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22 책읽으며 부자생각 정리(2)

<월급쟁이 부자의 머니 파이프라인> 다 읽음

들어가는 글: 어제에 이어 남은 분량을 완독하였습니다. 


1. 남은 목차 


100페이지 이후의 목차 

3. 사업소득 

- 직장인 신분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 프랜차이즈 운영

4. 부동산소득

- 내 집 마련부터 시작해야 하는 이유

5. 주식 배당소득 

- 배당소득이 제일 끝에 있는 이유 


2. 사업소득 


우와 이런 것이 가능해? 하고 놀랐습니다. 

책에 따르면 저자는 재직중인 상태에서 화장품 가게 창업과 편의점 창업을 하여 운영했다고 합니다 @.@ 


"나들가게를 CU 편의점으로 전환해 수익 안정화를 이룬 사례(113p)"


"현재는 일평균 약 180만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115p)" 


하지만 정말로 주의해야 합니다!!! 


"곧 위기가 찾아왔다. 바로 사내 겸업 이슈였다. <중략> 내 명의가 아니었기에 감사는 피할 수 있었다(16p)" 


"그렇게 결혼을 하고 2년이 지났을까? 동일한 문제로 사내 감사를 받게 되었다(16p)" 



3.  부동산 소득 


이 한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나 또한 내 자산 형성의 80%는 부동산이 기여했다고 본다(142p)" 


좀 더 풀어서 설명을 하면 

"삶의 터전을 마련한다는 생각으로 내 집 마련을 하고 더 나아가 남들이 찾는 상품과 서비스를 전국 각 지역에 내놓는 생산자이자 자산가로서 살아가는게 좋지 않을까? (144p)" 


저자의 사례들을 자세하게 공개하여 좋았습니다 :-) 


"2021년 4월 누적 기준, 매매가 상승액은 2억 2,367만원으로 투자금 2,500만원 대비 약 1,000% 상승했다(168p)" 

"2021년 4월 누적 기준, 매매가 상승액은 약 3억 6,100만원으로 투자금 3,900만원 대비 약 900% 상승했다(171p)" 

"2020년 초 검단신도시를 선택했고 그 중에서도 해당 파이를 가장 크게 가져갈 수 있는 역세권 시범단지를 선택할 수 있었다(198p)" 

"나는 2020년 하반기부터 공시가 1억 원 이하의 지방 저층 주공단지에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207p)"


앞으로의 부동산 가격 전망


"작년 코로나19 사태로 예상치 못한 수준의 돈이 전 세계적으로 풀리면서 유동성이 주택 시장에 큰 변수로 작용하고 있고 풀린 돈은 언제나 시차를 두고 자산 가격을 올리기 때문에 과거와 달리 한 번 더 전체 부동산 시장을 올려놓을 것으로 보인다(206p)" 


투자 전략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 선택권이 주어진다면 내가 모은 돈과 나의 신용을 활용해 '살 수 있는 한 가장 좋은 지역의 주택'을 살 것이다(211p)" 


"지금까지 가장 잘했다고 생각하는 것이 있는데, 비과세를 포기하고 다 주택자의 길을 걷기로 결심한 것이다(218p)" 


"지금처럼 세 부담이 증가하는 시기가 오래 지속될 것이라 보지는 않는다(212p)" 


4. 주식 배당 소득 


저자의 주장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 주식 시장에 투자를 권하고 있습니다. 

제 개인적으로 중국은 좀 리스크가 있을 것 같고 미장(미국 주식 시장)은 충분히 투자할 가치가 있는 것 같아요. 


제 경우 올해부터 조금씩 사모으고 있고 현재 수익률은 단순히 원금대비 종가를 기준으로 수익률 10% 정도 됩니다. 앞으로 10년동안 비슷한 금액을 지속적으로 미국 주식에 넣어보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저자의 말들을 들어볼까요? 


"자본주의 사회는 빚으로 돌아간다(227p)" 


"초반에 근로, 컨텐츠, 창업등 노동 소득을 극대화하여 내 집 마련을 하고 더 나아가 부동산 투자로 총자산을 불리는 작업을 했다면, 앞으로는 이들 자산을 보유하고 지키는데 들어가는 비용과 노후준비 차원에서 쉽게 팔지 않을 1등 기업들의 지분(주식)을 사서 배당을 주는 수단으로 만드는 것이다. 노후준비라는 명제를 붙이면 (1) 나보다 오래 살았고 (2) 나보다 앞으로도 오래 살 1등 기업 (3) 현재 전 세계 시가총액 1등이나 (4) 각 업종 1등 기업 (5) 앞으로 미래가 유망한 산업군의 1등 기업의 지분을 사야 하는 것이다(229p)" 


한마디로 요약하면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를 노후준비 수단으로 여기고 모아가지 않을 이유가 없다(243p)" 


5. 정리 


이 책이 좋았던 점은 

1) 저자가 직장생활을 최근까지 해왔고 그 동안 컨텐츠, 창업, 부동산 투자를 병행해왔다는 점 

2) 부동산 투자에 대해 장기적이고 긍정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다는 점 

3) 본인의 사례를 흥미롭게 서술한 점 

4) 근로 -> 컨텐츠 -> 사업 -> 부동산에 이어 주식 배당 소득이라는 노후 준비까지 흐름을 다룬 점 

등이 좋았습니다. 


사실 재테크의 대한 책들은 각 저자의 투자 사례들만 빼면 

대동소이하게 보입니다. 


하지만 이 책만의 차별점이 있습니다. 

1) 서울 부동산 투자가 아닌 경기도 및 지방의 부동산 투자에 대한 본인의 투자 사례가 포함된 점 

2) 주식 투자를 노후 준비의 파이프라인으로 소개한 점 

3) 내 집 마련을 강조한 점 

등등 


마지막으로 한 문장을 인용합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자산시장에 롱포지션을 가져가는 사람은 가난해질 수가 없다. 그게 자본주의 기본 룰이다(264p)"


저도 이렇게 되고 싶네요. 


관심있는 분들께 일독을 권합니다. 

주말이 후딱 갔네요 :-) 

2021.11.14

매거진의 이전글 #21 책읽으며 부자생각 정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