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간의 관계는 일차원적이지 않다. 예를 들면 나는 누군가의 딸이었다가 누군가의 며느리가 되기도 하지만 누군가의 시누이이며 장차 누군가의 시어머니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바뀌는 나의 직함은 온전히 내가 나로서만 존재하는 게 아닌 우리의 삶이 누군가과의 관계 안에서 비로소 존재하기 때문이다. 스스로 온전한 내가 되는 것도 좋지만 나로만 존재하는 건 실상 너무 어려운 일이다. 나는 딸일 때나 며느리일 때나 시누이일 때나 시어머니일 때 같은 사람이겠지만, 그 상황에 따라 모두 다른 사람이 될 테니 말이다. 왜냐하면 그 직함에 따라 지켜야 할 것이 있기 때문일 거다.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에 대한 확신이 있다. 심리학적인 관점으로 볼 때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만의 기억법이 있다. 어느 상황에서나 자신들에게 조금은 유리한 방향으로 상황을 조작하여 기억한다. 우리는 AI가 아닌 사람이라서 기억에 감정을 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간혹 같은 상황에서 다른 기억으로 누군가와의 다툼이 생긴다.아이들일 경우에 기억의 조작 정도는 더 심해진다. 그러니 아이들의 말을 100% 신뢰하는 것은 옳지 않다.
SNS에서 만난 어느 선생님은 학부모의 입장으로 자신의 아이의 담임선생님의 처사가 공정치 못하다며 브런치에 매거진을 꽤 오래 연재했으나, '서이초'사건이 터진 이후로는 이제 선생님의 입장이 되어 일부 학부모의 문제를 가져와 지금 시대의대부분의학부모가 문제가 있는 것처럼 글을 쓴다.하지만 어느 집단이나 정도가 심한 사람은 늘 있다. 그건 직함이나 시대와는 다른 별개의 일이다. 예전 시대에도 매체가 발달하지 못해서 우리가 알지 못했던 것뿐, 먹고살기 어려웠던 그때도 맘충 학부모가 없었던 건 아닐 거다. 다만 대부분의 학부모가 먹고 사는 문제에 더 급급했던 것뿐이다.
발달된 매체나 나아진 경제력 덕분에 문제 있는 학부모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고 또 그렇게 보이는 건 사실이겠으나,일부의 문제를 대부분의 문제라고, 또 예전 학부모는 그렇지 않았지만 요즘 학부모는 그렇다고 단정 짓는 것이 더 문제가 아닐까. 선생님도 학부모도 무조건 선하거나 악한 것은 아니고, 어느 상황에나 예외는 있게 마련이다. 그분도 선생님임과 동시에 학부모이니 말이다.
세상 모두가 선하기만 하고 또 악하기만 한 건 없다. 그게 바로 변하지 않을 진실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지켜야 할 것이 많은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누군가의 자식이며 부모인 학부모님들, 정도를 지키며 행동합시다. 자식은 부모의 거울입니다.
아직 젊은 나이에 꽃도 피우지 못한 채 하늘의 별이 된 '서이초' 선생님과 유가족분들께 애도를 표합니다. 부디 아픔 없는 곳에서 행복하시길 기도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