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전시의 맛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도그림 Jul 05. 2020

식물을 인식하는 새로운 상상력

통의동 보안여관 <식물계 Plantae>


   통의동 보안여관의 2020년 상반기 기획전시 <식물계>는 식물과 인간이 맺고 있는 기존 관계에 질문을 던지며 식물을 지배, 이용, 대상화하는 인간 중심적인 태도를 넘어서 식물을 인식하는 새로운 상상력을 제안한다. 전시가 제시하고 있는 ‘전일적 사고', 즉 인간과 자연 간의 이원론적인 분리 극복이 자칫 관념적이고 이상주의적으로 들릴 수 있다. 하지만 식물을 인간과 동등한 지위에 놓고 탐구해나가려는 세 작가의 작업을 통해 전시는 이러한 확장된 사고가 어떻게 실질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지를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구관 1층 입구로 들어서면 이소요 작가의 심도 있는 리서치들을 만나게 된다. 미술이 식물을 다뤄온 방식에 대한 텍스트와 이미지 아카이브 <예술이 식물을 다루는 방법들에 대하여>를 시작으로, 그가 오래 연구해온 <동백나무> 작업이 펼쳐진다. 아마도 예술공간 <어스바운드> 展 당시 선보이고 이번 전시에서 추가 답사와 채집을 통해 발전시킨 작업이다. 강요배의 회화 <동백꽃 지다>에서 출발한 이번 작업에서, 이소요는 동백나무의 생태를 관찰하기 위해 한라산과 선흘 곶자왈 동백나무 군락으로 나섰다. 전시장을 채운 사진과 표본들은 식물 자체의 생태를 확인하고 이해하고자 한 그의 탐구 과정을 보여준다. 



   텍스트와 이미지를 비교해가며 꼼꼼히 작품을 따라가다보면 식물도감의 이미지나 원예용 동백나무와 한데 묶어 지목하기 어려울 만큼 한 종의 삶이 발현되는 수많은 갈래가 있음을 느끼게 된다. 야생 동백나무들이 환경적 제약에 적응하고 인간의 교란에 반응하며 스스로를 변형시킨 모습에서는, 서식 환경과의 관계에 있어 결코 수동적이지 않고 환경변화에 취약한 피해자로 결코 대상화할 수 없는 동백나무의 생명체로서의 집요함이 보인다. 다른 방에서는 동백나무의 생애주기, 씨와 열매들의 다양한 모습들, 병에 걸려 변이된 형태들을 담은 표본들이 진열되어 있다. 무엇이 씨고 무엇이 열매지? 악편, 화판, 꽃부리는 무엇이지? 각 기관들의 명칭도 역할도 분간하지 못하는 모습에 그 동안 식물을 낭만화할 뿐 그 삶에 무지했던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한 층 더 올라가면 거대한 프린트들과 마주한다. 식물에 직접 잉크를 도포해 찍어내는 네이쳐 프린팅 기법으로 제작한 이 작업에서는 잎맥 하나하나가 그 주름의 깊이만큼 종이에 자국을 낸다. 싱가포르 식물원의 수석 연구원인 미켈레 롯다가 싱가포르 자생 식물들을 네이쳐 프린팅 한 작업들이다. 기존의 식물 이미지들이 개체의 해부학적인 세부가 사라진 채, 빨갛고 노란 꽃과 초록빛 잎으로 재현되던 것과는 다르다. 객관성에 근접한 이 이미지들은 우선 식물을, 잎과 그 세부를 들여다볼 것을 요청한다. 




   벽과 천장이 식물들로 온통 드리운 책방을 지나 신관 지하 1층으로 가면 과학실에 들어선 듯한 풍경과 마주한다. 라이트박스와 돋보기, 현미경과 프레파라트, 하지만 이러한 과학적 엄중성의 외양을 더 들여다보면 정밀한 연구보다는 다소 엉성하고 왕성한 호기심과 마주하게 된다. 전혜주 작가는 옷에 묻은 꽃가루를 떼어낸 테이프, 자동차 유리에 쌓인 먼지, 보이차와 아카시아 꿀 원액 등 주변의 익숙한 대상들을 일단 현미경 아래로 가져간다. 맨눈으로 잘 보이지 않는 미시적 세계에 집중해 식물의 꽃가루와 같은 미립자들이 환경에 대해 말해주는 바를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미경 속 이미지에서 무엇을 읽을 수 있는지는 불명확하지만, 인간의 축척을 벗어난 단위에서도 식물, 균, 각종 유기, 무기물들의 이야기가 진행되고 있으며, 익숙한 시각에서 벗어남으로써 어떤 이해가 시작될 수 있다는 것만은 확실하다.  





“식물의 입장에서 생태적 주관성을 상상해보았다. 인간이라는 포괄적인 종정체성 안에서 정의하는 이성과 감성, 의사소통의 논리를 기준으로 삼았을 때 식물은 낯선 생리, 생태, 생활형을 지닌다. 비닐봉지에 담긴 채 냉장고에 보관되어 있는 상춧잎의 세계로 아무리 깊이 들어가 본다 해도, 더 잘 알기 위해 직접 키우며 생장을 목격한다 해도, 이윽고 먹어서 몸의 일부로 흡수한다 해도 우리가 그것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훈련을 통해 세심하고 겸손한 감수성을 가지면서 그 삶에 대해 짐작해볼 수 있다. 비록 그 상상이 또 하나의 오해를 부르게 될지라도.”

       -이소요 <제주도 동백나무와 보낸 이틀 – 그림 속 식물의 생태적 주관성을 상상하며> 중-




   전시의 출발지점에 다시 서서 질문해본다. 식물을 대상화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공생하는 대등한 생명체로서 대하고자 한다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식물의 삶을 의인화하거나 상징적 의미로 환원하는 것, 혹은 시각적 즐거움을 위해 소비하는 것은 식물과 가까워지는 듯 보여도 여전히 인간의 편의대로 식물을 재단하는 인간중심적 사고에 머물러 있다. 식물 그 자체의 삶을 온전히 이해할 수 없다는 것과, 또 인간 종의 기준 밖으로 벗어날 수 없는 인식능력의 제약을 겸손히 인정하면서, 그럼에도 식물에 관심을 가지고 식물 그 자체를 이해해보려는 태도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식물의 다양한 양태를 관찰하고, 인간과는 다른 생애주기와 번식방식을 이해하고, 미시적, 거시적 스케일을 오가면서 인간을 둘러싼 환경과 생물들을 이해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의 자세가, 이제 우리에게 요청된다. 






매거진의 이전글 웃음을 통한 교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