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라라 Aug 15. 2022

퇴사의 타이밍

언제 퇴사하는 게 가장 좋을까?

좋은 퇴사의 타이밍이 있을까? '평생직장'이라는 말이 무색해지고 있는 요즘, 퇴사는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하는 일이다. 회사의 사정에 의해 타의적으로 퇴직하게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스스로 회사를 나오는 결정은 정말 크고 중요한 일이다. 퇴사 여부와 함께 중요하게 결정해야 하는 것이 시기일 텐데, 나는 퇴사하기 좋은 적정 타이밍이 있다고 생각한다. 퇴사 타이밍에 대해서 나는 2가지 기준이 있다. 1) 조직에서 얻고자 했던 것을 다 얻었을 때, 2) 자신을 더 가슴 뛰게 하는 다른 일이 생겼을 때다.




너무 힘들거나 짜증 날 때 떠나지 말고, 상황이 좋은데도 떠나고 싶은 마음이 들 때 마음속을 들여다봐라.


감정적으로 퇴사를 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나도 지금까지 2번의 퇴사를 했는데, 첫 번째는 약간 충동적인 퇴사였다. 퇴사 후 커리어 전환을 고민하고는 있었지만 최종 통보는 꽤 즉흥적으로 이루어졌다. 당시 나는 내가 하고 있는 일이 '너무 의미 없다'라고 느끼고 있었다. 실질적으로 조직의 미션이나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을 실천하기보다는 어르신들 비위 맞추면서 탁상공론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그즈음 나는 커리어와 인생 설계를 하는 수업을 듣고 있었는데, '의미 있는 일을 하라'는 메시지에 크게 동해 며칠 만에 퇴사를 결정하고 통보해 버렸다. 다행히 퇴사 후 2달 후에 내가 원하던 조직에 다시 입사하기는 했지만, 그때의 그 어리숙한 결정을 떠올리면 스스로 부끄러워진다. 


주변에 회사 생활이 너무 힘들고, 괴롭고, 짜증 나서 퇴사를 고민하는 사람들을 많이 본다. 회사 생활은 사회생활 중 가장 고난도에 속한다. 같은 직장인으로서 얼마나 힘들지 이해가 가면서도, 구체적인 계획 없이 퇴사하지는 말라고 말해주고 싶다. 내가 일하던 조직에서도 퇴사를 했던 사람들에게 '다음에 뭐하실 거예요?'라고 물어보면 '쉬면서 하고 싶은 일을 찾을 거다'라는 말을 참 많이 들었다. 그 행간을 더 톺아보면 사실 '지금 너무 지치고 힘들어서 그냥 이 회사에서 빨리 도망치고 싶어요'라는 뜻일 수 있다. 직원을 힘들게 만든 회사도 물론 잘못이 있겠지만, 본인의 인생과 커리어인데 도망치며 하나의 이력에 마침표를 찍기엔 너무 아깝지 않을까? 현실적으로 입사 면접을 보는 입장에서는 경력 사이에 수개월 혹은 수년의 공백이 있는 이력서를 보면 자연스럽게 의문이 생기고 후순위로 미뤄두게 된다. 본인은 그 경력의 공백 사이에 뜻깊은 자기 탐구의 과정의 했을지 라도, 현실의 구직 시장에서는 그것을 알아줄 리 없다. 스스로의 커리어를 아낀다면 더 신중히 결정하는 게 좋을 수 있다. 


회사에서의 생활이 엄청 힘들거나 괴롭지 않은데, 상당히 평온한 시기인데도 떠나고 싶은 마음이 들 수 있다. 이때가 자신의 마음속을 제대로 살펴볼 타이밍이라고 생각한다. 힘들어서 도망치고 싶은 게 아니라, comfort zone에 안주하고 싶지 않거나 본인을 더 성장시켜줄 다른 자극이 필요하거나, 다른 일이 엄청 하고 싶어진 상황일 것이다. 이때 자가 진단을 잘해보면, 퇴사 이후의 커리어 방향성이 훨씬 구체화된다. 




조직에서 얻고자 했던 것을 다 얻었을 때, 혹은 더 가슴 뛰게 하는 일이 있을 때 떠나라.


나는 좋은 퇴사 타이밍에 2가지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조직에서 얻고자 하는 것을 다 얻었을 때다. 나의 경우 스타트업에 합류하며 얻고자 했던 성장을 모두 달성했을 때 다른 곳에 옮기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회사 내에서 대표 다음으로 높은 자리까지 승진했고, 회사와 사업의 성장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했다는 생각이 들 때까지 달렸다. 회사의 성장 속도나 규모가 나의 노력에 비례하여 오르지 않는 시점이 되었을 때, 지금 회사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경험을 했다는 판단이 들었다. 


유명인의 사례를 들어보자. 마켓컬리 김슬아 대표는 첫 직장인 골드만삭스에서 승진을 앞두고 사표를 던졌다고 한다. 승진 소식을 듣고 상사에게 '승진을 하면 무엇이 달라지냐?'라고 물었고, 상사가 '업무에 달라지는 것은 없고 1년간 편하게 쉬는 기간을 갖는 것'이라는 답을 듣고 나서다. 회사에서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떠난 것이다. 


두 번째 타이밍은 자신을 더 가슴 뛰게 하는 일이 생겼을 때다. 지금 하고 있는 일보다 더 흥미롭고 열정이 불타오르는 일이 생겼다면, 하루라도 빨리 그 일을 시작하는 게 유한한 인간의 시간을 봤을 때 더 합리적인 선택이다. 나는 퇴사 전이나 후나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같았지만, 방법론에 있어 더 확신을 갖게 된 영역이 있어 이직을 결정했다. 수년간 나의 관심은 '공장식 축산업이 지구 생태계 파괴와 기후 변화를 가속화시키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지난 3년 동안 수요 측면에서 사람들의 식습관을 변화시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공장식 축산업의 문제를 알리고, 채식의 좋은 점과 맛있는 채식 음식을 알려주고, 더 편하게 채식을 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이었다. 매우 의미 있고 즐거운 일이었지만, 세상 사람들이 모두 채식주의자가 될 수 없다는 한계를 명확하게 느꼈다. 공급 측면을 혁신해야 내가 진정 원하는 유의미한 임팩트를 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들이 원하는 맛있는 고기를 계속 제공하면서도, 그 생산 과정을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바이오 과학기술을 사용하면 지구 환경과 동물의 희생 없이 이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확신과 더 커진 열정을 가지고 관련 분야로 이직을 할 수 있다. 




퇴사, 이직, 전직, 창업 등 커리어와 관련된 중요한 꼭지점들은 항상 어렵다. 나의 두 번째 이직도 결코 쉬운 과정은 아니었다. 많은 공부와 시장 조사, 고민과 협의의 과정을 거쳤다. 전 직장과 원만하게 퇴직 절차를 밟았고, 아무런 후회나 미련 없이 떠날 수 있었다. 그렇기에 지금 최종적으로 결정된 새로운 도전에 더욱 자신이 생긴다. 세상의 모든 직장인들이 만족스러운 직장 생활을 하고, 본인에게 최선의 방법으로 퇴사를 하고, 계속해서 성장하는 커리어를 그려 나갈 수 있으면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스타트업이 실패하더라도, 개인은 실패하지 않는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