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다 말고 딴생각 하기
싫은 일을 하면서 인생을 소비할 필요는 없다.
나는 그냥 좋아하는 책을 읽을 뿐이다. 막연하긴 하지만 책을 읽고 있는 순간만은 적어도 내 삶이 허무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현재로서는 책이 나를 계속 살아갈 수 있게 하고 살고 싶게 만든다는 것밖에는 알지 못한다.
<박주영 ‘백수생활백서’를 읽다가>
마스다 미리의 ‘나의 우주는 아직 멀다’엔 서점 직원 경력 10년의 쓰치다가 주인공이다. 그녀의 여러 책 중 남자가 주인공인 책이 드물어 눈에 띄기도 하고 서점 직원의 이야기라는 매력적인 소재가 흥미로워 단번에 읽게 됐다. 책에 보면 쓰치다가 병원에 입원한 큰 아버지의 상태가 안 좋단 이야길 듣고 병문안을 가는 에피소드가 나온다. 만화책임에도 내가 모서리를 꾸욱 접어놓은 이 부분엔 이런 대화가 나온다.
“어이 신지, 요즘엔 어떤 책 읽냐?”
“맞다! 요전에 미팅을 했는데~ 호시 신이치 책 이야기로 신이 났었어요. 내가 중학교 때, 큰아버지가 그 책 줬던 거 기억해요?”
“그랬나?”
“호시 신이치 이야기로 여자애랑 완전 의기투합해서!”
“잘됐어?”
“허망하게 차였어요…”
그 책 재미있으면 나도 빌려줘,
라는 말이 반갑다
병문안을 온 조카와 책 이야기를 나누는 것도 좋았지만 병실에 들어선 조카에게 어떻게 지내느냐, 바쁜데 어쩐 일로 왔냐, 라는 일반적인 질문이 아닌 “요즘 어떤 책 읽냐?”라고 묻는 장면이 특히 인상적이었다. 내 나이 서른 중반을 훌쩍 넘기고 한 아이의 엄마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친정 엄마는 점심시간이 지난 1시쯤이면 오늘 점심으로 뭘 먹었느냐고 묻는 카톡 메시지를 (반드시) 보낸다. ‘나의 우주는 아직 멀다’에 이 장면을 읽은 뒤 엄마도 나에게 아주 가끔씩이라도 요즘 뭐 읽니?라고 물어주면 좋겠단 욕심(?)이 생겼다. 어쩌면 쓰치다와 큰 아버지에 대한 질투심 때문일지도 모른다.
만일 엄마가 그렇게 물어봐 준다면 정말 할 말이 많은데…. 책 내용이나 느낀 점에 대해 이야길 나누다가 엄마가 그 책 나 좀 빌려다오,라고 말한다면 더 행복할 것 같다. 그나마 가족 중에 나만큼 책을 좋아하는 네 살 터울 언니가 있는데 취향이 살짝 다르긴 하지만 최근 재미있게 읽은 책에 관한 이야길 나누고 다 읽은 책은 빌려주는 과정이 꽤나 즐겁다. 사실 나는 대학교 1학년 때 언니가 다 읽고 책상 위에 던져놓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를 읽고 난 뒤 독서의 매력에 빠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은 내가 언니보다 훨씬 많이 읽지만 그때만 해도 언니의 독서 양을 따라잡기 힘들었다.
근데 한편으론 친정엄마가 그렇게 해주지 못한다면 내가 하면 된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려면 내 아들이 책을 좋아하는 아이로 자라야할텐데 세 살인 아이의 미래를 아직까진 가늠하기 힘드니 좀 더 기다려 봐야겠다. 다행인 것은 어린이집 선생님께서 매일 적어 보내시는 알림장에 아주 가끔 ‘OO이가 책을 참 좋아해요’라고 적힌 메모를 볼 때면 엄마를 닮긴 한 건가 싶은 생각에 괜히 뿌듯해지기도 한다. 허기사 꼭 책이 아니면 어떠랴. 누군가에게 요즘 뭐가 가장 관심사인지,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묻는 것 자체만으로도 관계는 깊어질 수 있다. 책은 나의 관심사지 상대방의 관심사가 아닐 테니 내가 묻고자 한다면 그의 관심사를 세심하게 알아뒀다가 질문하면 될 것이다.
“요즘 너의 가장 큰 관심사가 뭐야?”
고심 끝에 한 나의 질문에 “관심사 따위 없는데”라는 답이 돌아오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 드는 건 조금 씁쓸하긴 하지만 말이다. 거창하고 대단한 게 아니더라도 하다못해 편의점 도시락 신메뉴가 가장 큰 관심사라 할지라도 공감해주고 흥미롭게 들어주는 자세도 필요할지 모른다. 그러고 보니 남편이 끊임없이 자신의 관심사인 자전거에 대해 이야기할 때 나도 모르게 딴생각하며 고개만 끄덕였던 기억이 스친다. 나부터 잘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