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쉼터일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산 Oct 31. 2023

다시, 시 쓰는 나무

―  쉼터 일기 16




다시, 시 쓰는 나무

―  쉼터 일기 16




사람들은 왕따 나무라고 한다

사람들은 홀로 나무라고 한다

나는 시 쓰는 나무라고 말한다

나무는 홀로 날마다 시를 쓴다

나무는 홀로 철마다 시를 쓴다

나무는 해마다 한 줄만 남긴다

시는 가슴속의 나이테가 된다 


그러나 아,

고독 보다 사람들에 더 가까우면

시 쓰는 나무는 결국 죽고 말리라




야간근무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시 쓰는 나무를 만나고 왔다. 오랜만에 다시 만나고 왔는데 마음이 아프다. 어쩌면 이제 더 이상 시를 쓰지 못하는 죽은 시인이 되지 않았을까, 그런 생각이 들었다. 시 쓰는 나무는 이제 시비처럼 서 있었다. 유고시집처럼 나를 맞이하고 있었다. 언제나 든든한 배경이었던 이달오름과 새별오름도 슬퍼 보였다. 아침 7시에 퇴근하여 감귤을 좀 따고 밭에서 일을 좀 하다가 왔다. 우체국과 도서관이 9시에 문을 열어서 그랬다. 서귀포시민의 책 읽기 위원회 위원장님께서 책을 한 권 보내달라고 하셔서 우체국을 들렀고 책두레 책이 도착했다는 문자를 따라서 도서관에 들러서 시 쓰는 나무를 만나고 제주시로 왔다. <운다고 달라지는 일은 아무것도 없겠지만> 나는 <느림보 마음>으로 살기로 하였다. 나는 오늘도 나를 돌아보며 어떻게 살 것인가를 고민하고 있다.  









시 쓰는 나무

너에게 나를 보낸다 58

by강산 May 08. 2023



시 쓰는 나무




시 쓰는 나무를 알고 있다

전생에 방랑시인이었다는 

그는

이번 생에는

딱 한 편만 쓰겠다고

어느 깊은 밤 나에게 말했다

봄부터 부지런히 시를 쓰다가

깊은 가슴속에

해마다 

딱 한 줄씩만 남기고 

아낌없이  

낙엽으로 

멀리 날려서 보낸다고 했다




사람들은 '제주 왕따 나무'라고 말한다. '나 홀로 나무'라고 말한다. '독야청청 나무'라고 말한다. 하지만 나는 '시 쓰는 나무'라고 말한다. 내가 아는 시인들 중에 홀로 사는 시인들이 있다. 그들은 참 아름다운 시인들이 많다. 그 대표적인 시인을 나는 알고 있다. 이병률 시인, 박남준 시인, 김주대 시인을 알고 있다. 참으로 아름다운 시인들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물론 내가 아직 모르고 있는 더 많은 시인들이 있을 것이다. 황인숙 시인 등의 여성 시인들도 있을 것이다. 그들은 대부분 자기 관리를 참으로 잘하는 것 같다. 나는 그들이 부럽다. 그들의 순수함과 치열함이 부럽다. 시를 향한 순수한 사랑이 한없이 부러울 때가 많다. 


내가 좋아하는 나무가 있다. 평화로 중간쯤에 있다. 나는 제주시와 화순을 왕래하며 자주 그 나무를 찾아간다. 주로 제주시에서 화순 가는 길에 들러보곤 한다. 새별오름 들렀다가 만나러 가는 경우가 많다. 제주시에서 화순으로 가는 평화로 오른쪽에 있다. 그리스 신화 박물관과 트릭아이 미술관 입구에서 우회전하여 광산로를 따라가면 5분 안에 도착할 수 있다.(반대쪽, 평화로 왼쪽에는 금악휴게소와 제주 악어 타운이 있다) 따로 간판이 없기 때문에 처음에는 나도 잘 찾지 못했다. 중요한 것은 산 쪽이 아니라 바다 쪽으로 가야만 한다. 성이시돌목장 비육사가 있는 초지 안에 있다. 새별오름과 이달오름을 배경으로 거느리고 있기 때문에 오른쪽으로 시선을 주면서 가야만 보일 것이다. 요즘에는 사람들이 많이 찾아가기 때문에 길가에 주차된 자동차를 보고 쉽게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곳은 사유지이며 사료용 풀을 키우는 초지여서, 옛날에는 가시철망을 쳐서 출입을 막았으나 사람들이 워낙 많이 찾아오는 바람에 요즘에는 개방한 상태여서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다.


사진 찍기 좋은 장소로 알려지면서 너무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바람에 요즘에는 그 나무가 많이 시달리고 있다. 워낙 많은 발자국들 때문에 흙이 파여서 뿌리가 많이 드러나서 내 마음이 많이 아프다. 그래도 어쩌랴. 좋다고 찾아오는 사람들을 막을 수도 없지 않겠는가? 요즘에는 웨딩촬영뿐만 아니라 드론을 활용한 항공촬영도 많이 하고 있어서 귀까지 따가울 정도가 되었다. 사람들은 무엇 하나라도 그냥 놔두지 않는다. 유명인사가 된 시인들도 어쩌면 저 시 쓰는 나무처럼 이제는 인간들이 귀찮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한다. 그래서 나는 늘 조심스럽다.


시 쓰는 이 나무는 머귀나무다. 이달 오름과 새별오름을 배경으로 거느릴 때 가장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한다. 나는 겨울나무를 좋아한다. 활엽수인 이 나무는 겨울에 몸을 크게 한 번 바꾼다. 모래시계처럼 제 자신을 크게 한 번 뒤집는다. 그렇게 뿌리를 하늘에 내린다. 하늘의 별빛과 달빛을 빨아들여 땅 속에 피어 있을 잎들에게 젖을 물린다. 가을에 땅 속으로 이사를 간 잎들은 별빛과 달빛을 빨아먹으며 새로운 봄을 꿈꾸고 있을 것이다. 귀 기울여 자세히 들어보면 잎들이 땅속에서 잠꼬대하는 소리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젖을 빨다가 그대로 잠들어버린 어린것들이 젖꼭지를 빨다가 손가락을 빨다가 꿈속에서도 우물우물하면서 잠꼬대인지 숨결소리인지 모르게 낮게 낮게 알 수 없는 이야기를 할 것이다.


잎은 가죽나무처럼 작은 잎이 여럿 모인 겹잎이며 잎의 크기가 큰 편에 속한다. 육지에서 어머니의 장례 때 오동나무로 상장대를 사용한 것과 달리 제주에서는 오동나무가 귀해서 머귀나무로 대신 사용했다고 한다. 장례 때 쓰는 지팡이를 육지에서는 상장대라고 하지만 제주에서는 이름도 방장대라고 부른다고 한다. 옛 문헌에 따르면 머귀나무는 오동나무의 옛 이름으로 기록되면서 머귀나무를 사용한 것도 한 원인이 아닐까 생각해보기도 한다.  머귀나무에는 굵은 가시가 박혀 있는데 이런 가시의 고통을 느끼며 어머니를 생각하라는 의미가 있다고도 말한다. 


8월이면 머귀나무도 꽃이 핀다. 황백색 꽃이 원뿔 모양으로 자잘하게 모여서 핀다. 잎자루와 줄기에 난 가시는 자라면서 가시의 날카로움은 없어지고 코르크 부분만 남아있게 된다. 가을이 되면 까만 씨가 익어가는데 산초나무와 마찬가지로 독특한 향기를 가지고 있다. 머귀나무 잎은 감기와 말라리아 처방약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나는 오늘 이병률 시인의 '인생의 파도를 만드는 사람은 나 자신'을 다시 읽으면서 여러 가지 것들을 생각하고 있다. 신춘문예에 대하여 생각하고, 문학은 우열을 가리는 운동경기가 아니라는 생각을 하고, 혼자 있는 시간에 대하여 생각하고, 반동(反動)이라는 단어를 생각하고, 성장에 대하여 생각하고...., "보통의 사람은 남이 만든 파도에 몸을 싣지만, 특별한 사람은 내가 만든 파도에 다른 많은 사람들을 태운다."라고 말하는 이병률 시인과 그의 문장들을 생각하며 김주대 시인의 방송을 시청한다. 나는 김주대 시인의 시와 문인화를 좋아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제주 예술가들의 특별한 농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