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enny Mar 29. 2021

고려 조선 때도 있던 벚나무를 왜 구박하나요?

벚꽃 단상

벚꽃이 피었길래 아내와 여의도 산책을 나섰다.

벚꽃길 출입을 통제하고 온라인 축제를 한다는 현수막이 걸려있었다.

코로나 19가 퍼지기 시작한 지난해 봄에 이어 두 번째다.

전 국민이 백신 접종을 마치는 내년 봄엔 그 길에서 청년들의 웃음소릴 들을 수 있을까?


벚꽃축제를 한 번도 즐겨 보지 않은 대한민국 사람은 아마 없을 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일감정이 고조될 때마다 벚꽃은 심한 홍역을 앓곤 한다.

일본 국화란 이유 때문이다.

일제강점기에 창경궁과 경복궁에 많이 심었고, 광복 이후 여의도로 옮겨 심었다고 한다.

그 당시 경성을 비롯해서 일본인이 많이 거주하는 진해에 벚나무를 대량으로 심었다고 들었다.

2차 대전 때 군국주의 상징처럼 벚꽃이 사용돼 부정적 인식이 더해졌다.


벚나무가 유난히 많은 진해 모교 교정엔 봄마다 벚꽃이 흐드러지게 핀다.

어느 해 벚꽃을 유난히 싫어하는 교장이 부임했다.

민족정기 회복 차원에서 벚나무를 다른 걸로 교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독단적으로 그 많은 나무를 벨 수가 없었다.


어느 여름, 강력한 태풍이 불었다.

해일이 몰려와 모교의 저지대 벚나무 대다수가 바닷물에 잠겼다.

염수를 듬뿍 머금은 벚나무를 베어낼 이유가 생긴 것이다.

더구나 피해복구지원금으로 다른 수종을 심을 수 있었다.

결국 바닷가에 있던 벚나무의 일부가 야자수로 대체되었다.

일본 국화인 벚꽃을 대체하려면 무궁화를 심었어야 하지 않았을까?


언젠가 일본 나라꽃과 우리나라 벚꽃이 다른 품종이란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제주도 한라산이 원산지인 왕벚나무가 일본으로 건너가 벚나무가 됐다는 설도 있다.

유전자 검사 결과 사실로 밝혀졌다고 한다.

고려시대에 제작된 팔만대장경 목판의 60%가 벚나무다.

조선시대에는 활을 만들 때 벚나무 껍질인 화피를 사용하기 위해 벚나무를 군수물자로 관리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벚나무를 구박해야 할까? 벚꽃이 일본 국화란 이유로.


벚꽃 보러 여의도 다녀오는 길에 들었던 단상을 끄적거려 본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