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욱이 Dec 18. 2023

캐나다에서 헌혈하기

Blood donation

 필자는 헌혈이 다른 누군가의 생명을 살릴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라 믿고, 기회가 될 때마다 헌혈에 참여하는 편이다.

 하지만 캐나다에 와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에 바빠 헌혈할 생각은 엄두도 못 내던 중, 집에서 5분 거리에 있는 커뮤니티센터(수영, 헬스, 스케이트, 농구 등 실내 액티비티 활동이 가능한 곳)에서 헌혈 이벤트를 진행한다는 배너를 보게 됐다.

Blood Donation Event 배너


 이는 한국에서 헌혈버스로 군부대나 학교, 아파트단지 등의 장소에 직접 방문해 헌혈 참여를 독려하는 방문헌혈 행사일 게 분명했기에, 모처럼 헌혈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놓칠 수 없어 바로 홈페이지에 들어가 예약을 진행했다.

헌혈을 위해선 blood.ca 에 방문해 원하는 날짜와 장소를 선택하고, 비어있는 타임슬롯을 선택한 후 예약하면 된다.


 이렇게 헌혈 예약을 마치고 헌혈일을 기다리다 보니, 헌혈 이틀 전에 현재 헌혈이 가능한 컨디션인지 여부를 확인함과 동시에 컨디션이 안 좋으면 언제라도 취소하거나 변경하라는 확인전화도 왔다.

예약이 완료되면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 확인은 물론, 예약시간 변경 및 취소도 가능하다.


 헌혈 당일, 주차장에 헌혈배너로 랩핑 된 차량들이 보이길래 한국처럼 헌혈버스가 운행되는 거라 생각해서 가까이 가보니, 단순히 직원들과 짐을 싣고 온 차량들이었다.


 헌혈버스에서 진행되는 게 아니라면 건물 안에서 진행할게 분명해 커뮤니티센터에 들어가니 Gymnasium 입구에 아래와 같은 배너가 세워져 있어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었다.

Gymnasium 입구에 세워진 배너


 신분증을 제출하고 직원이 예약을 확인하는 동안 주의사항을 읽고 나면 전자문진에 필요한 바코드가 적힌 서류를 한 장 받을 수 있다.

 헌혈 주의사항은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데, 차이가 있다면 한국은 헌혈 당일 샤워를 자제하라고 써있는 반면, 캐나다는 헌혈부위를 비누를 이용해 씻으라고 안내한다.

헌혈 주의사항
전자 문진에 필요한 서류, 영어/불어 동시 안내는 이제 새롭지도 않다.


 문진이 완료되면 헌혈 전 사전검사를 하기 위해 임시로 설치된 부스 앞 좌석에서 대기하게 되고, 대기순서는 전면에 설치된 모니터로 확인이 가능하다.

임시로 설치된 사전검사 부스와 그 앞에 놓여진 모니터
부스 맞은편에서 헌혈중인 기증자들


 검사내용은 한국과 비슷하게 신분 확인부터 컨디션 및 헌혈 제한국가 출입여부 확인, 간단한 피검사를 진행했다.

 한국과 다른 점이 있다면 피 검사할 때 한국에선 항상 손가락 끝, 손톱 아래쪽을 찌르는데, 이게 상당히 아파서 엄살부리면 손가락 끝에 신경이 집중돼 있어서 어쩔 수 없다고 들었었다.

 그런데, 캐나다는 피검사를 위해 손톱 아래가 아닌 손톱 옆 부분을 찌르는데 통증이 거의 없어서 나중에 한국에서 헌혈하게 되면 이쪽을 찔러달라고 요청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간단한 검사를 마친 뒤 첫 번째 기증자라는 스티커와 함께 대기표를 받았는데, 헌혈한 피를 담을 팩까지 본인이 직접 들고 베드로 이동해야 한다.


 대기하며 앞에 헌혈 중인 모습을 지켜보니 한국과는 다르게 기증자 한 명당 간호사 한 명씩 전담해서 헌혈 중엔 기증자 옆에 앉아 수시로 컨디션을 확인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스몰톡의 나라답게 피를 뽑는 10여 분 동안 컨디션을 묻는 질문 외 스몰톡을 계속 나누면서 말이다.


 필자도 눕자마자 간호사님께서 처음이라도 긴장하지 말라며 걱정해 주셨고, 캐나다에선 처음이지만 한국에서 헌혈 경험이 꽤 있어 걱정 안 한다고 대답하니, 안 그래도 주사자국(needle mark)이 많은데 처음이라길래 의아했다는 얘기를 시작으로 한국 헌혈방식에 대해 스몰톡을 이어갔다.

헌혈 중 사진과 헌혈 후 5분 대기중인 사진


 헌혈을 마친 뒤 개별 테이블에서 과자와 음료를 취식하며 핸드폰을 보는 한국과는 달리 캐나다는 Refreshment Area라고 불리는 구역에 긴 테이블을 마련해 놓고 과자를 늘어놨는데, 헌혈을 마친 사람들은 테이블 주위에 옹기종기 모여 과자와 음료를 먹는다.

 이때, 본인이 어떻게 헌혈을 시작했는지, 몇 살 때 첫 헌혈을 시작했는지 등의 스몰톡을 주고받고, 음료를 챙겨주시는 직원분도 헌혈의 필요성, 특히 연말쯤 피가 많이 필요한데 잘 왔다며 스몰톡을 쉴 새 없이 나누는 모습을 보니 역시 스몰톡의 나라라는 걸 다시 한번 느끼며 캐나다에서의 첫 헌혈을 안전하게 마무리했다.

Refreshment Area 에 준비된 과자들


 마지막으로 한국과 캐나다 헌혈의 차이점은 헌혈 후 사은품과 헌혈증이 없다는 것이다. 아마도 영주권자 이상은 의료비가 무상이라 별도로 헌혈증이 필요 없는 건지 추측해 보지만, 확실치는 않다.


헌혈을 마치고나면 Giveblood 어플에서 확인되는 정보들
매거진의 이전글 캐나다 운전, STOP?!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