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idsommar Aug 23. 2021

코로나19 vs 백신 접종, 무엇이 더 위험할까?

지속 가능한 사회를 꿈꾸며

최신 통계를 이용하여 글을 업데이트 했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brunch.co.kr/@0d046a72134241d/54


코로나19 vs 백신 접종, 뭐가 더 위험할까? 라는 주제로 두 개의 글을 썼습니다.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사람들이 자주 말하는 것이 "인과관계 기준이 턱없이 높아서 믿기 힘들다"라는 것입니다. 이는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속담도 있듯, 과학적 설명에도 불구하고 해결이 불가능한 당연한 감정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백신으로 죽었다"라고 억울해하는 유족에게 "인과관계 없다잖아"라고 말하는 것은, 그것의 과학적 결론 여부와 상관 없이 너무나도 잔인한 주장입니다.)


따라서, "만약 백신과 관련된 중증반응이나 사망 모두가 인과관계라고 한다고 하더라도 백신 접종이 더 위험이 적다"라고 한다면, 백신 접종을 망설이는 위험층을 한 명이라도 더 설득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글을 썼는데요 (저 또한 궁금하기도 했습니다)


이 글은 고령층에게 백신 접종을 권장하기에 좋은 자료같아서, 더 널리 알려졌으면 하는 마음에 오마이뉴스에도 제보(?)를 했고, 붙임과 같이 실리게 되었습니다.

(링크: 코로나19 vs 백신 접종, 무엇이 더 위험할까? - 오마이뉴스 (ohmynews.com))


1. 코로나19 감염 VS 백신접종 이상반응


KBS는 1000명 중 4명 꼴로 코로나19에 감염되었고, 백신 접종으로 인한 이상반응 또한 1000명 중 4명 꼴로 나타났기 때문에 적어도 이 통계로는 "백신 맞은 뒤 아픈 확률이나 코로나19에 걸릴 확률이나 거의 비슷하니까 접종하지 않겠다"라는 생각을 가지는 것이 합리적임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백신 접종률이 75%를 넘는 아이슬란드, 90%를 넘는 몰타우리 나라보다 일일 인구대비 신규 확진자 수가 훨씬 많다.


"코로나 종식" 이야기가 점점 줄어들고 최근 "위드 코로나" 논의가 나오고 있는 것에서도 볼 수 있듯, 백신 접종에도 불구하고 돌파감염 등으로 인한 코로나 확산은 멈출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짧고 굵게", "이번이 마지막 고비"와 같은 정부의 말이 결과적으로 지켜지지 못한 것처럼 "75% 예방접종 이후 집단면역으로 코로나 종식" 또한 지켜지지 않을 확률이 높다.


그러므로 백신 접종으로 인한 이상반응은 앞으로도 비슷한 수치에 머무르겠지만, 코로나19 감염률은 계속해서 올라갈 것이고, 특히 집합금지나 마스크 착용 등의 통제조치가 종료되는 순간부터 미접종자의 감염은 (통제조치 종료 여부에 관계없이 계속 마스크를 착용하고 모임을 가지지 않지 않는 이상) 더욱 거세질 것이다. 따라서 "백신 맞은 뒤 아픈 확률이나 코로나19에 걸릴 확률이 비슷하다"는 상황인식은 적절하지 못하다.


(나를 제외한) 충분히 많은 사람들이 접종함으로써 코로나19가 종식되어 나는 더 이상 백신 맞을 필요가 없는 상황을 기다린다면 그런 날은 오지 않을 확률이 높다. 단지 "내가 걸리기 전에 종식될 것 같아서"라는 이유만으로 백신을 받지 않기로 결정한 사람들은 마음을 바꾸고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한편, 비슷한 이유에서 "집단면역을 위해 백신 맞으라"고 다른 사람에게 말하는 것도 불필요하며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아니다. 어차피 백신은 집단면역을 가지고 올 수 없기 때문이다.


"백신도 안 맞고 코로나도 안 걸리겠다"는 것은 현실성 없는 이야기지만, "백신 맞는 것보다 코로나 한번 걸리는 게 낫지 않을까?"라는 의문은 여전히 가질 수 있다. (혹은 면역력만으로 코로나에 걸리는 것과 백신을 맞고 코로나에 돌파감염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아래에서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알아보자.


2. 코로나19 치명률 VS 백신접종 후 사망 신고율


KBS에 따르면 코로나19 치명률은 0.95%이고, 접종 후 사망 신고율은 약 0.002%로서 코로나19 치명률이 훨씬 높다.


하지만 최근 치명률이 낮아지는 이유는 백신 접종에 따른 인공면역 형성 덕분이므로, 백신을 맞지 않기로 결정한 사람들은 백신 미접종자의 치명률로 코로나19를 경험하게 되기 때문에, 백신 접종 시작 이전 자연면역력을 통한 치명률을 봐야 한다.


또한, 0.95%라는 수치도 개인에 따라 충분히 낮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연령별로 수치를 쪼개서 보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위를 통해 볼 때, 50대 이상부터는 백신 접종 후 사망 신고율에 비해 미접종 상태의 코로나19 치명률이 유의미하게 높아진다.

한편, 돌파감염에 대한 백신의 효과 또한 유의미하다. 8월 12일 현재 돌파감염자 수는 2111명이고 이 중 80대와 90대 각 1명이 사망했다. 80대 이상의 돌파사망률은 약 0.6%이고, 나머지 연령대의 돌파사망률은 0%이다.


따라서 연령이 높거나, 연령이 낮더라도 기저질환이 있다면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훨씬 이익이다. 젊은 연령대의 경우 백신 없이도 독감 수준 이하의 치명률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정부는 고령층이 예방접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더욱 집중할 필요가 있다.


3. 위중증 환자율 VS 중증 이상반응 발생률


KBS에 따르면 현재 격리 중인 환자 중 1.3%은 위중증이고, 백신으로 인한 중증 이상반응은 전체 접종자의 0.025%에 불과하므로 백신 접종의 이득이 훨씬 크다. 그러나 격리 중인 환자가 위중증으로 발전할 때까지 시차와 위중증이었던 사람이 회복하여 일반병실로 옮겨서 격리하는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조금 더 장기적인 기간에서 관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연령대별 위중증환자의 누적 자료는 한국에 공개되어 있지 때문에 불가피하게 해외 사례를 가져와서 비교하였다.  

위중증과 집중치료대상 환자

이를 통해 볼 때, 연령을 불문하고 백신접종에 비해 코로나19로 인해 위중증으로 발전할 확률이 높고, 후유증 발생 확률이 있는 집중치료실 입원률 또한 백신접종 후 중증 발생률에 비해 높은 편이다. 한편 백신을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돌파감염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돌파감염의 위중증률과 미접종 상태의 위중증률을 비교할 필요도 있다.

돌파발생률은 백만명 당 돌파감염이 발생한 사람의 수입니다.

마찬가지로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백신 접종의 효과는 명확해진다(20대 이하의 돌파위중증률이 미접종위중증률보다 높은 것은 표본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지금 백신접종이 완료된 20대 이하의 경우 보건종사자 등과 함께 기저질환자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대표성을 확보하려면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령대가 낮은 경우 백신 접종의 이익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존재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고령층 접종이 가장 중요하다


최근 위드 코로나 논의가 시작되며 확진자보다 위중증자 관리 위주로 가자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고, 정부 또한 예방접종 목표가 달성되는 이후에 진지하게 논의할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전체 인구의 예방접종률은 사실 크게 의미 있는 수치가 아니다. 가령, 프랑스는 스웨덴보다 예방접종률이 더 높지만, 인구 대비 사망자 수는 프랑스가 훨씬 높다.


이는 스웨덴은 고령층 위주로 접종이 완료되고 있지만, 프랑스는 접종 거부층이 있어 고령층 접종완료율이 올라가지 못하고 자연면역으로도 코로나19를 극복할 확률이 높은 젊은 층의 접종이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백신을 통한 집단면역이 불가능해 보이는 상황에서, "75% 접종"이라는 목표는 그닥 의미있는 수치로 보이지 않는다.


백신 접종이 집단면역을 가져다줄 수 없다면 백신이 꼭 필요한 사람에게 가는 것이 중요하다. 가령, 모든 인구의 접종률이 75%인 것보다는, 가령 젊은 층 접종률이 10%로 매우 낮아 전체 접종률은 50%에 머무르더라도 고령층이 100% 접종하는 것이 더 낫다. 따라서 전체 인구의 접종 목표에 집중하기보다는 고령층의 접종을 독려할 수 있도록 백신 접종의 이익을 계속해서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백신 인센티브나 패널티 도입의 경우, 백신 접종을 망설이고 있는 사람에게 오히려 거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매우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확진자 중심에서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중심으로 가기 위해서는 확진과 위중증/사망 사이의 연결고리를 끊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확진이 위중증 또는 사망으로 연결될 확률이 높은 고령층의 접종을 독려하기 위해 세심하게 정책을 구상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제가 이 브런치를 시작한 계기는, 드라마 덕후인 제가 드라마 리뷰나 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지금도 이 브런치의 중요한 주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ㅎㅎ)


흔히 접할 수 있는 한국 드라마는 사실 다른 분들이 훨씬 더 재미있게 말씀해주실테니, 흔치 않은 북유럽 드라마를 리뷰하는 것이 목표였죠.


추가로, 제가 관심있는 "지속가능성 이슈"인 환경, 여성, 인종차별 등의 문제를 드라마를 통해서 다루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어쩌다보니 지속가능성 이슈에 코로나가 포함되었고,

코로나 문제는 엄청난 이슈이다 보니 이 브런치에 방문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코로나 글을 확인하기 위해 오시는 것 같습니다. (ㅠㅠ)


"코로나"라는 눈에 보이는 문제에 대해 지속가능성을 고민하는 것도 어려운데,

(더 강력한 강제조치와 봉쇄조치를 신봉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문제에 대해 지속가능성을 말하는 것은 더 어렵습니다.

(가령 한국에서 "페미니즘"이라고 하면 범죄자(?) 취급받는 것을 떠올려보시면 됩니다.)


그러나 코로나 문제가 장기화되면서 제가 코로나 초기부터 생각해왔던 "지속가능성" 문제에 대해

사회 곳곳에서, 저보다 사회적 영향력이 더 큰 사람들이 말하기 시작하는 것이 한편으로는 무척 기쁩니다.


코로나 문제가 해결되고 난 이후,

다른 분야의 지속가능성 문제도 사람들이 머리를 맞대줬으면 좋겠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코로나19 vs 백신 접종, 무엇이 더 위험할까?(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