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장자읽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기픈옹달 Nov 24. 2020

권력 아래 사는 법

4강 장자와 사마천 #2

* 용산도서관에서 진행하는 '장자를 만나는 네 가지 길' 강의안 초안입니다. (링크)


중국 철학은 사士 계층의 출현과 함께 시작되었다. 본디 사士란 천자와 제후, 대부 아래 속해있는 관료 혹은 가신家臣이라 불리는 신하로서 권력에 종속된 존재였다. 그러던 것이 주周의 체제가 붕괴하면서 상당히 자유로운 활력을 얻는다. 그 결과 나타난 것이 제자백가諸子百家였다. 그렇다고 해도 사士 계층은 기존 권력으로부터 완벽하게 자유로울 수 없었다. 그 가운데는 은자隱子, 혹은 일민逸民이라 불리는 사람들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들은 권력으로부터 뛰쳐나와 독립된 자유인의 삶을 살았다. 그러나 이들은 일부에 불과했다. 


철학이란 특정한 체계와 논리를 갖춘 사유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지만, 시대와 환경을 비판하는 사고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따라서 갈등이란 철학의 중요한 토양이 되곤 한다. 세속을 등지고 떠난 이들에게서 낭만을 읽어낼 수 있으나 날카로운 비판의식을 발견하기 어려운 것은 이런 까닭이다. 과연 그들에게 어떤 '철학'을 발견할 수 있을까. 


이후 중국 역사에서 사士 계층은 관료로 편입되어 버린다. 따라서 관료가 아닌, 정치적 자장에서 자유로운 순수한 의미의 지식인이란 중국에 존재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춘추전국시대만 하더라도 혼란 속에서 관직을 얻기 위해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사람들이 많았다. 지금도 남아있는 '유세遊說'라는 말은 바로 이런 사士 계층의 고된 방랑을 지칭하는 말이다. 


강력한 권력을 손에 쥔 제왕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 이것이 이들의 고민이었다. 예를 들어 한비자와 같은 인물은 제왕의 심리와 욕망에 맞춰 유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맹자처럼 이상에 경도된 인물은 그런 것에는 전혀 관심을 두지 않고 제왕에게 성인의 길을 설명하기에 바빴다. 한편 공자는 매우 현실적인 인물이었다. 그는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말한다.


"굳게 믿고 배우기를 좋아하라. 목숨을 걸고 바른 도리를 지켜라. 위험한 나라에는 들어가지 말고 어지러운 나라에는 머물지 말라. 천하에 제대로 다스려지면 모습을 드러내고 천하가 어지러우면 숨어라. 나라가 제대로 다스려지는데 가난하고 신분이 낮은 것은 부끄러운 일이고, 나라가 제대로 다스려지지 않는데 부유하고 신분이 높은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출처出處, 즉 관직에 나아갈까 아니면 은거할까 하는 문제는 결코 쉽지 않은 주제였다. 장자에게도 이 문제는 중요한 고민거리였다. 사마천은 장자가 칠원漆園의 관리였다고 이야기한다. 장자 역시 젊은 시절 나라의 녹을 받는 사람이었다. 따라서 그도 현실적인 권력을 어떻게 대하는가에 대해 이야기했다. <내편 : 인간세>가 공자와 안회의 이야기로 시작하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공자의 애제자 안회가 위衛나라로 가겠다고 말한다. 안회가 이야기하는 이유는 이렇다. 공자가 예전에 예전에 가르치기를 '안정적으로 다스려지는 나라를 떠나서 어지러운 나라로 가라. 의원에 집에는 병자가 많은 법이다.(治國去之,亂國就之,醫門多疾)'라고 했단다. 정확히 위에서 인용한 공자의 말과 반대되는 말이다. 아마도 장자는 <논어>에 실린 공자의 말을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는 공자의 말을 비틀어 구세求世, 즉 세상을 바로잡겠다고 나서는 사람들을 비꼬고 있다.


중니가 말했다. "아! 네가 가보았자 처벌을 받을 뿐이다. 무릇 도道는 번거로워서는 안 되는 법이다. 번거로우면 일이 많고, 일이 많으면 어지러우며, 어지러우면 근심이 생기고, 근심이 있으면 남을 구할 수 없지. 저 옛날 지극한 사람은 먼저 자기가 도를 갖추고 남을 갖추게 했다. 자기가 갖추고 있는 것이 여전히 어지러운데 난폭한 자의 행위에 어떻게 간섭한단 말이냐?"


이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위衛나라는 왕위를 놓고 3대가 갈등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논어>에서 공자는 원칙만을 다시 확인할 뿐이다. "군주는 군주답게, 신하는 신하답게. 아비는 아비답게, 자식은 자식답게(君君臣臣父父子子)" 그러나 이 원칙은 너무 쉽게 무너진다. 과연 그런 원칙을 주장하는 것만으로 위나라의 혼란을 잠재울 수 있을까?


흥미롭게도 장자는 안회의 입을 빌어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안회는 공자의 제자 가운데서도 덕성德性에 이름을 올린 인물이었다. <논어>의 안회는 안빈낙도安貧樂道의 화신으로 등장한다. 과연 이런 안회가 위나라의 복잡한 정치상황에 관여하려 했을까? 이는 그렇게 정치의 현장에 뛰어드는 사람들을 비판하기 위해 장자가 고안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장자는 '도道'라는 절대적 경지에 대한 깨달음이 우선이라고 말한다. 장자는 각 인간을 개별적인 존재라고 생각했다. 그는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삶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 자체에 의문을 던졌다. 과연 누가 누군가를 구원할 수 있을까? 그 대상이 난폭한 자라면 어떤가? 더욱 조심해야 할 것이다. 남을 처벌할 수 있는 형벌의 권력(刑)을 손에 쥔 사람이라면? 


공자와 안회의 대화에 이어지는 인물들의 이야기 역시 비슷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번에는 섭공자고라는 인물의 이야기다. 섭공자고가 제나라에 사신으로 가게 되었다. 그런 그가 고민이 많다. 공자에게 와서 상의를 하는데 가슴이 답답하고 계속 열이 난다는 거다. 스트레스에 시달린다는 말. 제나라 임금의 마음을 움직여야 하는데 그게 뜻대로 될까? 일이 제대로 안 되면 형벌을 받을 테고. 일이 제대로 된다 해도 스트레스 때문에 시달려서 견디지 못하겠단다. 장자는 공자의 입을 빌어 이렇게 말한다. 


중니가 대답했다. "세상에는 두 가지 크게 주의할 일이 있지요. 하나는 운명이고, 또 하나는 의리입니다. 자식이 아버지를 사랑하는 일은 운명이라 하겠습니다. 여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지요. 신하가 군주를 섬기는 일은 의리입니다. 어디를 가도 군주는 군주입니다. 이 세상 어디에도 이 두 가지로부터 떠날 수 있는 곳은 없습니다. 그러니 이 두 가지를 크게 주의해야지요. ...(중략)... 누군가의 자식으로서, 누군가의 신하로서 어쩔 수 없는 일이 있는 법입니다. 그러니 시키는 일을 하고 제 자신을 잊어야 합니다. 삶을 기뻐하고 죽음을 싫어할 여유 따위가 어디에 있겠습니까."


장자는 냉정하게 현실을 보라 이야기한다. 누군가의 자식으로 태어난 것처럼, 제왕의 신화로 사는 것도 하나의 운명이다. 어디 가도 여기에서 벗어날 수 없다. 군왕 아래 살아가는 것은 주어진 현실이다. 따라서 어떻게 보면 장자는 숙명론적 입장에 서 있는 것처럼 보인다. 장자는 이렇게 말하기도 했다. "현실을 편안하게 여기고 순리를 따르면, 슬픔이니 즐거움이니 따위가 생기지 않겠지.(安時而處順,哀樂不能入也)" 우리는 이렇게 감단하기 어려운 현실에 내던져진 삶들이다.


그러나 장자는 우리가 쉽게 생각하는 순응의 길과는 다른 길을 제시한다. 이어지는 <인간세>의 뒷부분에서 바로 앞에서 소개한 장석과 상수리나무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나무는 도끼의 횡보에 내던져진 존재다. 나무는 도끼질에서 달아날 수 없다. 그렇다고 길이 없는 건 아니다. 무용지용, 쓸모없음의 쓸모를 이야기했던 것을 기억하자. 장자는 달아나지 않고, 바로 여기에서 현실을 벗어날 수 있는 또 다른 길을 모색하는 인물이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사마천 역사-史記를 쓰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