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2019 한국 HCI 학회에 다녀왔습니다.

기술과 교육, 오퍼레이션과 인터랙션. 언저리의 고민에 대한 실마리를 찾아

2019 한국 HCI 학회에 다녀왔습니다.

한국 HCI 학회 안내표지판


제 최근의 고민은 기술과 교육, 오퍼레이션과 인터랙션의 언저리에 있습니다. 언저리의 고민에 대한 실마리를 발견하고자 찾아갔습니다. 제 고민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조직내 기술교육에서의 피드백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것입니다. Learning science 를 이야기하는 키노트에서 힌트를 얻었습니다.

Learning Science 키노트

그 키노트의 핵심은  ‘기술은 교육을 보다 풍성하게 한다. 하지만 그 자체로 충분하지 않다. 사용자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입니다. 이 세션 하나만으로 학회 참석의 가치는 충분히 얻었다 느꼈습니다. 사용성에 대한 보다 깊은 접근과 사용자 단위(개인, 그룹, 커뮤니티)별 다른 레벨의 적용 등에 대한 설계가 제게 주어진 과제입니다.

Learning Science 키노트 메모 (1)
Learning Science 키노트 메모 (2)



Learning Science 키노트 메모 (3)


많은 발표와 포스터 세션을 참관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Voice of People 2018> 입니다. 국민청원에 사이트에 쌓여있는 30만건 이상의 청원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시각화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학부생들이 만들었는데, d3.js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직관과 인터랙티브의 균형을 매우 잘 맞춘 사이트로 결과물을 도출했습니다. 작년에 기획, 운영했던 프로그램에서도 국민청원 데이터를 이용한 프로젝트를 했었는데, 그 덕분에 유심히 관찰하고 질문을 했습니다. 매우 차분하고 깊이있는 답변을 들을 수 있었는데,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높은 완성도를 만들어낸 팀의 역량이 돋보이는 시간이었습니다. 사이트는 voiceofpeople.kr/ 입니다.


Voice of People 2018 소개 포스터 (1)
Voice of People 2018 소개 포스터 (2)


모 학교가 발표한 세션에서는 큰 실망을 느꼈습니다. 기술 자체의 구현에만 초점을 맞추어 사례를 나열하는게 그쳤고, 고민의 깊이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구성원의 다양성의 결여, 전문성 부족, 발표준비 미흡 등이 총체적으로 나타난 게 아닌가 싶었습니다. 특히, 청자에 대한 고려가 없이 일방적인 내용 전달을 하고, 전혀 궁금해하지 않을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장황하게 하며 정작 중요한 핵심내용은 전혀 언급하지 않는 발표방식은 발표 자체 뿐 아니라 모 학교에 대한 인식을 부정적으로 바꾸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고민의 부재, 결과의 진부함, 발표 스킬의 부족이 가져온 총체적 난항이었습니다.


전체적으로는 참신한 아이디어와 이를 바탕으로 한 접근방식에서의 개선이 인상적인 학회였습니다. 그동안 다녀온 학회와는 느낌이 사뭇 달랐습니다. 사실 이번에 한국 HCI 학회에 다녀오게 된 것은 작년 겨울에 샌프란시스코에서 만난 한 연구자와의 대화 덕분입니다. 그는 제게 HCI 학회에 꼭 가보라고 권유했고, 다녀오면 분명 얻는 게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가 말한 대로 새로운 관점을 얻었고, 연구와 실행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주어진 짧은 일정이 아니었다면 분명 더 많은 것을 얻고 갈 수 있었던 시간이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매우 의미있는 일정이었습니다.

구글 Cloud UX 강연
로비에서의 세션


매거진의 이전글 나의 불공평한 장점은 무엇인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