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쓰는종달이 Mar 03. 2023

저 TV 출연했어요.

브런치에 글을 쓰기 시작한 것은,

'작가'라는 이름으로 

누군가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고 싶었기 때문이에요. 



브런치에 글을 쓰기 시작한 것은, 

'작가'로 내 글이 '베스트셀러'가 되고 

'좋은 콘텐트'로 활용되고.. 


브런치에 글을 쓰기 시작한 것은, 

사는 것이 너무 빡빡해서, 

더는 숨을 쉴 수가 없어서였어요, 

나도 좀 살아보고 싶은데, 

나는 글을 좋아하고 글 쓰는 것을 너무 사랑하니까...


브런치에 글을 쓰기 시작한 것은

진짜 나 같은 누군가도 어딘가에서 

헐떡이면서 거친 숨을 몰아쉴 것 같아서였어요. 

그래서 손 좀 내밀어 주려고 했어요. 



그런데? 

난데 없는 TV출연? 




제 브런치 글을 보고 방송국에서 연락이 왔어요.

'프로 아나 -혹은 거식증, 섭식장애' 건강이라는 주제로. 


제가 그 인터뷰를 응한 이유는요.



아직은 낫지 않은 우리 아들의 섭식장애 때문이죠. 


'무서울 정도로 진화하는 거식증-섭식증' 

'거식증 강박관념'에 사로잡힌 일명' 프로-아나' 

그 사이에서 왔다 갔다 하는 

불안정한 아들은 결국 음식, 운동을 선택하고 

몸무게를 회복했죠. 



아주 건강하고 체격 좋은, 어깨 딱 벌어진 운동하는 아이로 변했습니다. 

그런데요, 의사 선생님도 어쩔 수 없는 '토하는 폭식'증상이 뒤따라 오네요. 


그래서 인터뷰를 했습니다. 

저도 제 지난 힘들었던 시간을 되돌아보고 싶었고, 

아들에게도 그럴 기회를 주고 싶었는데, 

흔쾌히 이 녀석 응하더군요. 

워낙, 말을 잘하고 사람들 앞에서 인터뷰하고 리드하는 거 잘했는데, 

카메라 앞에선 떨지도 않더라고요. 


덕분에 PD님께 칭찬도 받았죠. 




막상 TV 방송이 되자, 

아잇, 쪽팔려. 엄청 쪽팔린데, 괜히 했나 봐.
라고 하더라고요. 


그리고도 아직도 토합니다. 

뭐가 이 녀석을 그렇게 불안하고 힘들게 할까요? 

아직, 저 밑바닥에 있는 '수치심'을 마주할 용기가 나지 않기 때문이라네요. 


아들이 '토 안 하고 100일 버티기 ' 챌린지를 몇 번이나 실패하면서 

토하는 횟수를 줄여 갑니다. 



이제는 쉽사리 없어질 습관이 아니라는 것을 

그 녀석도 저도, 의사 선생님도, 상담 선생님도, 그리고 식구 모두가 알지만요. 


다행인 것은, 실패하는 챌린지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그런 녀석에게 제가 해 줄 수 있는 것은 

이제는 말 없는 응원뿐입니다. 

제 한 마디도 그 녀석에게는 민감한 잔소리 자체인 듯싶어서요, 

제 입에 자물쇠가 있으면 좋겠어요. 


아님, 때때로 내 마음과는 다르게 '욱'해서 나가는 그 핀잔들이 

부드러운 말투와 격려의 말로 바뀌는 기계라도 발명해야 할 듯싶어요. 




에필로그.......

글을 쓰는 일상 속에서도 

아이와 나의 문제, 나의 지긋지긋한 삶이 바뀌지 않아서 

잠깐 브런치를 멀리 했습니다. 

이제 , 다시 한 자 한 자 써 내려가려고요. 

누군가에게는 힘이 될 수 있으니까요. 

저처럼, 빛 한 줄기 없는 깜깜한 터널에 10년 이상 갇힐 수도 있으니까요. 

이전 22화 나의 X시어머니께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