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인표 Aug 30. 2023

옥자, 추냬 그리고 조길자


옥자는 옥자고 춘애는 추냬다. 길자는 항상 조길자다.

육십년지기다.


추냬와 옥자가 부업으로 오징어를 찢었다. 킬로에 오천 원씩 쳐준다. 둘 다 손이 빠르고 죽이 잘 맞아 공장 기계 돌리듯 했다. 일감이 없을 땐 오징어를 찢던 상에 둘러앉아 엽서를 칠한다. 밑그림이 그려진 엽서에 물감을 칠하는 일인데 검은 선을 조금이라도 넘어가면 돈을 받지 못한다. 장당 1원이다.


애들 옷은 사는 게 아니라 응당 얻어 입히는 것이다. 추냬의 딸은 모르는 사람 이름이 <오바로크> 된 아람단 단복을 입을 정도다. 딸이 창피한 건 모른다. 추냬에게 아람단 단복은 튼튼한 청조끼일 뿐이다.


악착같이 모은 돈으로 추냬가 생애 첫 집을 마련했다. 이 일로 옥자와 추냬는 10년을 의절한다. 정확히는 집들이 선물로 추냬가 옥자에게 싱크대를 해 달라고 한 게 화근이 됐다.

옥자가 - 거북표인지 백조표인지 - 싱크대값을 건넸다. 그만하면 그녀가 아는 메이커 중 최고급이다. 추냬는 한샘이 아니라고 싸구려 취급을 했다.


둘 다 한샘이 뭔지도 모른다.


서로가 오징어채처럼 가늘고 얇게 찢어졌다.


옥자와 추냬가 다시 연락을 주고받은 건 자식들이 대학생이 된 후다.

추냬는 옥자처럼 반찬을 만들어 딸에게 택배를 보내는 게 소원이란다. 딸이 집에서 대학에 다니고 있어 이루지 못한 소원이라며 종종 옥자 딸에게 반찬을 해 보냈다.

그게 어디 해보고 싶은 일이라 그랬겠는가. 옥자 딸이니 맛있는 걸 먹이고 싶었을 테다.

한샘이 뭐라고 10년을 못 본 체하고 살았는지 내심 미안함을 표현하는 방법이었으리라.




올여름엔 옥자가 반두를 샀다. 계곡에 갈 생각으로 한껏 신났다. 물고기를 죄다 쓸어올 기세다. 잡아 온 물고기는 살짝 갈아서 추어탕처럼 끓여 냉동실에 소분해 둘 요량이다.


물고기를 모느라 발을 얼마나 굴렀는지 바람이 빠진 풍선 같은 다리에 흉터가 가득하다.


옥자가 차에서 반두를 내리다 빽 소리를 지른다.

"야, 조길자!"

이래서 조길자다.


- 조길자야, 잘 지내니?- 는 말이 되지 않는다.


조길자는 좀 느리다. 특별한 고민도 없다. 옥자와 추냬가 융통성 없고 눈치 없는 조길자 때문에 울화통이 치밀어 무안을 주지만 조길자는 그들의 속을 알 리 없다. 항시 평온하다.


"조길자 아줌마가 또 왜? 그렇게 답답한데 왜 만나?"

"애는 착해."


조길자가 음식을 만들어 냄비째 들고 왔다. 아픈 옥자 아들을 보양하려 손수 만든 요리다.

옥자네 애들이 잘 먹지 않는 음식이다.

'아, 이래서.'

추냬처럼 맛있는 거 해먹이라고 돈으로 주면 좋았을 텐데.

조길자 아줌마는 착하다. 날도 더운데 음식을 하느라 불 앞에서 여간 고생한 게 아닐 터다.


다들 중학교 밖에 못 나왔으면서 만날 여고생처럼 놀고 왔다고 한다.

그래.

어떻게 놀든 옥자, 추냬 그리고 조길자만 즐겁고 건강하다면 됐다.



사진출처 : The Korea Times pinterest



매거진의 이전글 건물을 팔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