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날자 이조영 Sep 26. 2021

송편은 안 빚어요

전은 부치구요


시어머니와 떡을 사러 장에 가는 길. 남편이 말했다.

"엄마, 송편 안 빚으니 너무 좋아."

"이젠 힘들어서 못 하겠어."

"잘했어. 전도 사서 먹는 거 어때?"

"전을 어떻게 사 먹는다니?"

"파는 데 있잖아."

나도 냉큼 한마디.

"인터넷으로도 주문하면 해주는 곳 있어요."

"전은 해서 먹어야지."

여기서 알게 된 사실.

추석엔 송편보다 전이 우위로구나.




명절에 음식을 많이 하는 편은 아니다.

해마다 양이 줄어 전이라고 해봐야 작은 소쿠리에 5가지 정도가 전부다.

두부, 동그랑땡, 동태전, 호박전, 고구마튀김.

제사상에 올린 건 아침으로 먹고 우리 집에서 두 끼 먹을 양을 담으면 끝!

해마다 전 부치기가 끝나면 할 일이 다 끝난 것처럼 느껴졌지만, 양이 적으니 얼마나 편한지.

바닥에 신문지를 깔고 전기 프라이팬에 전을 부치고 있는데 시어머니가 그러신다.

"예전에는 전을 광주리로 몇 개씩 했어. 다 해놓으면 친척들이 와서 싹 가져가고. 수고했다고 돈 한 푼 주길 하나, 와서 돕길 하나. 어느 해는 학교 다녀온 조카가 와서 나 없는 새 광주리에 반을 다 먹어 치웠어. 좋은 걸로만 골라놨더니 하필 그걸 먹었어. 어른한테 물어보지도 않고 먹으면 어쩌냐고 혼을 냈지."

"후후. 애들이니 뭘 알겠어요? 근데 어른들은 가져가는 게 당당하잖아요."

"그러게. 그땐 뭐 하러 그렇게나 많이 했는지..."

어머니 얘기를 들으면서 친정 엄마 생각이 났다. 맏며느리라는 이유로 친척들 먹을 음식을 하느라 명절 때마다 전 부치기는 내 몫이었다. 허리가 아프도록 잔뜩 해놓고 나면 친척들 손에 바리바리 싸서 보내는 엄마를 이해할 수 없었다.

나는 무슨 죄란 말인가.

이건 명절이 아니라 노동의 시간이었기에 하나도 즐겁지 않았다. 어린 나이에도 명절이 끝나고 나면 뭔가 큰 일을 치른 기분이었다.

명절은 그간 못 만난 친척들과 만나 인사하고 즐겁게 지내라는 취지일 텐데. 여자들 등골 빠지게 하는 명절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알 수 없었다.




한국의 뿌리 깊은 가부장적 제도는 지금도 남아 있다. 모두를 위한 명절이 아닌 남자를 위한 명절인 것이다. 현대가 아무리 발달했다고 해도 명절은 아직도 100%의 수혜는 입지 못했다. 인터넷과 배달이 발달했음에도 명절은 여전히 여자의 노동으로 남아 있으니 말이다.

명절의 가치?

모르겠다.

핸드폰으로 영상통화도 할 수 있는 시대다. 교통도 발달했다.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만날 수 있는 시대에 살면서 명절을 따로 챙겨야 하는 이유가 뭔지 정말 모르겠다.

"휴우- 이번 추석도 잘 지나갔네. 수고했어, 마누라."

친정에서 서울로 올라오는 길에 남편이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자기도 고생했어."

이번 명절은 참 재밌었어, 라는 말이 아닌 게 씁쓸했다. 언제나 우린 모두가 즐거운 명절을 지낼 수 있는 걸까.



작가의 이전글 토요일 밤엔 코칭 받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