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피플코치 Nov 01. 2022

'성실하다'라는 것에 대한 개인적인 정의




한국인 최고의 칭찬 '성실하다'



한국 사람들이 사랑하는 칭찬. '성실하다'


많은 사람들이 듣기 좋아하는 말이며, 마인드, 태도, 그리고 사람에 대한 신뢰 등 많은 장점이 함축된 단어라고 생각합니다.



회사에서 사람을 채용할 때도, 평판을 물을 때, 사업상 파트너십을 할 때도, 그리고 배우자를 선택할 때도 '성실함'의 여부는 사람을 보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성실성의 관점



보통 우리가 성실하다.라는 말을 쓸 때 우리의 본업,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꼭 해야 할 일과 많은 연관성이 있습니다.


- 정해진 시간까지 출근하는 것

- 같은 시간에 일하는 것

- 주어진 업무를 열심히 하는 것



우리가 일상에서 해야 하는 일들은 사람의 컨디션, 변수 등 예기치 못한 상황은 계속 발생하기 때문에 무탈하게 꾸준히 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닙니다.





안 해도 되는 일을 오랫동안 하는 것



문득 이런 생각을 해 봤습니다.


1) 정해진 규칙 안에서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 일에서 '강제성'이라는 키워드를 지워도 성실하게 할 수 있을까?

2) 누군가 내가 해야 될 강제적인 환경 or 시스템을 만들어 주지 않아도, 계속할 수 있을까?

3) 일에 대한 즉각적인 대가가 없어져도 성실하게 할 수 있을까? (예: 급여)



이런 조건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본인의 확고한 목표를 세우고, 스스로 환경을 세팅해 놓고 계속 포기하지 않고 한다는 게 어려운 게 아닐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싫어도 그냥 하는 거지", "밥 먹고살려면 해야지", " 다 그러고 살아"

와 같은 말에는 강제성, 비자발성, 의무감, 책임감이라는 단어가 따라옵니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하면 좋지만 하지 않더라도 내 삶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독서, 공부, 운동, 자기계발, 새벽 기상 등...


자발적인 목표에 노력의 시간이 누적될 때 결국 성장과 차별화라는 결과는 따라올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성실'의 한 줄 정의는

안 해도 되는 일을 즉각적인 보상이 없어도 포기하지 않고 오랫동안 하는 것.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완전 몰입을 위해 필요한 2가지

헤드헌터 분들에게 드리고 싶은 조언




매거진의 이전글 완전 몰입을 위해 필요한 2가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