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요지 Mar 08. 2023

치부책

쓰는근육 11


할머니에게도 없는 치부책이 나에겐 있다. 기록할 만큼의 돈거래(置簿)를 해본 적은 없다. 나의 치부책은 진짜 '치부(恥部)'를 담은 책이다. 이십 대 초반부터 쓰기 시작한 이 노트는 당시 집 근처 학용품과 문제집을 팔던 여느 고등학교 앞 서점에서 집어 든 캠퍼스 노트로, 종이마다 삼 색으로 인덱스 표시가 되어 있을 정도로 꽤 두툼하다. 노트는 책상 바로 옆, 정면을 바로 보며 세워진 낡은 책장의 위에서 네 번째 칸 가장 맨 오른쪽 끝에 낑겨있다. 노트 옆으로는 삼만 개가 넘는 단어가 수록된 보카(그땐 이렇게 부르는 책이 뭔가 신뢰도가 높았다) 영단어 책과 영미문학의 이해라는 고리타분한 수업을 들을 때 사용했던 NORTON(노튼 / 영문학도라면 모두가 알고 치를 떠는, 하지만 왠지 버릴 수 없는 벽돌책)이 꽂혀있다. 그래서인지 노트는 있는 힘껏 찌부러져 스프링 달린 노트가 그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 있다는 걸 아무도 눈치채지 못한다. 단언컨대 최고의 치부책 위치라 자신한다. 


이따금 나조차 잊어버리고 싶은 사건이 있다. 그런 일들은 보통 창피하고 부끄러운 [치부] 카테고리에 위치했다. 나의 치부책에 적힌 이야기들은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사건 자체가 쪽팔린 것. 그러나 이것은 나이가 들며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드는 염치 덕분에 하루 이틀이면 잊어버릴 수 있는 경도의 일이다. 둘째는 돌아보니 쪽팔린 것. 특히 '애정'의 영역이 그랬다. 당시엔 [로맨스]였겠지만 지금은 [상영불가]의 낙인을 찍어버린 것이었다. 이것들은 겪지 않았으면 않았지, 이미 내 삶 가운데 방점을 찍어버린 이상 침을 묻혀 아무리 문대봐도 완벽히 사라지지 않았다. 게다가 일반 사람들보다 기억력이 미세하게 좀 더 좋은 나(주관적)는 그때와 비슷한 온도, 습도, 분위기, 냄새, 단어, 물건만 봐도 그 기억을 아카이빙 된 창고에서 단번에 찾아낼 수 있는 사람이었다.


하나 깨달은 것은 '글자'가 아닌 이상 모든 것을 CMYK로 찍어낸 듯 생생하게 기억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인생에 아이러니한 일이 일어날 때마다 굳이, 아니, 일부러 적지 않았다. 어딘가에 쓰게 된다면 그것은 하나의 역사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기억들은 거머리같이 끈질겨 그럼에도 불구하고 머릿속에서 무한히 재생될 때도 있었다. 아무리 망각의 힘을 빌려도 자기 전 이불을 대차게 차야하는 부끄러운 일들은 존재했고 결국 괴로워져 노트에 하나하나 적어 내려가기 시작했다. 남기고 싶지 않을 만큼 초라하고 부끄러웠던 일련의 일들을 노트에 하나씩 적어 내려가는 순간, 나는 그 시간 또한 나의 인생의 한 부분임을 인정해야만 했다. 받아들이고 싶지 않았던 일들이 내 글씨체로 적혀있는 채로 마주하는 것이 쉽진 않았다. 그렇지만 드물게 삶이 내 편이 아니라 느껴질 때 그 노트를 몰래 꺼내 스탠드 조명 아래서 조용히 읽었다. 지금 보니 지질해도 당시엔 절절했을 이야기들 가운데 어찌 됐든 내가 서 있다. 애물단지 같은 감정들이지만 덕분에 지금의 내가 있을 수 있었다. 그 자체만으로도 나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진다. 그게 치부책을 쓰게 된 단순하지만 확고한 이유다. 


작년 노벨상 수상작가인 아니 에르노의 '사건(영화 '레벤르망'의 원작)'은 1960년대 여자로서 겪은 한 사건에 대해 담담히 혹은 담대히 써 내려간 작가의 자전적 수기다. 삶의 모든 것이 무너져 내린 것 같았던 그때를 복기하며 쓰는 이 글은 80페이지가 채 되지 않을 정도이나 그 일을 직접 겪은 그녀에게는 영겁의 시간처럼 느껴졌을 게 분명했다. 그리고 이 사건이 결국 그녀를 작가로 만들었다. "계속 이어갈 수 있으리라는 아무런 확신도 없이", "그저 그 사건에 대해 쓰고 싶다는 욕망을 확인하고 싶었"던 그녀는 끔찍했던 그 시간을 복기하며 죽을 것만 같은 구토감을 느끼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활을 걸고 써내려 간다. 

그 시절로 다시 한번 빠져 들어가, 거기에서 찾았던 것을 알고 싶다. 이런 탐사는 내 안과 밖에서, 단지 시간에 갇혀 있었을 뿐인 사건을 유일하게 제자리로 되돌려 놓을 수 있는 이야기라는 틀 안에 기입될 터다. 당시 몇 달 동안 꾸준히 메모한 수첩과 내면 일기들은, 사실들을 설정하는 데에 요구되는 필연적인 지표들과 증거들을 제공해 주리라. 각각의 이미지와 ‘다시 만난다.’라는 육체적 감각이 느껴질 때까지, 그리고 몇 개의 단어들이 튀어나올 때까지, 무엇보다 “바로 이거야!”라고 말할 수 있을 때까지, 이미지 하나하나 속으로 내려가 보려 할 것이다. - p.19 / <사건>, 아니 에르노 

글을 해산한 그녀는 "그저 사건이 내게 닥쳤기에, 나는 그것을 이야기할 따름"이었다며 해우한다. 아니 에르노의 책장 네 번째 칸에 있던 이 사건이 세상에 나오기까지 얼마나 많은 고민이 있었을지 감히 상상해 본다. 


오늘도 노트를 꺼내 본다. 숨을 고르고 얼굴이 붉어지는 이야기를 읽는다. 새어 나오는 웃음은 참아보지만 흘러나오는 울음은 막을 길이 없다. 이 사건들의 한가운데 내가 있다. 구질한 골짜기에서 홀로 치열했던 나는 또 부끄러움을 몰래 쓴다.



2023.3.8



이전 06화 손에 쥔 것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