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정훈 Apr 22. 2022

안산 선수 향한 '사이버불링' 조장한 언론들

논란이 아니라 ‘온라인 학대’다


워낙 황당한 기사들이 올라오고 있는 상황이라, 오늘 급하게 쓴 기사입니다.


트위터에서 중앙일보 기사를 보고 충격을 먹어서 검색해봤는데, 역시나 조선일보, 헤럴드경제, 국민일보에서도 이런식으로 기사를 썼네요. 페미 논란'이라는 게 대체 뭘까요? ‘페미 논란’은 페미니즘을 지지하냐 지지하지 않느냐가 '논란'거리가 된다는, 명백한 가치 평기가 들어간 워딩이기도 합니다. 


무엇보다 안산 선수가 겪었던 일은 명백한 온라인 학대입니다. 무려 올림픽 경기 도중에 그런 정신적 고통을 겪었던 이에게 다시 '페미 논란' 딱지를 붙이는 것은 명백히 ‘언론이 주도하는 온라인 학대’입니다. 특히나 중앙일보 기사는 스포츠 전문 기자가 썼다는 점에서 더욱 놀랍네요.


"안산은 도쿄올림픽 당시엔 페미니스트라며 비난의 대상이 된 적도 있다. 당시엔 어떤 의사도 드러내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에는 해당 질문에 대해 ‘나는 광주여대 초등특수교육과에 다니고 있다’고 말했다." 

사상검증입니다. 일종의 조롱 같다는 느낌마저 받고요. 자연스럽게 비난을 유도하는 제목과 내용이기도 합니다. 이런 기사는 남초 커뮤니티의 먹잇감이고, 실제로 기사 아래에는 안산 선수를 비난하고 전장연 시위를 폄하하는 댓글이 가득합니다.


'페미 논란', '전장연 논란'... 낮은 곳의 목소리, 차별받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담는 기자들이 있으면 뭐합니까. 인간이라면 누구나 누려야 할 기본권을 논란으로 만드는, 쓰기도 쉬운 기사들은 10배, 20배 가까이 더 나오는데요. 어지간해선 화도 잘 안 나는데, 어떤 기자든 적어도 자신들이 무슨 내용의 기사를 쓰는지는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여전히 언론의 문제 혹은 언론개혁을 이야기할 때 주로 정치적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을 이야기하는 사람이 훨씬 많습니다. 물론 그것도 문제지만 지금은 다수 언론사의 '황색언론화'가 압도적으로 심각한 문제입니다. 조회수를 위해 무슨 짓이든 한다는 경향은 더욱 심화되고 있슴니다. 차별을 정당화시키는 일종의 ‘혐오 장사’가 판치기 좋은 구조인데, 정작 규제할 수 있는 어떤 수단도 없어보입니다. 


독자들에게 나쁜 기사에는 항의를, 좋은 기사에게는 추천과 공유와 댓글을 달아달라는 요청을 하는 것도 한 두번입니다. 언론이 무너지면 그로 인한 피해는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가 짊어지게 됩니다. 언론사는 왜 반성을 하지 않습니까? 포털, 국회, 정부는 대체 왜 온라인 학대를 주도하는 언론에 대해 방관하고만 있습니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