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인문학 이야기꾼 Jun 19. 2023

미생지신(尾生之信)

약속한 것은 반드시 지켜야 하는가

  춘추시대 노(魯)나라에 미생(尾生)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미생은 사랑하는 여자와 다리 아래에서 만나기로 약속하고 기다렸으나 여자는 오지 않고, 갑자기 소나기가 쏟아졌다. 물이 불어 미생이 기다리고 있던 곳까지 밀려왔으나 미생은 약속 장소를 끝내 떠나지 않고 교각을 끌어안고 죽었다.     


  『사기(史記)』 「소진열전(蘇秦列傳)」에 언급되어 있는 ‘미생지신(尾生之信)’의 유래를 약간 각색해 보았습니다. 이 이야기는 전국시대(戰國時代) 합종연횡으로 유명한 소진(蘇秦)이라는 사람이 연(燕)나라의 소왕(昭王)을 설득하기 위해 사례로 든 것입니다. 『장자(莊子)』 「도척편(盜跖篇)」 등 여러 문헌에도 미생의 이야기가 소개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미생은 실존 인물인지는 분명치 않으나, 당시 사람들에게 널리 회자(膾炙)되던 인물임은 분명해 보입니다.   

  

  『사기(史記)』의 저자 사마천은 소진(蘇秦)의 입을 통해 효자의 대명사로 증삼(증자)을, 청렴한 인물의 대명사로 백이(伯夷)를, 신의 있는 인물의 대명사로 미생을 들었습니다. 그래서인지 국어사전에도 미생지신의 중심의미를 ‘신의가 굳음’이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미생지신의 의미를 ‘신의가 굳음’으로 본다면 미생의 행위를 권장하는 것이 됩니다. 친구와의 신의를 위해서는 기꺼이 물에 빠져 죽을 수 있어야 한다는, 신의가 목숨보다 소중하다는 가치관이 성립되는 겁니다. 미생은 어떻게 이런 가치관을 가지게 되었을까요?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지는 않았을 것이고, 교육을 통해 학습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신의가 소중한 가치임에는 틀림없지만 목숨보다 소중하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사회는 신의가 개인의 목숨보다 소중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가르칩니다. 마치 충(忠)과 효(孝)가 목숨보다 소중한 가치라고 가르치듯이 말입니다.

      

  약속과 믿음이라는 것은 혼자만이 지킬 수는 없습니다. 미생이 조금만 더 자기의 목숨을 소중하게 여겼다면 물이 불어나는 순간 바로 다리 위로 올라와야 했습니다. 미생이 다리 밑을 고집한다면 곧 도착할 여자 친구도 다리 밑으로 와야 하고 그러면 그 여자 친구도 물에 휩쓸릴 것은 자명합니다. 자신의 가치관과 자신만의 명분에 사로잡혀 여자 친구까지 죽음으로 몰고갈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가치관과 명분을 내려놓고 함께 살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겠는지요.

  약속 장소를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이 목숨을 버리는 일보다 더 소중한 가치인지를 미생에게 묻고 싶습니다. 미생의 부모님이, 미생의 아들이 이와 같은 상황에 처한다면 미생은 부모님과 아들에게 교각을 끌어안고 물에 빠져 죽어야 한다고 가르칠 수 있는지 물어보고 싶습니다.  

    

  『장자(莊子)』 「도척편(盜跖篇)」에서 미생은 부정적인 이미지로 그려져 있습니다. 공자와 대화를 나누는 도척의 입을 통해 ‘쓸데없는 명분에 빠져 소중한 목숨을 가벼이 여기는 인간은 진정한 삶의 길을 모르는 놈이다’고 장자는 미생을 강하게 비판합니다.

  미생지신은 국어사전에 ‘우직하여 융통성이 없음’으로 풀이하기도 합니다. 미생의 행위를 융통성이 없다고 본다면 충(忠)이라는 이름으로 목숨을 버린 백이숙제(伯夷叔齊)의 죽음이나, 사육신(死六臣)의 죽음은 어떻게 보아야 하겠는지요?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것은 고귀한 가치이고, 개인을 위해 목숨을 버리는 것은 융통성이 없는 어리석은 가치겠는지요? 그러나 나라를 위하건 개인을 위하건 개인의 목숨보다 소중한 가치는 없습니다. 미생의 행위가 어리석다면 사육신의 행위도 어리석은 행위이고, 백이숙제의 행위도 어리석은 행위입니다.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이었던 ‘성삼문’은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하자 단종의 복위 운동을 꾀하다다 발각되어 처형됩니다. 이때 함께 죽은 대표적인 6인은 사육신이라고 하며, 조선 중기 이후 이들은 충절을 상징하는 인물로 여겨지게 되고 충(忠)을 위해서는 목숨을 바치는 절개가 있어야 한다고 교과서는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몸이 죽어가서 무엇이 될꼬 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落落長松) 되었다가

    백설이 만건곤할 제 독야청청(獨也靑靑)하리라.

                            -성삼문의 시조     


  많은 사람이 함께 사는 세상입니다. 자신과 가치관이 다를 수도 있고 자신이 생각하는 가치관과 다르게 세상이 돌아갈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마다 목숨을 걸고 자신의 가치관을 실현하려고 한다면 온 산이 독야청청(獨也靑靑)한 낙락장송(落落長松)으로 가득할 것이 아니겠는지요.

  군주의 가치관이 자신과 맞으면 출사(出仕)하여 일하고, 자신과 맞지 않으면 물러나 은거하는 삶을 사는 것이 건강한 삶이 아니겠는지요. 자신의 가치관대로 세상이 흘러간다고 반드시 좋은 세상이라는 보장이 없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나머지 사람들의 가치관은 무엇이란 말입니까. 자신과 생각이 다른 사람들의 가치관도 슬그머니 자신의 가치관으로 삼으면 자신의 사상이 더 풍요로워지는 것은 아니겠는지요.

     

  조금 늦게 약속 장소에 도착한 미생의 여자 친구는 물이 불어난 다리 밑으로 내려갈 수가 없습니다. 약속의 중요함을 알고 있지만 죽음 속으로 갈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약속을 어길 수밖에 없는 그 여자 친구는 약속을 지키지 못한 사람으로 평생 자신을 한탄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미생이 ‘약속한 것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명분에 집착하는 태도를 버렸다면, 친구의 평생의 한탄도 없앨 수 있고, 그 여자 친구와 평생을 행복하게 살았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그렇게 되었다면 국어사전에 ‘미생지신’은 ‘명분에 집착하는 태도를 버릴 때 얻을 수 있는 행복에 대한 믿음’ 정도로 풀이되었지도 모를 일입니다

이전 01화 포목소사(枹木燒死)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