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리아 Mar 24. 2020

어머니의 요리

멸치 김치찌개

 김치찌개는 된장찌개와 순두부찌개와 더불어 대표적인 우리네 음식 중에 하나이다. 

요즘 텔레비전이나 먹방 프로에 특히 많이 소개되는 음식 중에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게  김치찌개다. 

그만큼 김치는 우리의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먹거리이며 그 김치를 재료로 만들어 먹는 찌개는 우리네 혼 속에 숨 쉬고 있는 음식일 것이다.

특히 김치찌개는 된장찌개나 순두부찌개에 비해 그 변신이 다양하다. 한 가지 음식으로 무한 변신이 가능하다.

세계 어디를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음식일 것이다. 

 어디 가든 찌개를 팔고 집에서 오늘은 또 뭘 먹나 하는 고민 끝에 만들어 먹는 요리가 찌개이다. 

찌개 요리 하나면 밥 한 그릇 뚝딱이다. 

특히 김치 없이는 못 산다는 우리네 입맛을 저격한다. 한 동안 외국을 나갔다 온 분들은 한 동안 김치로 만든 음식을 즐겨 찾아 먹는다고 할 만큼 우리 식생활에 커다란 부분을 차지한다.

그런데 요즘 방송에 나오는 김치찌개 요리를 보면 실망 스러울 때가 있다. 특히 김치찌개에 이런저런 재료를 넣고 만든 요리에 감탄을 하는 모습이 방송에 나올 때면 과연 그 요리에 김치찌개라는 이름을 붙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마저 들 때가 있다. 

 김치찌개는 김치가 주 재료가 된다. 

김치에 돼지고기나 참치나 꽁치 고등어가 들어간 아주 걸쭉하게 만든 요리가 군침을 돌게 하지만 그 요리를 보고, 적어도 내  개인의 생각에는 김치찌개라고 하고 싶지 않다. 

김치찌개라는 김치 본래의 맛보다는 함께 들어가는 재료가 오히려 김치 본래의 맛을 흐리게 한다. 

음식에 들어가는 재료는 재료가 가지는 본래의 맛으로 존재한다. 

자극적이지 않으면서  담백한 맛 그것이 우리 전통의 맛인지 모른다. 

그렇게 맵지도 짜지 않은 찌개 맛에 멸치가 통으로 들어가 별도의 육수를 내지 않고도 김치 본연을 맛을 내고 시원한 멸치 육수가 오장육부를 시원하게 해 준다. 

김치찌개에 돼지고기나 고등어 혹은 꽁치 참치 등을 넣고 푹 끓여 먹지만 김치 자체의 맛은 잃어버린다. 

고기가 들어가고 생선이 들어가 김치에 적절히 베이면 물론 그 맛을 어디에 비할까 많은 김치 고유의 맛은 사라지고 어느덧 주연이 조연으로 전락하고 마는 꼴이 된다. 

당연한 것이 아니겠는가!

김치찌개에서 김치를 잃어버리고 니면 무슨 김치찌개라고 말하겠는가. 차라리 돼지 찌개라고 말함이 더 어울릴 것 같다. 꽁치 찌개 침치 찌개라고 말해야 한다. 

음식에 붙어 있는 그 이름 그대로의 맛이 바로 그 맛을 나타 내는 것이 아닐까! 

그래서 그런지 자꾸 어린 시절 어머니가 만들어 주신 김치찌개가 생각난다. 시큼하면서도 시원하고 칼칼한 국물에 담백한 맛이 더 생각나는지 모른다.  


가을이 깊어가면 갈수록 날씨는 쌀쌀해지고 마지막 콩 수확을 거두고 나면 초겨울의 쌀쌀한 날씨가 시작된다. 길고 긴 추울 겨울에 마땅히 먹을 채소가 없는 식탁에 저장음식으로 김치만큼 훌륭한 음식도 없다. 부족한 영양분을 소금에 절인 삭힌 김 치 하나면 보충한다.


이제 찬 바람이 쌀쌀하게 부는 어느 날 집 앞에는 커다란 트럭이 주차되어 있다. 그리고 동네 아주머니들이 모두 나와 드럭에 실려 있는 푸른 채소를 바라보고 있다. 몇 집이 모여 배추를 한꺼번에 주문을 하고 그 주문한 배추를 배달 온 트럭이다. 

동네는 그렇게 구경거리가 생긴다. 겨울 내내 먹을 김장은 그 시절 대학 입시를 치르는 예비고사만큼이나 큰 일이었다. 도시의 작은 동네 전체가 들썩인다. 

요즘 보기 드문 지게에 배추를 담아 이 집 저 집 날라 주는 아저씨의 이마에 초 겨울바람 부는 날씨지만 땀이 맺힌다. 목에 두른 세수수건에 땀을 닦아 낸다. 

차위에 아저씨는 지게에 배추를 담고 담은 배추를 지게에 지고 허리를 구부정하며 마당에 배추를 쏟아 놓는다. 

쏟아 놓은 배추는 어머니와 동네 아주머니들 손에 차곡차곡 쌓여 간다. 

책가방을 던져 놓고 나도 일손을 거든다. 친구들도 함께 한 집의 배추 쌓기가 끝이 나면 또 다른 집으로 옮겨 배추를 쌓고 트럭에 하나 가득 싸인 배추는 어느새 바닥을 드러내고 함께 온 아저씨들과 함께 사라진다. 

떨어진 배추 잎 하나도 아깝다. 고사리 같은 손을 해 가지고 배추 잎을 줍는다. 

풋풋한 배추 잎의 냄새가 온 동네에 퍼져 나간다. 

이제 다음 날부터 배추를 담그는 집이 생긴다. 그러나 참 이상한 일은 배추를 담그기 전의 날씨와 배추를 담그는 날의 날씨는 신의 짓궂은 조화인지 갑자기 쌀쌀해진다. 

춥거나 말았거나 집에 어수선하면 아아 들은 신이 난다. 어쩐 이유인지 모르지만 마음이 들뜬다. 

나도 그랬던 모양이다. 꼭 그런 날에는 사고를 쳐서 그릇을 깨거나 장난치다가 어머니에게 혼난 기억이 있다. 


저장 음식 김치가 이맘때가 되면 똑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작년 이맘때에 담아 둔 김치도 아직 그대로 있다. 

어머니는 일 년 된 김치를 꺼내와 나무도마에 올린다. 시뻘건 김치 국물  뚝뚝 떨어진다. 찬 공기에 신맛의 향이 감돌고 그리 양념이 진하지 않은 김치는 아주 시원하게 익어 있다. 

김치 결대로 손으로 대충 찌어 놓고 맹물에 김치를 넣으신다. 그리고 육수를 끓이지 않고 거기에 일체 다른 양념이나 다른 식재료를 넣지 않으시고 오롯이 김치와 육수를 낼 정도의 마른 멸치를 넣으신다. 거기에 고춧가루를 조금 추가할까 말까 하는 정도이다. 

냄비가 보글보글 끓기 시작하면 한 해를 묵은 김치의 신 냄새 때문에  가만히 있어도  입에 침을 고이게 만든다.

김치에 젓갈이 너무 많으면 찌개를 끓여 먹을 때 약간 꿍꿍한 냄새가 나고 맛이 깔끔하지 못하다. 젓갈이라는 음식도 김치의 풍미를 느끼게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집집마다 그 비법은 제각각이었다. 

우리 집은 어머니가 새우젓으로 간을 하셨다. 멸치 액젓이 들어갔는지 들어 가지 않는지는 기억이 없지만 거의 새우 젓을 사용하셨던 것 같다.  


어찌 보면 우리네 밥상은 소박했다. 고기 한 번 먹는 일은 날 달린 날이 되어야 한다. 김치찌개에 돼지고기 넣어 먹는 일도 70년대 초에는 그리 흔한 일은 아니었다. 

연단 아궁이 불에 큰 냄비를 올리고 물을 펄펄 끓인다. 그리고 한 해를 묵은 김치를 풍덩 빠트린다. 뜨거운 물에 빠진 김치가 이리저리 요동을 친다. 그리고 한 움큼 쥔 멸치가 따라 들어간다. 그리고 끝, 이제 펄펄 끓이기만 하면 된다.

차가운 겨울 뜨끈한 음식이 필요했고 김치는 갖은양념이 되어 있는 아주 이상적인 음식이었다. 물을 넣고 김치를 푹 끓여 국물로 찌개로 만들어 먹었다. 

그나마 멸치 육수도 사치가 아녔을까!


저녁밥 때가 다 되어 가니 시장기가 더더욱 입에 침을 고이게 한다. 골목마다 목이 터져라 뛰어놀고 집으로 돌아와 저녁밥을 먹을 때까지 숙제를 한다. 간식거리가 많지 않은 시절에 물 한 잔 마시고 숙제가 끝나갈 무렵에는 배 속에는 천둥소리가 나듯 꼬르륵거렸다. 부엌에선 밥 익는 냄새와 시큼한 김치 냄새가 어우러져 배 속은 더욱 요동친다.

그러나 바로 먹지 못한다. 아버지의 전화를 기다린다.  나의 아버지는 늘 바쁘셨다. 

작은 사업을 하시면서 일하는 사람들과 그 가족들 우리 가족들 거래처 사람들을 생각하신다. 우직하리 만치 남을 먼저 생각하시던 아버지는 저녁 약속이 많으셨다. 

아버지는 항상 어머니에게 저녁을 먼저 먹으라는 전화를 해 주신다. 그 전화가 6시가 되기 전에 걸려온다. 

전화벨 소리에 삼 남매는 전화가 놓여 있는 곳으로 쏜살같이 달려간다. 역시 나보다는 조금 약은 남동생이 전화를 받는다. 아버지는 어머니를 바꾸라고 말씀하신다. 어머니는 표정을 살핀다. 얼굴에 보일까 말까 한 엷은 미소가 느껴지면 아버지는 일찍 들어오신다. 그러나 수화기를 놓고 밥 먹을 준비하자 하는 말씀이 떨어지면 아버지는 우리가 잠든 사이에 집으로 들어오신다.  

전화 한 통에 반찬 가짓수가 늘어 난다. 어머니는  아버지가 좋아하시는 반찬 하나라도 더 장만하시려고 바삐 움직이신다. 

저녁 식사에 어머니의 사랑이 가득하다. 겨울철 별미 반찬 중에 하나가 김이다. 

연탄불에 김 몇 장을 이리저리 뒤적거리면 고소한 김 냄새가 살살 방 안까지 스며든다. 김치찌개의 김치를 쪽 찢어서 밥 위에 올리고 젓가락에 김을 집어 방금 올린 김치에 밥을 함께 감싸고 한 입에 쏙 집어넣으면 그 맛을 뭐라 표현할까

구운 김의 고소한 맛 속에 바다 내음이 가득하고 시큼한 김치 맛에 입 안에 알싸하고 돌면서 고슬고슬한 밥알이 똑똑 터지는 기분이 든다. 입 안에 어우러진 해군과 육군의 절묘한 조화가 다른 반찬을 허락하지 않는다.

국도 아니고 찌개국물도 아닌 그 중간의 국물을 한 숟갈 입에 넣으면 시원한 멸치 국물 맛과 배추의 달큼함과 어우러져 입 안을 개운하게 해  준다. 


긴긴 겨울날 저녁 밤!

연탄아궁이에 연탄불이 활활 타오르고 그들이 깔린 방바닥이 슬슬 끓어오른다. 

전기밥솥이 없던 그 시절에 스테인리스 공기 밥그릇을 아랫목에 두고 이불을 덮는다. 

무거운 밥상을 얼굴 하나 찡그리지 않고 들고 들어 오시는 어머니에게 아버지가 달려간다. 우리도 덩달아 달려간다. 아버지가 밥상을 대신 받고 고사리 손을 가지 우리는 밥상 끄트머리를 손에 쥐고 아랫목으로 옮긴다. 

어머니는 손으로 내려온 머리카락을 쓸어 올리고 다시 부엌으로 향하신다. 

보글보글 끓고 있는 냄비를 들고 방으로 오신다. 소박하지만 산해진미 부럽지 않은 칼칼하고 시원한 김치찌개!

아무런 재료 하나 들어 있지 않은 김치찌개를 들고 들어 오신다.

아랫목 솜이불을 젖히고 그 안에 밥그릇 다섯 개가 온기를 품고 있다. 

큰 밥그릇 하나 그 보다 작은 밥그릇 세 개 그리고 작고 앙증맞은 작은 밥그릇 하나가 옹기종기 모여 있다. 

뜨거운 밥그릇을 수건으로 감싸고 하나씩 옮기는 아버지 

밥뚜껑을 열면 구수한 밥 냄새가 모락모락 풍기는 흰 연기와 함께 코 끝을 간질인다. 

아버지가 숟가락을 들고 '먹자' 말하시고 우리는 '잘 먹겠습니다'라는 합창을 한다. 

한 겨울 매서운 추위도 물러 갈 따스함이 집 안에 가득하다. 

그렇게 겨울은 익어 간다.


 

작가의 이전글 전원생활 일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