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윤동주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산 Feb 18. 2024

종달새

윤동주 시인과 함께, 너에게 나를 보낸다 19




종달새


 

종달새는 이른 봄날

질디진 거리의 뒷골목이

싫더라.

명랑한 봄하늘

가벼운 두 나래를 펴서

요염한 봄노래가

좋더라.

그러나 오늘도 구멍 뚫린 구두를 끌고

훌렁훌렁 뒷거리길로

고기새끼 같은 나는 헤매나니.

나래와 노래가 없음인가

가슴이 답답하구나.


 _ (1936.3. 평양에서, 윤동주 20세) 

 


1936년 3월에 평양에서 쓴 작품으로 연을 구분하지 않은 것이 특징인 작품이다. 봄하늘을 가볍게 날아오르는 종달새와 어두운 뒷골목을 배회하는 화자의 답답한 심정의 대비가 돋보인다.


화자의 답답한 심정은 시를 창작한 시기를 고려했을 때 신사참배 문제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심정은 비슷한 시기에 쓴 작품인 <가슴 1>에서 직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나래'는 '날개'를 뜻한다.


* 원문표기

- '이른' -> '일은

- '질디진' -> '즐드즌'

- '명랑한' -> '명량한'

- '구멍 뚫린' -> '구멍뚤린'

- '고기새끼' -> '고기색기'          



내가 지금 윤동주 시인을 다시 만나는 것은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와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때문이다. 아, 그런데 김응교 교수님께서도 이 두 문장이 윤동주 시인을 연구하게 만든 문장이라는 사실이 놀랍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이 아름다운 <서시>가 탄생하기 위해서 윤동주 시인은 어떻게 태어났으며 또한 어떻게 살았을까.


시인의 탄생, 명동마을에서 김응교 교수님은 만주와 명동마을과 김약연 선생님에 대하여 자세하고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다. 나는 독자들에게 윤동주 시인의 작품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알려주고 싶은 마음으로 이 글을 
쓰고 있기 때문에 윤동주 시인이 직접 쓴 습작노트와 시집 원고와 기타 편지로 보냈던 시 등을 차례대로 쓰고 가능한 나의 이야기는 줄이려고 한다. 나중에 이어도와 제주도에서 백두산을 거처 윤동주 시인의 고향까지의 순례를 함께 쓰려고 하는데 우선은 자료 수집 차원에서 1차적으로 기록하는 단계이다.


김응교 교수님은 폭넓은 지식과 뜨거운 열정으로 윤동주 시인의 시뿐만 아니라 백석 시인이나 정지용 시인 그리고 문익환 목사님 등의 많은 글들도 함께 인용하여 글이 매우 풍요롭고 유익한 많은 정보들을 알려주고 있다. 윤동주 시인이 태어난 곳은 만주다. 만주의 명동마을이다. 그 '만주'란 단어가 나오는 시는 <오줌싸게 지도>와 <고향집>이 있다. 


1931년 일제의 관동군은 만주사변을 일으켜 만주를 점령하고, 만주국을 세운다(1932~1945) 만주국은 일본인, 조선인, 한족, 만주족, 몽골족 등 오족을 협화 한다는 명목으로 세워졌다. 따라서 만주에 거하고 있던 조선인은 국제법으로 만주국인이 되었다. 재만조선인은 한일합방으로 일본 국적의 신민이 되었는데, 1932년에 만주국이 세워지고 조선계 일본인으로 귀속되었다. 디아스포라는 '씨 뿌리다'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디아스포라는 초기 그리스도교 시대에 그리스와 로마에 흩어져 살았던 유대인을 가리킨다고 한다. 유대인에게 쓰였던 이 단어는 이후 특정 민족이 흩어져 살 때 쓰인다고 한다. 그러니까 윤동주 시인은 '조선인 디아스포라'라고 할 수 있다.


김응교 교수님은 만주에 대하여 주변성, 디아스포라, 혼종성에 대하여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런 만주땅에 자리한 명동마을 공동체의 특수성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윤동주 시인과 명동마을의 소년들에게 잉걸불을 일의 켰던 규암 김약연(1868~1942) 선생님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관북의 대표적인 선비 집안의 장남이었던 그는, 1899년 2월 기골이 장대했던 서른한 살의 김약연은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을 이끌고 신천지 간도로 향했다. 나라가 망해가는데도 부패와 수탈이 심해지자 문재린의 증조부인 문병규, 문재린의 장인인 김하규의 가솔 등 백사십여 명과 함께 북간도 화룡현 불굴라재로 이주했다고 한다.


명동촌은 만주 지역의 대표적인 항일운동가 김약연 선생을 비롯해 윤하현, 문병규, 남위언, 김하규 이렇게 다섯 가문 140여 명이 중심이 되어 이루어진 마을이다. 이들은 새로운 공동체를 이루기 위해 1899년 2월 18일 고향을 떠나 두망강을 건넜다고 말한다. '명동'이란 중국보다 동쪽에 있는 조선을 밝게 하자 라는 의미로 십여 개 부락을 합친 총칭이라고 한다. 명동촌은 1905년에 거의 완성이 되었고 선바위골, 장재촌, 수남촌 등 명동을 중심으로 한 오십 리 안팎에 잇따라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1917년 12월 30일에 윤동주는 태어났다. 부유한 농부였던 할아버지 윤하현, 명동학교 선생이었던 아버지 윤영석(1895~1962), 어머니 김용(1891~1947)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결혼 당시 아버지는  열여섯 살, 어머니는 스무 살, 어머니가 네 살 연상이었다. 1919년에 할아버지 윤하현은 교회 장로가 되었고, 윤동주의 아버지 윤영석은 불과 열여덟의 나이에 베이징에 유학을 다녀와 명동학교 교원이 되었고, 1923년에는 도쿄로 유학을 가서 영어를 배우다가 '관동대진재'를 경험하기도 했다. 이때 조선인 학살이 일어났는데 '네버 마인도(Never Mind)'라는 일본식 발음으로 엽서를 써서 집으로 보냈다고 한다. 게다가 교회에서 공중 기도를 할 때 특출한 언어 감각을 발휘하는 시인다운 기질도 있었다고 한다. 이를 보면 윤동주 시인의 인문학적 식견은 이러한 인텔리 아버지의 토양에서 비롯된 듯싶다고 송우혜 선생님은 윤동주 평전에서 밝히고 있다. 


가족관계를 볼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은 김약연과 송몽규라고 한다. 먼저 김약연은 윤동주의 어머니 김용의 오빠였다. 그러니까 그 유명한 김약연은 윤동주 시인의 외삼촌이었다. 윤동주 시인은 김약연의 조카이자 제자였다. 만주 지역의 민족지도자였던 김약연의 외삼촌이었다는 사실은 쉽게 넘어갈 문제가 아니다. 윤동주 시인을 형성한 배경에는 규암 김약연이라는 거대한 존재가 있었기 때문이다. 


'간도의 한인 대통령'이라고 불렀던 규암 김약연 선생님은 아쉽게도 해방 3년을 앞둔 1942년 10월 29일 용정시 자택에서 "내 모든 행동이 곧 나의 유언이다"라는 말을 남기고 일흔넷을 일기로 돌아가셨다. 지금도 명동마을 명동교회 건물 바로 옆에 비석이 있다.


명동마을로 이주한 이들의 목표는 아이들을 제대로 교육시키는 것이었다. 그래서 토지를 사면 제일 좋은 땅을 학교 밭인 학전으로 떼어놓고 서당을 차렸다. 서당에서 먹을 감자며 옥수수를 학전에서 키웠다. 도착하자마자 공부할 곳을 세우고 학전을 일구었다는 사실은 당시 조선인 디아스포라들이 새로운 땅으로 향했던 이유를 짐작하게 한다. 1945년 해방이 되자 고향에 돌아온 제주도 사람들이 수없이 많은 학교부터 짓기 시작한 이유와도 비슷한 일일 것이다. 그 교육의 중심에 바로 규암 김약연 선생님이 계셨다.


문익환 목사의 부모님이신 문재린 목사와 김신목 사모의 회고록 <기린갑이와 고만녜의 꿈>을 보면 간도 이주에는 세 가지 목적이 있었다고 한다. 첫째는 선조들의 땅에 들어가 땅을 되찾는 것, 둘째는 북간도의 넓은 땅을 활용해 이상촌을 건설하는 것, 셋째는 추락하는 조국의 운명 앞에서 인재를 교육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이렇게 고토회복, 이상촌 건설, 인재 교육이라는 세 가지 목적이 그들로 하여금 두만강을 건너게 했다는 것이다.


한반도의 북방 지역은 실학의 전통이 흘렀다. 명동마을로 이주한 실학적 유학자들은 서당 세 곳을 만들었다. 김하규의 소암재, 남위언의 오룡재가 있었고, 김약연은 1901년 자신의 호를 따서 '규암재를 지어 가르치기 시작했다. 1908년까지 규암은 <맹자>를 가르쳤다. 윤동주 시인도 김약연에게 <맹자>를 배웠다. 그래서 윤동주 시인의 시에서 <맹자>의 영향을 많이 느낄 수 있다.


1906년 북간도 용정에서 이상설의 주도로 서전서숙이 설립된다. 하지만 이상설이 헤이그 특사로 떠나면서 서전서숙은 일 년 만에 문을 닫는다. 명동마을에서도 신학문 교육이 필요하자 1908년 4월 27일 규암재, 소암재, 오룡재를 합하고 서전서숙을 계승해 신학문을 가르칠 명동서숙을 개교한다. 1909년 4월에는 명동서숙을 명동학교로  확대 발전시켜 김약연이 초대 교장에 취임한다. 명동학교에 부설되었던 명동중학교는 1910년 3월에 세워졌다. 이후 1925년까지 발전하면서 15년간 유지되었다. 신학문을 가르쳐야 하니 젊은 선생을 스카우트해야 했다. 그래서 서울 기독교청년학교를 나온 정재면 등 우수 교사를 초빙했다. 당시 정재면은 원산의 장로교 교회가 파견한 북간도교육단의 일원으로 용정에 있던 독실한 신자였다. 김약연은 교사 정재면 때문에 기독교인이 되었다. 이렇게 명동촌은 민족운동과 기독교 민족교육의 본거지가 되어갔다.


https://youtu.be/0SZ3rH0BEs4?si=0pFy9SYXxGmaJScp

 https://youtu.be/gOQSGRnUMbY?si=ZSw30t2XHOHsnets

  

















매거진의 이전글 가슴 1, 가슴 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