 스스로를 인정하지 못하는 사람의 삶이 과연 행복할 수 있을까?
한국인으로 살면 평가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모두가 평가받고 비교당하는 일에 익숙하다. 대한민국은 괄목할만한 경제성장을 거뒀지만 행복감을 느끼는 국민은 거의 없다. 국민소득은 늘어났지만 잘 산다고 느끼는 사람은 사라졌다. 경제지표는 우상향 했지만 불행 역시 상향평준화 된 상황이다. 소득평균은 올라갔지만 만족감과 행복감은 하락했다. 끊임없이 평가하고 쉬지 않고 비교당하는 환경이 개선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행복도 승자독식이다. 최상위층에 위치한 극소수를 제외하면 모두가 패배자라고 생각하면서 산다. 가지지 못한 것을 부러워하고 이루지 못한 것을 부끄러워한다. 땀 흘리면서 열심히 살아온 과거를 부정하는 일에 다들 익숙하다. 열심히 살면서 불행해지는 비극은 시간이 지나도 반복된다. 당당한 사람은 평균이라는 그늘 아래 숨어서 안정감을 느끼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떳떳한 사람은 평균을 내세우면서 우월감을 충족하지 않을 것이다. 자신을 받아들일 수 없는 사람은 건강한 삶을 살 수 없다.
격차와 차이를 인정해야 불행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극복할 수 없는 한계는 격차로 받아들이고 좁히기 힘든 간격은 차이점으로 납득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대학간판이나 물고 태어난 수저의 색깔은 많은 것들을 결정한다. 그러나 모두가 똑같을 수도 없고 격차는 필연적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다. 내게 없는 것을 부러워할 수는 있지만 가지지 못했다고 스스로를 폄하할 필요는 없다. 사람은 자신을 속일 수 없고 어른이 되면 자기 그릇의 크기를 알게 된다.
받아들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스스로를 인정해야 제대로 된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가질 수 없는 것을 부러워하는 행동을 멈추고 갖고 있는 것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는 패배자의 합리화가 아니다. 내 수준과 위치를 확실하게 파악하면 할 수 있는 일과 없는 일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잘할 수 있는 일에 더 많이 투자하고 강점을 키우는데 집중할 수 있다. 자신감과 자존감은 나를 인정할 때만 획득할 수 있다. 어떤 선택을 하든 스스로에게 당당하다면 행복을 획득할 준비가 끝난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