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브런치북 방백 17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영 Jul 07. 2018

사이의 고요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는 일에 대해 생각했다.
출처가 불분명한 마음. 나는 나를 깊숙이 숨긴 채 당신을 통해 나와 만난다. 실체가 없는 이미지에 내가 보고 싶고, 듣고 싶은 것들을 잔뜩 투영했다. 그러니 당신에게 썼던 글들은 모두 스스로를 향한 다짐의 글들이었다.



다시 누군가를 사랑할 수 있을까. 나는 나만 사랑할 수 있는 사람. 돌이켜 보면 나는 나 아닌 누군가에게 깊이 빠져본 적 없었다.
언젠가 한 시절을 함께 했던 이는 말했다.
‘네 옆에 있으면 나는 나무 같아. 언제나 그 자리에 있어주는 나무.’
나무라는 말이 그렇게 아프게 다가올 수도 있는 단어였음을 그때 처음 알았다.
오랜 시간이 흐르고 나서야 나는 그가 아닌 나와 만났었음을, 그가 아닌 내 감정에 빠져있었음을 깨달았다.



박준 시인은 어떤 말은 죽지 않는다고 했다. 어떤 말들은 죽지 않고 사람의 마음속으로 들어가 살아남는다고.
네 옆에 있으면 내가 나무 같아. 그 말은 죽지 않고 내 마음에 살아남아서 누군가를 만날 때마다 유령처럼 따라붙었다.
그때는 어렸고, 그와 나는 너무 다른 성향의 사람들이었다는 것을 안다. 알고 있음에도 그 말은 사라지지 않았다. 간혹 누군가와 함께 있을 때면 그 누군가가 연인이 아니더라도 혹시 내가 곁에 있어도 외로운 건 아닐까 하고 떠올랐다. 그럴 때면 찬물을 끼얹듯 한순간에 가라앉는 마음. 나 아닌 그 누구도 들이지 못한 방은 수면으로부터 점점 더 멀어지기만 했다. 아무도 닿지 못한 방, 그 문을 열면 텅 비어버린 방. 공허하고 공허한.



밝은 나, 웃음이 많은 나, 그 뒤로 더 많은 울음을 삼키는 나. 그 누구에게도 꺼내 보인 적 없다. 더 큰 상실을 감당할 수 없으므로, 이해받지 못하므로. 내가 바라는 것은 온전한 이해.
기대하지 않고, 기대지 않은 채 나는 혼자 기울어지고는 했다.



사람과 사랑 사이에도 고독이 존재한다. 존재로부터 오는 필연적인 고독. 대신 울어줄 수 없는 슬픔과 절대 닿을 수 없는 심연이 존재함을 이해하는 사람, 있을까. 어떤 위로도 닿지 않을 때는 아무 말 없이 기다려주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것을 아는 사람, 있을까.
때로는 우리의 고요가 우리를 더 견고하게 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사람이 있다면. 오롯이 혼자여야만 하는 시간 속에서 조금 덜 외로울 텐데.


가끔은 모두 해체하고 해제하고 싶다.
모든 문을 열어 이리 와 함께 앉아 우리 허물어지자 하고. 그저 내버려 두었으면 싶다가도 가끔은 서로의 민낯으로 마주하고 싶다.
허물어지거나 형체도 없이 녹아버려 다시 찰랑이는 무언가가 되고 싶다고 생각한다.
애초에 어떤 형태였는지 알 수 없이 뒤섞여버린
마음과 마음. 그러나 섞이지 않는 마음으로.




불완전한 새벽을 견디는 일에 익숙한 사람들은 자신의 가장 안 쪽에 닿아있다.
어디에선가 기울어지면
어디에서, 언젠가 맞닿아.
그렇게 믿으면
우리는 조금 덜 외롭지 않겠냐고.
나누어 가질 수 없는
너무 당연한 고독 속에서.






이전 16화 언제나 타인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