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소희 Jun 24. 2023

엄마가 되어서 나를 잃기보다는 더욱 나 자신이 되길

<돌봄과 작업> - 정서경 외


"나를 잃지 않고 엄마가 되려는 여자들"



새벽 3시에 일어나서 글을 쓴 지 11년이 넘었다. 그 덕분에 에세이 몇 권을 출간하고 작가가 되었다. 인터뷰를 할 때마다 가장 많은 질문을 받는 것 역시 '새벽 3시 기상'에 관한 것이다. 원래 아침형 인간이 아니었던 내가 새벽 기상을 하게 된 데는 대단한 이유가 있던 건 아니었다. 당시 두세 살이던 두 아들을 키우느라 낮에는 도무지 시간을 낼 수 없었기에, 애들보다 두 시간만 먼저 일어나자고 결심했던 일이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토니 모리슨도 그랬다. 처음 글을 쓰던 시절 두 아들이 어렸기 때문에 방해받지 않고 글을 쓰려면 새벽 4시에 쓸 수밖에 없었다고. 이 습관이 후일 혼자 살게 되었을 때도 지속되었고, 새벽 해뜨기 전이 생각하기에 가장 좋은 시간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고.


공격 대상이 나타났을 때 인간은 '투쟁' 또는 '도피' 반응을 나타낸다고 배웠지만, 그건 남자들에게만 해당되는 반응이었다. 여자들은 도망가지도 싸우지도 않는다. 아이와 환자, 노인에게 주의를 기울이며 그 자리를 쭉 지켜 나간다. 어떤 상황에서도 '돌봄'을 우선시한다. 


'돌봄'을 손에 쥐고 그동안 '작업'을 포기하거나 놓았던 이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아이를 돌보는 일과 내 것을 만드는 일 사이에서 시도하고 실패하고 그럼에도 성장하는 11명의 여자들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기 때문이다. 


돌봄과 작업은 무관해 보이지만, 둘 다 우리 삶에서 중요하고 또 창조적인 영역이라는 점에서 닮았다.


<돌봄과 작업> - 정서경 외


1) 정서경: 시나리오 작가 (영화 <헤어질 결심> 등)


"진짜가 아닌 이야기는 쓰고 싶지 않다"


돌아보면 그 자리를 채운 것은 사랑이었다고 생각한다. 처음에는 이름을 붙일 수 없는 어떤 것이었다. 그 이후로 나는 중요하지 않은 시나리오는 쓰고 싶지 않았다. 진짜 사랑이 아닌 것은 쓰고 싶지 않았다.... 사랑이 필요하지 않은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게 없으면 사람은 죽으니까. 
...
그렇게 <아가씨>와 다른 이야기를 쓰기 시작했고... 그렇게 해서 나는 '엄마'라는 사람이 되었다.



2) 서유미:  소설가


"손을 잡고 걸어가는 일"


열 살 된 아이의 내부를 들여다보면 마트료시카 인형처럼 그 속에 좀 더 어린아이, 그보다 더 어린아이가 들어 있을 것 같다




3) 홍한별: 번역가


"아이를 버리고 도망쳤던 기억"


재택근무를 하는 프리랜서는 일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 모양이다. 아무 때나 전화를 걸어 몇 시간이고 자기 이야기를 늘어놓는 친구도, 급한 일을 대신 좀 해달라고 떠넘기는 가족도, 내가 한창 바쁠 때 감기에 걸려 어린이집에 안 가게 됐다고 좋아하는 아이도, 내가 애를 보고 집안일을 하는 틈틈이 조금이라도 짬을 내서 '일'이라는 걸 해야 한다는 사정은 알아주지 않는다.



4) 임소연: 과학기술학 연구자


"내 마음대로 할 수 없는 존재들과 살아가기"


양육 이야기 없이 인간의 본질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과 이해가 가능하다고? 말도 안 된다.




5) 장하원: 과학기술학 연구자


"지식에 대한 생각을 바꾼 양육"


'모성'은 열 달 아이를 품고 있다고 저절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를 찾아 배워야 실현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이렇듯 나는 다양한 종류의 지식과 정보의 세계 속에서 엄마로 커가는 동안 인간에 관한 '올바른' 지식이 하나가 아님을 알게 깨닫기 시작했다.




6) 전유진: 아티스트


"사라지는 마법으로 사라지지 않기"


어쩌면 출산은 공간뿐만 아니라 '나'라는 경계 자체를 허무는 경험인 걸까.




7) 박재연: 미술사 연구자


"여러 세계를 연결하며 살아가기"


엄마라서 뜰 수 있었던 또 다른 눈...
엄마가 되고 나서 그림에 대한 나의 태도가 조금은 바뀌었다는 생각이 든다



8) 엄지혜: 인터뷰어


"돌봄 노동을 태도가 말해주는 것"


'내가 어떻게 너를 키웠는데'라는 말을 안 할 자신이 없었기에 최소 한 달에 한 번은 나를 위한 시간을 가졌다.



9) 이설아: 입양 지원 실천가


"돌봄이 필요한 이들이 서로를 끌어안을 때"


 나는 감정을 돌보는 것이 곧 영혼을 돌보는 일이라 믿는다.




10) 김희진: 편집자


"양육 간증: 나를 잃었다 찾은 이야기"


매일 잠에서 깰 때마다 자신의 존재 가치를 증명해야 한다는 중압감에 시달리는 여자들에게
...
아이를  낳고 나서야 알았다. 모든 인간은 자신의 쓸모와 가치를 입증하지 ㅇ낳아도 살 권리가 있다는 것을.




11) 서수연: 일러스트레이터


서수연 작품_ <돌봄과 작업> 중



'글 쓰는 엄마'로서 나는 시시각각 분열되고 흩어지는 가루와 파편을 모아 점묘화를 그리듯 글을 쓴다. 한 점 한 점찍어 그리는 점묘화는 일반 그림보다 시간이 많이 걸린다. 대신 좀 더 밀도 높은 그림을 완성할 수 있다. 물감을 팔레트에서 섞지 않고 화폭에 직접 순수한 색의 점을 하나하나 찍어나가다 보면, 다른 화가들이 보지 못하는 아주 작은 부분까지 섬세하게 볼 수 있다. 때로는 붓 대신 면봉이나 손가락으로 점을 찍어야 할 때도 있겠지만, 그래도 괜찮다.


이 책은 11명이 함께 작업해 출간한 책이다. 혼자 점을 찍는 일이 힘겨울 때는 함께 모여도 좋을 것 같다. 내 곁에 누군가가 있다고 생각하면 든든하고, 전체가 아니라 내가 맡은 구간만 책임진다고 생각하면 마음이 놓이기 때문이다.


한 점 한 점찍어가는 과정에서 당장 눈앞에 보이는 건 희미하고 추할지 모르지만, 언젠가 완성된 작품을 멀리서 본다면 지금 보이지 않는 것들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나를 포함해 '돌봄'과 '작업'을 동시에 쥐고 있는 이들이 포기하지 않고 작은 점들을 계속 찍어 나가기를, '돌봄'을 위해 '작업'을 포기했던 이들이 슬그머니 '작업'을 손에 쥐기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