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장자읽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기픈옹달 Mar 13. 2021

장자익 : 소요유 3

번역해보자

탕임금이 극에게 물었던 것도 이와 같아. 풀조차 제대로 자라지 않는 북쪽 아득하고 컴컴한 바다가 있으니 천지天池, 하늘의 못이라 하지. 거기 물고기 한 마리가 있는데 크기가 몇 천리나 된단다. 그 크기를 아는 사람이 없어. 다만 이름이 있는데 곤鯤이라 해. 거기에 또 새가 있는데 그 이름은 붕이야. 마치 태산처럼 커서 날개를 펴면 하늘에 드리운 구름과 같지. 회오리바람을 타고 빙빙 돌며 구만리를 올라가. 구름을 뚫고 푸른 하늘에 이르면 남쪽으로 떠나. 남쪽 아득하고 컴컴한 바다로 가는 거야. 


그걸 보고 메추리가 이렇게 비웃는단다. "저놈은 또 어딜 가는 거야? 나는 팔짝 뛰어 날아올라도 고작 몇 미터를 날지 못하고 땅에 떨어지는데 말야. 숲속에서 이리저리 날아다니면 되었지 또 어딜 갈 필요가 있겠어?" 

이것이 작고 큼의 구분이겠지. 그러므로 지혜가 관직 하나에 어울릴 만한 사람, 행실이 고을 하나를 다스릴 만한 사람, 군주 하나를 섬길 만한 덕을 갖춘 사람, 한 나라를 다스릴 만한 능력을 가진 사람들 따위 스스로를 보는 것이 메추라기와도 같아. 송영자는 빙그레 이런 사람들을 비웃지. 세상 사람이 모두 그를 칭송해도 신나지 않고, 세상 사람이 모두 그를 비난해도 물러나지 않는 사람이야. 안과 밖의 구분을 확실히 하고 명예와 치욕의 경계를 분간할 뿐이야. 그렇게 대단한 건 아니야. 세상일에 대해 서두르지 않을 뿐이야. 그래도 아직 부족한 구석이 있어. 


열자는 바람을 타고 다녔다고 해. 시원하고 좋았겠지 보름을 떠났다가 돌아오곤 했어. 그는 복을 바라는 일 따위에 연연하지 않았지. 두 발로 걸어 다니지 않아도 되었지만 그래도 의지하고 있는 게 있었잖아. 만약 천지의 온전함을 타고, 우주의 기운을 움직이고, 끝없는 세계에 노닌다면 어떨까. 그러면 또 무엇에 의지하겠어. 

그러므로 이런 말이 있지. 지극한 사람에게는 자기가 필요 없고, 신묘한 사람에게는 공적이 필요 없고, 성인에게는 명성이 필요 없다고. 


湯之問棘也是已。窮髪之北。有冥海者。天池也。有魚焉。其廣數千里。未有知其脩者。其名為鯤。有鳥焉。其名為鵬。背若太山。翼若垂天之雲。搏扶揺羊角而上者九萬里。絶雲氣。負青天。然後圖南。且適南冥也。斥鴳笑之曰。彼且奚適也。我騰躍而上。不過數仞而下。翺翔蓬蒿之間。此亦飛之至也。而彼且奚適也。此小大之辨也。故夫知效一官。行比一鄉。德合一君。而徵一國者。其自視也。亦若此矣。而宋榮子猶然笑之。且舉世而譽之。而不加勸。舉世而非之。而不加沮。定乎内外之分。辨乎榮辱之境。斯已矣。彼其於世。未數數然也。雖然猶有未樹也。夫列子御風而行。泠然善也。旬有五日而後反。彼於致福者未數數然也。此雖免乎行。猶有所待者也。若夫乗天地之正。而御六氣之辨。以游無窮者。彼且惡乎待哉。故曰。至人無已。神人無功。聖人無名。


극棘은 탕임금 시대의 빼어난 인물이다. <열자>에 은나라의 탕임금이 하나라의 변혁을 물었다는 내용이 있다. 혁革과 극棘은 발음이 비슷하다. 
궁발窮髪은 풀이 자라지 않는 땅이다.
양각羊角은 바람이 돌아 위로 올라가는 것을 말하는데, 그 모습이 양의 뿔처럼 생겼기 때문이다.
척斥은 작은 못이다. 
유연猶然은 웃는 모양이다. 일설에 태연히 웃는다 풀었다.
삭삭數數은 급급汲汲과 같다.
열자는 정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어구禦冦이다. 

棘湯時賢人。按列子作殷湯問夏革。革棘聲相近。窮髪無毛地也。羊角風曲上行。若羊角然。斥小澤也。猶然笑貌。一云。猶以為笑也。數數猶汲汲也。列子鄭人。名禦冦。


【郭注】

탕이 극에게 물었다는 것 역시 사물이 각기 한계, 각자의 분수를 가지고 있다는 말이다. 분수를 따르면 막힘이 없다. 그러므로 장자는 들은 것이 이와 같다고 말하였다. 

앞에서 둘의 날개가 다르다고 말했다. 그러므로 이르는 곳도 다르다. 천지天池 까지 날아가기도 하고, 겨우 나무를 옮겨다니는데 그치기도 한다. 다만 각자 타고난 신체를 따라 만족하니 어째서 그런지는 알지 못한다. 여기서 작고 큼의 구분을 말하는 것은 각기 자연스러운 소박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억지로 바라 이를 수 있는 것이 아니니 각기 주어진 본성에 안주하면 그 다름을 슬퍼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다시 언급하였다. 

이처럼 스스로를 본다는 것은 새가 자기 입장에서 스스로 체득했다는 뜻이다. 송영자가 태연하게 웃었다는 것은 같게 여기지 못했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웃었다. 온 세상 사람이 칭송하고 욕하더라도 신나게 하지도 물러서게 하지도 못했다는 것은 스스로 체득한 것을 살폈다는 뜻이다. 안과 밖의 구분을 확실히 했다는 것은 자신을 중시하고 다른 사물을 도외시했다는 뜻이다. 영예와 치욕의 경계를 분간했다는 것은 자신을 영예롭게 여기고 남을 치욕스럽게 여겼다는 뜻이다. 거기에 그쳤다는 것은 더 이상 나아갈 수 없었다는 뜻이다. 세상 일에 대해 서두르지 않았다는 것은 자신에게 만족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세상일에 느긋할 수 있었다. 아직 확고하지 않았다는 것은 오직 자기가 옳았다고 여기고 하지 못하는 것이 없는데 까지 이르지 못했다는 뜻이다. 

영연泠然은 가벼운 모양이다. 보름이 지나 돌아온다는 것은 의지하고 있는 것이 있어 바람을 타고 다녀야 하니 일시에 돌아다닐 수 없다는 뜻이다. 그러나 그 다니는 것 역시 자연스러울 뿐이며, 억지로 추구하는 것이 아니다. 바람이 없으면 다닐 수 없으니 반드시 의지하는 것이 있어야 한다. 올라타지 않는 없어야 의지하는 것이 없다. 

천지는 만물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천지는 만물을 몸으로 삼고, 만물은 반드시 자연스러움을 바름으로 여긴다. 그러므로 대붕이 높이 날고, 메추리가 아래에 날며, 대춘이 장수하고, 조균이 단명하는 것 모두가 자연스럽게 되는 것이고 억지로 그렇게 되는 것이 아니다. 억지로 하지 않고 저절로 가능한 것을 바름이 된다. 그러므로 천지의 바름을 탄다는 것은 곧 만물의 본성을 따르는 것이다. 우주의 기운을 탄다는 것은 변화의 흐름을 따라 노니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어디를 가더라도 그침이 있겠는가. 이렇게 올라탄다면 또 어디에 의지할 필요가 있겠는가. 이것은 덕이 지극한 사람이 다른 사람과 나를 아득히 같다고 여기며 자유로이 노니는 것이다. 

만약 의지하는 것이 있다면 열자 처럼 가볍고 신묘하더라도 바람이 없이는 다니지 못할 것이다. 반드시 의지하는 것이 있은 뒤에 자유롭게 노닐 수 있다. 그런데 대붕은 어떻겠는가. 오직 사물과 구분을 없애고 커다란 변화에 따르는 자만이 의지하는 것 없이 자유롭게 늘 통할 수 있다. 어찌 스스로 통하는 것뿐이겠는가. 또한 의지하는 것이 있는 자를 따라, 그 의지하는 것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한다. 의지하는 것을 잃지 않게 하면 크게 통함(大通)에 함께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의지하는 것이 있거나 의지하는 것이 없거나 내가 같게 만들 수 없다. 각기 그 본성에 안주하게 해야 한다. 그러면 하늘의 체계가 스스로 펼쳐지고 이를 알지 못하고 따르니 내가 다르게 할 수 없다. 의지하는 것이 없음은 의지하고 있음과 다르다고 하지 않는다. 하물며 의지하는 것이 있는 자의 크고 작은 차이를 다르다고 할 수 있을까. 

자기가 없으니 사물을 따른다. 사물을 따름이란 지극하니 이치가 지극하면 자취가 남지 않는다. 따르고 조장하지 않으면 지극한 이치와 하나가 된다. 그러므로 공적이 없다. 성인이란 본성을 체득한 것을 부르는 이름일 뿐이다. 그 체득한 것에 이름 붙이기에는 부족하다. 

湯之問棘。亦云物各有極。任之則條暢。故莊子以所問為是也。向言二蟲殊翼。故所至不同。或翺翔天池。或畢志榆枋。直各稱體而足。不知所以然也。今言小大之辨。各有自然之素。既非跂慕之所及。亦各安其天性。不悲所以異。故再出之。其自視亦若此者。亦猶鳥之自得於一方也。宋榮子猶然笑之者。未能齊。故有笑也。舉世毁譽之。而不加勸沮者。審自得也。定乎内外之分者。内我而外物。辨乎榮辱之境者。榮己而辱人。斯已矣者。亦不能復過此也。於世未數數者。足於身。故間於世也。猶未�者。言唯能自是耳。未能無所不可也。泠然輕妙之貌。旬有五日而反。言有待者雖御風而行。不能以一時而周也。然其行亦自然耳。非數數然求之也。非風則不得行。斯必有待也。唯無所不乗者無待耳。天地者。萬物之總名也。天地以萬物為體。而萬物必以自然為正。故大鵬之能髙。斥鴳之能下。大椿之能長。朝菌之能短。凡此皆自然之所能。非為之所能也。不為而自能。所以為正也。故乘天地之正者。即是順萬物之性也。御六氣之辨者。即是遊變化之塗也。如斯以往。則何往而有窮哉。所遇斯乗。又將惡乎待哉。此乃至德之人。玄同彼我者之逍遥也。茍有待焉。則雖列子之輕妙。猶不能以無風而行。故必得其所待。然後逍遥耳。況大鵬乎。夫唯與物冥而循大變者。為能無待而常通。豈自通而已哉。又順有待者。使不失其所待。所待不失。則同於大通矣。故有待無待。吾所不能齊也。至於各安其性。天機自張。受而不知。則吾所不能殊也。夫無待。猶不足以殊有待。況有待者之巨細乎。無己。故順物。順物而至矣。理至則迹滅矣。今順而不助。與至理為一。故無功。聖人者物得性之名耳。未足以名其所以得也。

* 條暢(조창) : 조리가 있다. 활발하다. 




아고 고되다. <소요유> 전체를 다 옮기는 데 한참이나 시간이 걸리겠다.

곽상은 현동玄同, 즉 차이와 구별을 없애는 경지를 이야기한다. 곽상의 주석을 비판적으로 읽는 입장에서는 지나친 해석이라는 생각이다. 과연 '차이' 혹은 '구별짓기'가 장자가 고민한 문제였을까? 곽상은 개별의 차이는 내버려두고, 개별적 차이를 통괄하는 거대한 전체를 구상한다. 그러나 장자는 그런식으로 '전체'를 사유하지 않았다. 그는 오롯이 개인에게 집중한다. 장자는 '나'의 존재에서 출발한다. 

일단 이렇게 정리하고 내일 강독하면서 뜯어볼 부분을 체크해보도록 하자. 

<소요유〉... 약 40%정도 했나? 

매거진의 이전글 장자익 : 소요유 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