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유미 Jul 01. 2019

골고루보다 뭐든 잘 먹는 아이

책 읽다 말고 딴생각하기 

아이가 5살이 되면서 집에서 3분 거리(도보)에 있는 어린이집으로 옮겼다. 원래 다니던 곳은 가정 어린이집으로 4살까지 밖에 받질 않아서 겸사겸사 옮겨야 했는데 이참에 규모가 큰 어린이집을 경험해 보기로 한 것이다. 4층짜리 건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고 200명이 넘는 아이들이 다니는 큰 규모의 이 어린이집에서 내가 가장 마음에 드는 건 식판을 설거지해서 보낼 필요가 없다는 것. 하하, 이거였다. 처음 어린이집 설명회가 있던 날 모든 설명이 끝나고 질의응답 시간에 다른 엄마들은 아이들 식단 재료나 원 내 공기 청정기 시스템에 대해 궁금해 한 반면 나는 식판을 닦아서 보내야 하나요? 를 질문했고 그렇지 않고 원에서 직접 해결한다는 답을 듣고 (속으로) 뛸 뜻이 기뻤다. 별 것 아닌 것 같아도 매일 식판을 설거지해서 보내는 게 왜 그렇게 귀찮던지. 

나는 식사에 있어서도 최대한 내가 편한 쪽으로 준비한다. 마트에서 직접 장을 봐서 밥하고 국 끓이고 반찬하고 언제 먹이나. 물론 매일 이렇게 하는 건 아니지만 대체로 빨리 조리해서 아이의 배고픔을 달래준 후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물론 가장 큰 이유는 빨리 재우기 위해서지만.) 저녁 6시쯤 어린이집에 도착해 아이를 만난다. 3분~5분 정도 걸어 집에 가는 동안 오늘 잘 지냈는지 등을 묻는 내가 빼먹지 않고 챙기는 게 있다. 


“서하야 오늘 저녁엔 뭐 먹고 싶어?” 


아이가 고를 수 있는 선택지가 그리 다양하진 않다. 자주 먹는 것 위주로 생각해서 답하기 때문. 어쨌거나 나는 아이의 의사가 우선이다. (강제 같은 우선이지만) 그렇게 내 질문에 아이는 골똘히 생각한 후 “음~ 미역국!”이라고 명확하게 답한다. (서하는 미역국과 감잣국을 제일 좋아한다) 그러면 나는 미역국을 해준다. 이 방법이 좋은 이유 중 하나는 아이의 의견을 엄마가 들어주었다는 것에 만족을 느낀다는 것이다. 즉 너의 의견을 엄마는 존중해,라고 받아들이는 거다. 아이가 주로 말하는 저녁 식사 메뉴는 ‘미역국, 떡국, 감잣국, 햄, 스파게티, 짜장면, 계란밥’ 등이다. 뒤에 3개보단 밥을 더 좋아해서 평일 저녁에는 주로 면보다 밥을 먹는다. 밥상에 반드시 국이나 찌개가 있어야 하는 나를 닮아 국은 한 가지씩 꼭 말해준다. 보면 알겠지만 내가 주로 끓이는 국이 어려운 게 아니다. 주 재료 하나에 소금과 국간장으로 간만 맞추면 되는 것들이다.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도 아니라서 한 끼 때우기에 부족함이 없다. 이런 국마저도 끓이기 싫을 땐 에어프라이어에 냉동 생선(뼈 없는 고등어나 삼치)을 돌리고 물에 따뜻한 밥을 말아서 생선을 한 점씩 올려 준다. 입맛 없을 때 이렇게 먹으면 맛있지 않나? 난 내 입에 맛있으면 서하에게도 맛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다행히 이 스타일도 아이가 참 좋아한다) 결과적으로 어린이집에는 조리사와 영양사가 따로 있어 내가 못해주는 반찬을 골고루 먹을 수 있을 테니 전문가에게 서하의 영양 섭취를 맡기는 바이다. 

(지금도 어리지만 더) 어릴 때부터 서하에게 밥 먹이는 걸로 스트레스받은 적이 별로 없다. 골고루 먹는 것이 물론 중요하지만 뭐든 잘 먹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달걀 프라이에 케첩, 때론 스팸에 케첩, 참치 캔을 줘도 맛있게 먹으면 그만이라는 게 내 육아 스타일이다. 최근에는 HMR 식품도 종종 이용한다. 다양한 종류의 국을 붓고 끓이기만 하면 맛볼 수 있다. 맛도 내가 한 것과 별 차이가 없다. 난 돈을 내고 사지만 그 음식들은 나에게 시간을 준다. 간단히 끓여서 먹이고 15분이라도 아이와 몸으로 놀아주는 것이 서로 행복한 저녁 시간을 보내는 나만의 방법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키우지 않고 함께 자란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