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우마 극복기
타고나길 예민하게 타고난 건지 사고 이후 이렇게 된 건지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는데 나는 타인에 비해 민감한 사람이다. 좋게 말하면 귀가 밝고 눈이 좋다 할 수 있고 다르게 말하면 눈치가 빤하고 직관이 좋다 할 수 있다. 하지만 평소에는 이 감각을 거의 쓰지 않는다. 물론 내가 서울이라는 도시가 아니라 아마존 같은 정글에 살고 있다면 이 능력을 십분 발휘하며 살지도 모르겠다.
정신과 의사 선생님에 그러는데 나 같은 사람을 학계에서는 HSP(Highly Sensitive Person)이라고 부른단다. 타인보다 민감해서 모든 상황에 철저하게 미리 계획 세우고 실천해야 하는 강박이 있고 위기를 극복할 완벽한 방법을 머릿속에 늘 그려두고 살아야 마음이 편한 사람 말이다. 그래서 MBTI 도 TJ 다. ENTJ.
이런 성격을 익히 알고 있기에 나는 외부에서 오는 여러 잡다한 자극을 의식적으로 차단하며 산다. 또 정신과 약을 먹어 생체적 민감도를 떨어트리기도 한다. 그래야만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상 모든 일이 그렇듯 어디 내 마음대로 되는 게 있나. 아무리 조심하고 살아도 스트레스 상황은 찾아오고 그러면 나는 대 번에 자이로드롭을 타고 바닥으로 내려가 지옥행 특급열차에 다시 몸을 싣는다.
일단 증상이 시작되면 지독한 불면과 편두통을 온다. 그 후 극도의 우울과 불안감에 시달리는데 가만히 앉아 있어도 손이 가늘게 떨리고 심장이 가파르게 뛴다. 더러 약이 잘 안 들을 때도 있다. 이런 날들이 반복되면 자살 충동에 노출된다. 이 지긋지긋한 생존 게임 그만하고 편히 쉬고 싶다. 하는 열망과 함께.
다행히 마흔을 넘기니 신체 기능이 전반적으로 떨어져 증세가 자연스레 호전됐다. 노화는 남들에겐 두렵고 무서운 악몽이겠지만 내게는 눈물 나게 반가운 길몽이다..
그렇다 해도 나는 여전히 불안증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해서 몸의 컨디션에 늘 신경 쓴다. 일단 몸이 건강해야 병증에 덜 시달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 꿈은 남들처럼 부자가 된다거나 유명한 사람이 되는 게 아니다. 그저 약 없이 낮에 잘 먹고 밤에 잘 자는 게 전부다. 물론 살아보니 이 또한 작은 꿈은 아니었다. 남북통일만큼 어렵고 원대한 꿈이었다.
최초 발병 후 매년 나는 극심한 우울을 정기적으로 앓았다. 보통은 연말쯤 아팠다. 그런데 2014년 이후, 그러니까 세월호 참사 이후로는 희한하게 이른 봄에 앓는다. 전 보다 심하게 앓는다. 그리고 이태원 참사 이후에는 여름이 가고 찬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마음이 요동친다. 부러 신경을 끊어 보려 해도 쉽지 않다. 무고한 죽음들 한 맺힌 영혼들 남겨진 사람들 생각이 아침저녁으로 자주 난다. 그러면 여지없이 이게 다 무슨 소용인가 싶어 울적해진다.
회사에 다닐 땐 아플 때 아프더라도 돈은 벌어야 하니까 연차를 쓰며 사나흘 호되게 앓고 다시 회사에 나가 일상을 회복했는데 문제는 프리랜서가 되면서 시작됐다. 첫 해에는 눈물 나게 힘들었다. 그땐 정신과 의사 선생님께 '가까운 정신과 폐쇄 병동에 나 좀 입원시켜 달라'라고 할 정도였다. 하지만 나를 오래 봐 온 선생님께서는 나 같은 케이스, 그러니까 입원 병동에서 상대적으로 가벼운 증상에 해당해서 입원이 쉽지 않고 혹여 입원을 한다 해도 별다르게 치료받는 것 없이 시간만 보내는 거니 그냥 그 돈 가지고 친구들과 여행을 가고 맛있는 걸 사 먹으라고 다독이셨다.
또 그 모든 게 다 싫거든 하루에 한 번씩 병원에 다녀가라고 했다. 그도 아니면 집에서 개라도 키워라. 그래야 낫는다. 한 거다. 결론부터 말하면 선생님의 이 처방은 대단히 유효했다. 정말이지 놀랍게도 개를 키우고 난 후 지난 세 번의 봄을 보냈는데 여태 아프지 않다. 전에는 느닷없이 우울이 찾아오면 바닥에 엎드려 일어나 앉지도 못할 정도로 앓아누웠는데 이젠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가볍게 앓는다.
개를 키운 후로 어떻게 증상이 이렇게 완화될 수 있을까 곰곰이 생각해 보니, 혼자 있으면 원 없이 망가질 수 있는데 집에 개가 있으니까 전처럼 원 없이 나 자신을 망가트릴 수 없었다. 그러니까 우리 집 개들은 지독한 실외배변 견들이라. 내가 전날 눈물로 밤을 지새웠든 말든 무조건 눈을 뜨면 밖에 데리고 나가야 했다. 그러니 아침에 개를 보면 내 마음이 아무리 지옥이라도 운동화를 신고 나가 개랑 걸었다. 그렇게 나가 아무 생각 없이 걷다 오면 자연스레 물을 한 잔 마시게 되고 그러면 허기를 느껴 뭘 좀 간단하게 먹게 된다. 그 후 자리에 가 누우면 개들이 파고든다. 그럼 함께 뒤척이며 까무룩 단잠을 잔다.
전에는 도저히 온몸을 땅에서 뗄 수 없었다. 땅밑에서 거대한 눈에 보이지 않는 거대한 자석이 나를 끌어당기는 것 같았다. 현관까지만 나가면 괜찮을 것 같은데 현관까지 가는 게 그렇게 힘들었다. 자다 깨기를 반복하며 하릴없이 천장만 봤다. 하지만 개랑 한집에 살다 보니 얘기가 달라졌다. 언제 한 번은 산책 나가자는 개를 외면하고 돌아누웠더니 우리 개 복주가 글쎄, 내 앞에 신발을 물고 와 "탁" 하고 던졌다. 해가 중천인데도 보호자가 꿈쩍도 안 하니 제 딴에는 항의를 한 거다. 그 생각을 하니 기특하기도 하고 웃음이 나 자리를 털고 일어서서 "그래 나가자 내가 졌다"라고 했다. 강제로 나가 개가 좋아하는 야산을 함께 걸으니 저간의 시름이 절로 잊혔다.
하는 일도 혼자 하는 일이라 온종일 개와 붙어 있다 보니 규칙적인 생활을 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그래서 개 때문에 전보다 더 철저하게 규칙적인 생활을 한다. 시계가 보면 형님 소리 하지 싶다. 그렇게 살다 보니 봄이 와도 이전처럼 누굴 죽이고 싶다거나, 죽고 싶다거나 하지 않다.
그러니 녀석들 종일 노는 거 같고 하는 일 없어도 어찌 보면 밥값은 톡톡히 하고 있는 셈이다. 간혹 사람들은 내가 유기견을 기른다고 하면, 그것도 큰 개를 두 마리나 기른다고 하면 다들 하나같이 "참 좋은 일 하시네요. 하는데 내 생각은 다르다. 좋은 일은 내가 아니라 개들도 한다. 앞서 말한 것처럼 개들 역시 나를 정서적으로 돌보기 때문이다.
돌봄이란 게 꼭 누군가 흘리는 눈물을 닦아주고 등을 토닥이는 게 전부가 아니다. 숨 죽이고 우는 내 곁에 와 가만히 자기 턱을 내 무릎에 올리는 우리 개들 역시 나름의 방식으로 나를 돌보고 있으니까. 그렇게 오늘도 우리는 우리만의 방식으로 서로를 돌 본다. 나는 그게 참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