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영수 Apr 09. 2024

봄의 순간, 무엇을 기억할 것인가

지난 주말, 거리 곳곳에 만개한 벚꽃. 매년 이맘때면 보게 되는 꽃이지만, 굳이 사람에 빚대 말하자면, 그 자태나 기품이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다웠다. 가녀린 꽃들이 마치 군락을 이루어 바람이라도 불라치면 곧 떨어질 듯 위태롭게 머리 위에서 흩날리고 있었다. 그 앞에 있으면 누구나 시인이었고 사랑에 빠진 사람이었다.    


"앞으로 봄이 되면 무조건 시간을 내어 좋아하는 사람과 특정한 꽃을 보러 다니고, 잊지 못할 음식을 먹고, 그날의 날씨와 눈에 띈 일들을 일기장에 적어 놓으세요. 우리 인생은 그런 것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김연수 작가의 산문집 <소설가의 일>에 나오는 글이다. 언어로 전달되지 않는, 표현할 수 없는 감정이 분명히 있다. 그때 전달되는 것은 우리가 형식적이라고 부르는 것들이다. 꽃 피는 아름다운 봄에 대해 오래 기억하고 싶으면 뭔가 구체적으로 남겨야 한다. 추상적인 것은 오래 기억되지 않기 때문이다.




'봄이네. 좋다. 아름답다. 꽃이 예쁘네.' 이런 말들은 이 봄이 가기 전에, 아니 말하는 순간 사라지고 만다. 따라서 작가의 말대로 어떤 것을 보았는지, 무슨 소리를 들었는지, 무엇을 먹었는지, 무엇보다 그 순간 누가 내 옆에 있었는지 구체적으로 기억에 남겨야 한다.  


사랑 역시 마찬가지다. 사랑에 대해 기억하고 싶다면, 사랑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말하기보다는,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걸었던 길, 먹었던 음식, 함께 본 영화, 같이 공유하며 읽었던 책이나 들었던 음악에 대해 말해야 한다. 언젠가 다시 한번 그 길을 걷고 같은 음식을 먹고 영화를 보게 되면, 함께 했던 지금 이 순간을 기억할 것이기 때문이다.  


벚꽃이 핀 길을 걸으며 지난봄을 생각했다. 여전히 추상적인 기억뿐이다. 벚꽃이 지면 이 봄도 함께 지고 말 것이기 때문에 이제부터 내가 해야 할 일은 지금 보고 느끼는 이 모든 찬란한 봄의 순간을 구체적인 기억으로 명징하게 남기는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미세먼지가 문제는 아니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