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좋은' 교사란
미국 공립 초등학교에서 교사로 임용되면 일반적으로 Provisional(임시) 계약을 체결하고, 교육구에 따라 4-5년의 수습 기간을 거쳐 Continuing(정규) 계약으로 전환된다. '정규'라는 개념은 교육구 규정이나 예산 사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통상적으로 교수의 Tenure(종신 재직권)에 버금가는 고용 안정성을 제공한다. 보통 수습 기간을 마치고 일정한 교사 평가 등급을 받으면 무리 없이 정규 계약으로 전환되지만, 교육구마다 평가 기준과 절차가 조금씩 다르므로 꼭 자세한 평가 과정을 확인해야 한다.
교사 평가 방법으로는 크게 수업 참관, 데이터를 통한 학생 성과 분석, 자가 평가, 동료 평가 등이 있다. 평가 과정으로는 주로 교장(Principal)이나 교감(Assistant Principal)이 교사 인원을 반반씩 나누어 평가하는데, 사전 통보 없이 참관하는 비공식 참관 (unofficial observation)과 통보 후, 정확한 날짜와 시간 약속을 잡고 참관을 진행하는 공식 참관(offical observation)으로 나누어진다. 공식 참관의 경우 참관 외에도 평가자와 참관 전후로 따로 회의하는 시간이 있는데 사전 회의에서는 주로 지도 계획안을 설명하거나 참관 시 주의점을 소통하고, 참관 후 회의에서는 평가자 앞에서 평가 대상자가 구두로 자가 평가를 하며 강점과 개선점을 나눈다. 이후 종합적인 평과와 소견을 통합하여 교사 평가 등급을 정하는데 일종의 '채점 기준표'로서 다양한 체계를 참고한다. 미국 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체계로는 아래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Charlotte Danielson's Framework for Teaching: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평가 체계 중 하나로, 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교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 체계는 교사의 계획 및 준비, 학습 환경, 교수 활동, 전문적 책임 등을 평가한다.
Marzano Teacher Evaluation Model: Robert Marzano가 개발한 이 모델은 연구 기반의 교사 효과성 요소를 바탕으로 교사를 평가한다. 교사의 수업 준비, 교수 기술, 학급 운영, 학생 평가 방법 등을 평가하며, 교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지원한다.
The Stronge Teacher and Leader Effectiveness Performance System: 이 평가 시스템은 William Stronge가 개발했으며, 교사의 교수 효과성과 리더십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교사의 교육 계획, 수업 전달, 학급 관리, 학생 평가, 전문성 등을 평가 항목으로 포함한다.
The McREL Teacher Evaluation System: McREL (Mid-continent Research for Education and Learning)에서 개발한 이 시스템은 연구 기반의 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교사를 평가하며, 교사의 수업 설계, 실행, 평가, 그리고 전문성 발달을 포함한다.
이 네 가지 시스템은 모두 교사의 전문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지만, 각각의 시스템이 강조하는 중점과 평가 요소가 다르다. Danielson과 Marzano는 교수 능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Stronge는 리더십 평가를 추가하며, McREL은 교육 이론을 기반으로 수업의 구조적 측면에 더 큰 비중을 둔다.
이 외에도 각 주나 학군에 따라 자체적으로 개발한 평가 체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각 평가 체계는 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촉진하고, 학생 학습 성과를 높이는 데 목적을 둔다는 점에서 대체적으로 비슷한 방식을 따른다.
예시: Charlotte Danielson's Framework 샬롯 대니얼슨 체계
미국의 교사 평가 시스템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내가 현재 근무하고 있는 교육구의 평가 체계인 대니얼슨 체계 예시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니얼슨 체계는 4개의 주요 영역과 22개의 자세한 평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제1 영역: 교수 계획 및 준비 (Planning and Preparation)
교사가 수업을 계획할 때 얼마나 철저하게 준비하는지, 학생의 요구를 얼마나 이해하는지, 그리고 목표와 평가 방법을 어떻게 설계하는지 등을 평가한다.
평가 항목: 교과 지식과 교수법의 지식 (Demonstrating Knowledge of Content and Pedagogy), 학생 이해 (Demonstrating Knowledge of Students), 교수 목표 설정 (Setting Instructional Outcomes),자원 활용 (Demonstrating Knowledge of Resources), 수업 설계 (Designing Coherent Instruction), 학생 평가 설계 (Designing Student Assessments)
2. 제2 영역: 학습 환경 (Classroom Environment)
학급 내의 학습 환경과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학급 운영의 효율성 등을 평가한다.
평가 항목: 존중하고 협력하는 학습 환경 구축 (Creating an Environment of Respect and Rapport),학습 문화 구축 (Establishing a Culture for Learning), 학급 운영 (Managing Classroom Procedures), 학생 행동 관리 (Managing Student Behavior), 물리적 자원 활용 (Organizing Physical Space)
3. 제3 영역: 교수 활동 (Instruction)
수업 진행 중 교사의 교수 방법, 학생 참여도, 평가 활용 등을 평가한다.
평가 항목: 명확한 교수 전달 (Communicating with Students), 질문 기법과 토론 유도 (Using Questioning and Discussion Techniques), 학생 참여 유도 (Engaging Students in Learning), 학생 피드백 제공 (Using Assessment in Instruction), 수업의 유연성 및 대응력 (Demonstrating Flexibility and Responsiveness)
4. 제4 영역: 교사의 전문적 역할과 책임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교사가 자신의 전문성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얼마나 노력하는지와 더불어 학생, 부모, 동료와의 관계를 얼마나 잘 관리하는지 평가한다.
평가 항목: 수업에 대한 성찰 (Reflecting on Teaching), 정확한 학생 성과 기록 유지 (Maintaining Accurate Records), 학부모 및 지역 사회와의 의사소통 (Communicating with Families), 전문적 성장 및 개발 (Growing and Developing Professionally), 전문적 책임 수행 (Showing Professionalism)
<제1 영역 평가 항목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