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형태소 Jan 05. 2024

사랑의 정상에는 오를 수 없으니

사랑에 대하여 2 : 진은영 <나는 오래된 거리처럼 너를 사랑하고>를 읽

사랑을 대단한 것으로 생각했기에 그를 표현할 수 있는 각종 언어를 수집하기로 마음먹었다. 언어가 쌓일수록 추상적인 게 명확해지리라 생각했다. 그렇게 얻어 낸 말 하나가 ‘헤아림’이었다. 규칙을 깨고, 헤아린 사람을 위해 몸 바친 <뼈의 기록> 속 로봇을 보며 저런 게 사랑이고, 저런 사랑을 해야 하는 것인가 싶었다.


이 접근법은 틀렸을지도 모른다. 표현을 발견했는데 이상하게 사랑과 가까워진 기분이 들지 않았다. 오히려 사랑은 더 숭고한 것이 되었다. 가장 극적인 사랑을 그려낼 수밖에 없는 서사는 사랑과 가까워지는 게 아니라 사랑을 우러러보기에 알맞았다. 서사가 힘을 못 썼으니, 이번엔 서정에게 기대를 걸어볼 차례였다.


국문학도는 문학을 좋아하지 않냐며 시집을 선물 받곤 했다. 물론 문학을 좋아하긴 한다. 하지만 시집은 예외였다. 한가득한 시 중에 맘에 드는 것을 발견하는 것도, 일상을 비트는 언어 속에서 현실을 찾아내기 위해 머리를 굴리는 것도 늘 어려운 일이었다.


이 어려움이 시가 필요한 이유였다. 멋들어진 말을 타고 고개를 들어야만 볼 수 있는 곳으로 떠난 사랑을 내가 디디고 있는 땅바닥으로 끌어 내리고 싶었다. 독자가 시집을 싫어하는 와중에 그 장벽을 넘은 일상의 언어라면 사랑을 잡아 오는 것쯤은 큰 무리가 아니리라는 확신이 들었다.


<남아 있는 것들>

“나에게는 끄적거린 시들이 남아 있고 그것들은 따듯하고 축축하고 별 볼 일 없을 테지만 내게는 반쯤 녹아버린 주석주전자가 남아 있고 술을 담을 순 없지만 그걸 바라보는 내 퀭한 눈이 있고 그 속에 네가 있고 회색 담벼락에 머리를 짓이긴 붉은 페인트 붓처럼 희끗해진 머리카락을 헝클어놓은 네가 있고, 젖은 바지들의 돛, 아침의 기슭엔 면도한 얼굴로 말끔하게 희망이, 오후가 되면 거뭇거뭇 올라오는 수염 같은 절망이 남아 있고 또다시 아침, 부서질 마음의 선박과 원자로들이, 잘 묶인 매듭처럼 반드시 풀리는 나의 죽음이 남아 있고”


초라하다. 하지만 내 눈에 상대가 있다. 그렇다고 내 삶에서 절망이 사라지는 것도 아니고, 내 죽음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녹은 주전자는 새것이 되지 않는다. 이 모든 여전함에도 나는 내 눈 속에 너를 담았으며 계속해서 담고 있다. 죽음으로 시가 끝나지만 왠지 모르게 시 속의 나는 다음 날에도 면도한 뒤 드러난 희망을 바라보고 또 퀭한 눈에 너를 담을 것만 같다.


<봄여름가을겨울>

“작은 엽서처럼 네게로 갔다. 봉투도 비밀도 없이. 전적으로 열린 채. 오후의 장미처럼 벌어져 여름비가 내렸다. 나는 네 밑에 있다. 네가 쏟은 커피에 젖은 냅킨처럼. 만 개의 파란 전구가 마음에 켜진 듯. 가을이 왔다. 내 영혼은 잠옷 차림을 하고서 돌아다닌다. 맨홀 뚜껑 위에 쌓인 눈을 맨발로 밟으며”


<남아 있는 것들>은 상대를 보고만 있었다면 이 시는 계속 ‘네게’ 향한다. 숨김이 없다. 차가운 눈을 맨발로 밟을 수 있을 정도의 단단한 마음을 갖고 있다. ‘반드시 풀린 나의 죽음이’ 도래해 ‘영혼’이 되어도 나는 돌아다닌다. 복장 중 가장 사적인 잠옷 차림으로 말이다. 봉투 없는 엽서의 모습은 죽어서도 변하지 않는다.


시에서 ‘나’와 ‘너’가 무슨 관계인지, 지금의 관계는 어떤지 명확히 알 수는 없다. 시는 어떤 언질도 주지 않았다. 알 수 없는 걸 캐내는 게 중요한 일은 아닐 것이다. 시가 준 인상을 곱씹어 보는 게 우선이다. 그러다 두 시 모두에서 발견한 건 꾸준함이었다. 보답을 바라지 않는 지속은 자연스럽기 그지없었다. 하지만 그들의 일상적인 행동 속에서 사랑이 느껴졌다.


친구의 블로그를 열심히 읽고 공감 버튼을 누른다. 그 친구가 공감을 보고 내 블로그에 찾아오든 찾아오지 않든 상관없다. 쉬는 날에는 끼니를 챙기듯 영화를 보며 메모하고 감상평을 정리하기도 한다. 점점 쌓여가는 노트를 누군가 발견해 책을 내주는 것도 아니지만,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다 내가 좋아하고 사랑하는 것을 위한 행위이기 때문이다.


사랑을 분석할 게 아니라 발견하지 못한 나의 사랑을 알아내야 했었다. 생활에 변화가 없어도, 큰 변화가 생겨도 눈에 담거나 찾아가는 시 속의 그림은 곧 우리의 사랑을 찍은 사진이었다. 사진들을 보니 사랑이 학술적인 대상에서 벗어나 내 삶의 일부가 되어가는 듯하다.




by. 초

작가의 이전글 시간과 공간을 넘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