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은미 May 27. 2024

원망한다고 달라질 일이 있겠습니까

“경찰 섭니다. 어젯밤 할머니 한 분이 택시를 타고 강릉까지 갔는데 택시비를 내지 않고 내렸다고 신고가 들어왔네요.”

“네?”     


형제들은 엄마를 입원시키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말했지만, 나는 고집을 부렸습니다. 당분간 집에서 모시면서 옆에서 돕겠다고요.      


“아냐 언니 내가 돌볼 수 있어.”

“그래도 언제든 힘들면 말해.”      


길게 끄는 작은 언니 목소리엔 걱정이 묻어났습니다. 옅은 한숨 소리도 또렷이 기억납니다. 병원에 입원시키자는 언니를 설득했습니다. 잘 챙겨 먹지 못해 야위고 입맛을 잃고 앓아누웠던 작년에는 거뜬했거든요. 그때처럼 엄마를 도울 수 있으리라 믿었으니까요.     

 


“엄마, 목소리가 왜 그래? 무슨 일 있어?”

“이러다 엄마 죽을 것 같다. 입맛도 없고 기운도 없고.”     


전화기 너머 들려오는 엄마 목소리는 가늘고 힘이 없었습니다. 입맛이 없다니 의아했고요. 감기를 앓을 때면 밥을 잘 먹지 못하는 내게 엄마는 당신은 살면서 한 번도 입맛을 잃은 적이 없다면서 고개를 갸웃했었거든요. 젊어서는 병원 신세를 진 적도 없고요. 


그랬던 분이 지금 입맛도 없고 기운 없다 하니 의아했습니다.     


한달음에 달려간 고향 집. 왔냐는 인사도 없이 누운 엄마는 살이 쏙 빠져서 반쪽이 된 모습입니다. 형편없이 야위고 늙어버린 모습, 놀라 벌어진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습니다. 의젓하게 누군가를 보살펴 본 적은 없지만, 정성을 다해 돌보자 결심했습니다. 다른 사람도 아니고 엄마니까요.     

 

“엄마 먹고 싶은 거 있으면 말해. 내가 다 해 줄게.” 


딸아이 방에 누운 엄마는 힘없이 누워 손사래를 쳤습니다. 


“먹고 싶은 거 없다.”      



신혼 초에 여러 가지 죽 요리법이 실린 노란색 표지의 요리책을 한 권 샀습니다. 검은깨 죽으로 시작해 콩나물 김치죽까지 그림의 떡이었고 요리책은 덩그러니 책장에 꽂혔습니다. 드디어 요리책이 실력을 발휘가 때가 되었습니다. 

사진: Unsplash의Becca Schultz

용기를 내어 책을 펼쳤습니다. 마침 잣이 있었거든요. 잣죽을 끓이는 건 매우 간단합니다. 물에 30분쯤 불린 쌀을 곱게 갈고 잣은 도마에 으깨어 잘게 다집니다. 불린 쌀 간 것과 잣을 충분한 물에 넣고 저어주면서 푹 끓이면 맛있는 잣죽이 완성 됩니다.      


알맞게 잣죽이 끓여졌고 그릇에 담아 밑반찬과 함께 상을 차렸습니다. 내 입맛에도 그만입니다. 어깨가 으쓱했습니다. 일주일 정도 정성으로 삼시 세끼 밥을 차렸습니다. 국도 종류별로 끓이고 뭐든 드실 수 있게 조리해서 드렸습니다.      


식사량이 조금 늘었습니다. 처음엔 죽을 넘기는 것조차 어려워하셨는데 입맛이 돌아오는 것 같다며 가슴을 쭉 펴셨습니다. 누워만 있더니 거실에도 나오고 조용하시더니 말도 늘었습니다.   

   

평생 든든히 계실 줄 알았던 엄마가 약해지고 나서야 자발적으로 줄 수 있는 사람이 된 순간이었습니다. 받은 게 많으면 베풀기도 잘할 것 같지만 외려 더 못할 때도 있거든요. 살면서 처음 정성을 쏟아본 느낌은 괜찮았습니다. 내가 좀 대견하단 생각을 했었더랬죠. 효녀 반열에 선 듯해 기분도 좋고 자랑스러운 딸이 될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어려서 못되게 군 것도 만회할 것 같았고요.   

  



그 순간을 생각했었습니다. 형제들에게도 보란 듯이 한몫하고 싶었거든요. 잘하면 엄마와 형제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을 테니까요. 


그러나 예상은 빗나갔습니다. 처음부터 불가능한 도전이었습니다. 용기 낸 건 좋았지만, 아픈 사람을 돌보는 건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습니다. 마음이 아픈 사람을 돌보는 일은 더욱.


‘적당히’는 통하지 않았습니다.      


마냥 받기만 하며 살았던 나는 기준 미달이었습니다. 제대로 된 노력도 못 해보고 불쑥 날아온 센 주먹에 한 대 얻어맞고 만 기분이었거든요. 




그런데 도대체 엄마에겐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무엇이 마음을 헤집어 놓은 걸까요. 얼마나 견디기 힘들었으면 삶을 놓아버린 사람이 된 걸까요. 잘 있어 주길 바랐는데, 혼자도 잘 견뎌줄 거라 믿었는데, 도대체 어떤 상처와 차가움이 할퀴고 갔길래 이렇게 된 걸까요     


사실 엄마는 의지하고 믿었던 사람에게 감당 못 할 상처를 받은 것 같았습니다. 


치매라 하기엔 의아한 상태에 여기저기 전화를 돌리다 알아챘습니다. 그녀의 앙칼진 목소리에선 냉정함이 묻어났고 쏟아놓는 말들이 심장을 찔러서 아파서 괴로웠거든요. 


"됐어. 그만해. 듣고 싶지 않아."

무슨 말이 오갔는지 더는 알고 싶지 않아 귀를 막고 서둘러 전화를 끊었습니다. 

사진: Unsplash의Milada Vigerova

치매 인 데다 약해져서 위로와 지지가 필요한 사람한테 어떻게 그럴 수 있었는지. 치명상을 입히는 건 아는 사람, 때론 가족입니다.     

 

독한 말로 엄마를 상처 입힌 사람이 미웠습니다. 


그럼에도 이해했기 때문에 아무 말 못 하고 끙끙댔습니다. 따질 용기도 없었습니다. 다툼만 커질 테고 속만 시끄러울 테니까요. 그런 연유로 입을 다물기로 했습니다. 탓하지 않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돌이킬 수도 없는데 누굴 원망한다고 달라질 일이 있겠습니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