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형태소 Jan 05. 2024

나 자신을 사랑하기까지

사랑에 대하여 2 : 최은영 <밝은 밤>을 읽고

최은영의 『밝은 밤』은 주인공이자 서술자인 ‘지연’이 남편과의 이혼 후 서울에서의 생활을 정리하고, 할머니가 계신 ‘희령’에서 생활하며 벌어진 일을 다룬 소설이다. 남편의 외도로 인해 이혼을 겪은 지연은 이와 같은 상처에서부터 벗어나고자 희령으로 향한다. 그리고 희령에서 할머니와 조우하게 되고, 할머니께 전해 듣는 이야기와 지연의 이야기가 교차하며 소설이 진행된다. 그 과정에서 인물들이 거쳐 온 이야기들이 맞물리며 기억 속에 잔존해 있던 슬픔이 떠오르고 치유된다.


최은영 소설을 읽을 때마다 나는 자주 슬펐고, 눈물을 멈추기 힘들어서 소설을 다 읽고 나면 눈가가 쉽게 짓물렀다. 『쇼코의 미소』를 읽을 때도, 『내게 무해한 사람』을 읽을 때도 그랬다. 최은영 『밝은 밤』의 페이지를 열어젖힐 때는 더욱 그랬다. 그래서인지 비평적 글쓰기의 어투로 소설을 분석해 나가기보다는 다소 감상적으로 접근하게 된다. 내가 그토록 지양하려고 노력했던 감정적인 차원으로 회귀하게 된다. 다시 분석적인 프레임으로 조정하여 소설에 대해 다루기보다는 소설을 경유하여, 혹은 소설에 대한 감상으로 가장하여 사랑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은 그 사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일이라고 단언하고 싶다. 내가 용인하지 못했던 부분들까지 포용하고 끌어안는 것, 그것이 바로 사랑이라는 생각을 한 적 있다. 그것들을 고치거나 바꿔 나가려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매우 어렵고 지난한 일이라는 것 또한 알고 있다. 그래서 나는 누군가를 사랑하기보다는 쉽게 체념하고, 포기하고, 거리를 둔다. 그게 나의 오래된 성정이라는 것을 최은영 『밝은 밤』을 읽으며 다시 한번 깨달았다.


소설의 주인공이자 서술자인‘지연’은 나와 비슷한 부류의 사람이라고 느껴졌다.


“인내심 강한 성격이 내 장점이라고 생각했었다. 인내심 덕분에 내 능력보다도 더 많이 성취할 수 있었으니까. 왜 내 한계를 넘어서면서까지 인내하려고 했을까. 나의 존재를 증명해야 한다고 생각해서였을까. 언제부터였을까. 삶이 누려야 할 무언가가 아니라 수행해야 할 일더미처럼 느껴진 것은. 삶이 천장까지 쌓인 어렵고 재미없는 문제집을 하나하나 풀어나가고, 오답 노트를 만들고, 시험을 치고, 점수를 받고, 다음 단계까지 가는 서바이벌 게임으로 느껴진 것은. 나는 내 존재를 증명하지 않고 사는 법을 몰랐다. 어떤 성취로 증명되지 않는 나는 무가치한 쓰레기나 마찬가지라고 생각했다. 그 믿음은 나를 절망하게 했고 그래서 과도하게 노력하게 만들었다. 존재 자체만으로도 의미와 가치가 있는 사람들은 자기 존재를 증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애초에 그런 사람이 아니었다.“

- p.156


지연은 성취로 존재 가치를 입증하고자 하는 사람이며,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나 상처로부터 달아나고자 한다. 다른 개념으로 보이는 이 진술들을 사실 맞닿아 있다. 그것은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힘들기 때문에 일어나는 행위들이므로. 일종의 방어 기제이므로. 지연은 전 남편의 외도와 이로부터 말미암은 이혼, 그 과정에서 발생한 상처들을 직시하기보다는 고개를 돌린다. 마치 잡동사니를 서랍에 처박아 두고 바라보지 않는 것처럼. 그리고 빈번하게 발생하는 엄마와의 갈등에 지쳐 갈등이 발생할 상황 자체를 만들어 나가지 않으려고 한다. 이는 결국 상처받은 자기 자신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며, 결국은 상처받은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해결하기 어려워 보이는 상처”로부터, “상처받을 가능성”으로부터, 더 나아가 “진정한 사랑”으로부터 멀어지고 싶었다는 지연의 독백을 이를 뒷받침한다.


그러나 지연은 희령에 내려가 할머니의 이야기를 전해 듣고, 또 엄마와의 직접적인 갈등을 겪고, 친척들로부터 자신의 이혼 사실을 알리는 과정을 거치며 이를 직시한다. 교통사고가 발생한 직후, 지연은 분열되어 나타난 ‘나’ 자신을 일일이 소급해 나가며 바라본다. 그러고 나서는 마침내 지연 스스로 외면해 왔던 수많은 ‘나’ 자신과 없다고 여겨졌던, 혹은 사라졌다고 느껴졌던 언니 ‘정연’과 함께하는 “밝은 밤”의 상태에 도달한다. 타자와의 직접적인 대면과 깊이 있는 대화, 서로의 안에 침전되어 있던 슬픔을 어루만지는 과정을 통해 있는 그대로의 나 자신을 ‘사랑’하는 길로 접어들게 되었다. “감정적인 가능성으로부터 차단된 채 미지근한 관계 속에서 안전하게 살아가고 싶”다는 ‘자기 기만’에 허우적거리다가, 자기 자신과 닮아 있으며 서로 비슷한 종류이면서도 저마다의 깊이를 가진 슬픔을 가진 할머니와 엄마와의 소통을 통해 ‘자기 기만’의 실체를 인정하게 되었다.


『밝은 밤』을 읽으며, 형용할 수 없이 차오르는 슬픔에 젖어든 건 지연과 내가 아주 유사한 종류의 인간이며, 나 또한 이런 고민들을 현재 진행형의 상태로 끌어안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무능력하고 상처받고 감정적으로 취약한 나의 모습을 누구보다도 싫어했고, 나 자신을 완벽한 상태로 가다듬기 위해 짓무른 내면을 파기하는 게 오래된 삶의 자세였으므로.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은 누군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며, 동시에 들뜬 감정에 쉽게 상처받고 연약해지는 나 자신을 선연히 내보이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최대한 냉소를 유지하고, 사랑하지 않기 위해 애써 왔었다. 혹은 사랑에 휩싸여 연약해진 나를 싫어하거나 사랑 자체의 경험을 부정하고자 했다. 그러나 그것은 누군가에게 사랑받고, 또 누군가를 사랑하고 싶다는 근본적 욕망을 회피하고 억누르는 행위에 불과하다. 나 아닌 누군가와 진정으로 가닿기 위해, 그리고 결국엔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위해 이 가장된 행위에서부터 벗어날 수 있을까. 벗어나야 한다, 는 당위적 진술보다는 어떻게 벗어나야 하는가?와 같은 물음이 떠오른다.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는 ‘밝은 밤’으로 나아가고 싶으므로. 어쩌면 그 경로가 곧 삶의 여정과 맞닿아 있다는 생각이 든다.




by. 돌고래


작가의 이전글 신적 존재로서의 사랑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