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선여인 Jun 30. 2023

내가 쓴 유서는 어디로 갔을까

왜 지지고 볶으며 속을 태우는지

  공부도 재주도 덕도 부족한 몸으로 이 세상, 흐뭇하게 살다 가게 해 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평생 좋은 글로 칭송을 받아왔던 어느 수필가가 쓴 유서다.


  수년 전, 나도 피서지에서 유서를 써본 적이 있다.  

  “빨리빨리 떠날 채비들 혀.”

  설핏 잠결에 귓전을 때리는 시아버지 목소리가 들려왔다. 촌각을 다툴 정도로 다급한 투였다.   

  “동네가 다 휩쓸리게 생겼어. 둑이 무너진댜.”

  요란한 천둥소리와 함께 전등불이 꺼졌다 켜졌다를 반복하더니 아예 정전이 되고 말았다. 삽시간에 검은 장막이 사방을 에워쌌다. 손전등을 든 아버님은 종종걸음으로 피신 준비를 서둘렀다.


   남해안이 좋을까, 동해안이 좋을까 고민하다 남편 고향인 서해안으로 여름휴가를 온 지 이틀째. 온종일 비를 맞으며 곤충과 놀다 잠에 곯아떨어진 아이들을 흔들어 깨웠다.

  “얘들아, 개천 물이 넘친대.”

  억지로 눈을 뜬 아이들은 물이 넘친다는 말에 기겁하며 벌떡 일어났다. 사람과 가축이 물에 떠내려가는 광경을 여름 내내 TV로 지켜봤기 때문이다.


   집 앞에 있는 넓은 개천은 한순간에라도 읍내를 집어삼킬 듯 무서운 기세로 넘실댔다. 아버님은 폭포수처럼 쏟아지는 굵은 장대비 속으로 차를 몰았다. 금방이라도 번쩍거리는 번개가 차지붕 위로 내려 꽂힐까 봐 조마조마했다.

  이미 아수라장이 되어버린 읍내 한복판을 지날 때였다. 그 숱한 사람들이 어디서 나왔는지 갈팡질팡 허둥대는 모습에 '물난리'가 실감 났다. 다행히 산으로 가는 쪽 다리는 물에 잠기지 않아 산길을 타고 정신없이 올라갈 수 있었다.


  산 중턱 너른 터에 도착하여 안도의 숨을 내쉬었다. 집을 짓기 위해 세워놨던 컨테이너 박스 문을 열어젖혔다. 곰팡내가 확 풍겼다. 실내를 둘러보니 가스레인지도 있고, 라면 박스도 있어 일단은 안심했다. 하지만 산속 피신 생활이 길어진다면,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 초조함은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았다.


   한숨 돌린 아버님은 땅문서며 금고의 돈을 걱정하기 시작했다. 번개는 유리창을 부수고 금방이라도 뛰어들듯 기세등등했다. 그칠 줄 모르고 세차게 내리는 비를 보더니 다시 중얼거렸다.

  “암, 목숨을 건진 것만도 다행이여.”

  “그류, 이만한 게 다행이잖유.”

  목숨보다 소중한 것은 없다며 맞장구치던 어머니는 그 긴박함 속에서도 연신 아침거리를 걱정했다. 애꿎은 라면 박스가 우리를 내려다보았다.


   세상의 온갖 근심걱정을 머리에 이고 사는 나는 덜컥 겁이 나기 시작했다.  굵은 빗줄기는 컨테이너 박스 창문을 쉬지 않고 두들겼다. 옆에 떡 버티고 있는 거대한 산이 금방이라도 무너져 내릴 것만 같았다.

  ‘저 산이 우리를 덮친다면?’

  긴장한 탓으로 입안은 쩍쩍 갈라지는데 재밌다고 방방 뛰는 아이들은 어른들 걱정에 부채질을 더 했다.


   함께 왔던 남편은 비상사태 발령으로 은행에 휴가를 반납하고, 천둥번개 요란하던 어제 새벽에 급히 서울로 떠났다. 식구가 다 함께 죽는 것이 나을까. 아니면 한 목숨이라도 건져 집안의 대를 이어야 옳을까. 얽히고설킨 복잡한 걱정들이 머릿속에서 이내 거미줄을 쳐댔다. 그때 유서를 써야겠다는 생각이 번개처럼 스쳤다. 혹시 모를 죽음 앞에 쪽지 한 장쯤은 남겨두어야 할 듯, 사방은 어둡고 음습했다.  

   이렇게 속절없이 떠날 것을 그동안 왜 그리 바둥거리며 살았을까. 다음 생은 과연 있기나 한 걸까. 어둠 속에서 수첩을 꺼내드는 심경은 착잡했다.


   <잘해드리지 못한 부모님들, 더 큰 사랑으로 감싸주지 못한 우리 아이들. 좀 더 살갑게 대해주지 못한 당신. 나 죽거든 꼭 재혼해요. 미안하게 생각하지 말고. 한 가지 부탁은 나 죽었다고 넋 놓고 울고 계실 우리 친정엄마, 가끔씩 찾아뵙고요. 세상에서 우리 사위 제일 예쁘다며 동네방네 자랑했잖아요.>     

  막상 유서를 쓰다 보니 당장 죽음에 맞닥뜨린 사람처럼 눈물이 핑 돌았다.

  ‘주위의 많은 사람들께 걱정만 끼치다 하직하는 내 인생······.’

  마지막 문장을 맺으려는 찰나, 아버님이 소리쳤다.  

   “야, 이젠 살았다.”


  어느새 가늘어진 빗줄기 사이로 서서히 먼동이 텄다. 천둥 번개가 잦아들면서 유리 철망 사이로 서서히 희망의 빛이 들어왔다. 산 아래 높은 건물 위에 어슴프레 두 팔을 치켜든 사람들이 보였다. 만세를 부르는 싶었다. 밤새 사나웠던 빗줄기는 언제 그랬냐는 듯 시치미를 뚝 떼고는 슬그머니 아침 햇살을 데려왔다.

   주섬주섬 물건을 챙겨 산을 내려오고 나서야 밤새 옥죘던 가슴을 펼 수 있었다.  서로 얼싸안고 환호하는 인파 읍내 사거리는 들썩거렸다. 나는 열적은 얼굴을 한 채 차창밖으로 손을 내밀어 힘껏 흔들었다. 살아있음에 감사하는 표시였다.


   내가 쓴 유서는 어디로 갔을까. 죽음 앞에 써 내려갔던 그날의 가슴 졸임은 아직도 생생하건만. 내가 삶의 주인공이라는 걸 잊어버리고,  남의 집 대문 안을 기웃거린다. 옹졸함을 벗어던지지 못하고 지지고 볶으며 속을 태운다.

   우연히 마주한 짧은 유서 앞에 숙연했던 그날의 겸손했던 마음을 다시 찾아오고 싶다.      

작가의 이전글 나는 조선 여인이로소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