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안서조 Oct 07. 2023

문장 부호(한글 맞춤법)

577돌 한글날을 맞으면서...

글을 쓰면서 부호를 사용하는 데 이 부호가 적합한가? 하는 의문이 들때가 많다. 10.09. 한글날을 앞두고

정확한 한글을 사용해야겠다는 생각으로 한글 맞춤법을 찾아 봤다. '문장 부호'에 관해 궁금한 독자가 있다면 참고하시라고 올린다.

 

문장 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이다.


「문장 부호」는 1933년 당시 조선어학회(지금의 한글학회)가 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도 부록으로 실려 있었다. 당시 「문장 부호」는 모두 16항으로 구성되었는데, 부호마다 한 줄 정도의 설명만 덧붙인 정도로 소략하게 규정되어 있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14년 12월 5일 문장 부호 관련 규정의 개정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한글 맞춤법 일부 개정안」(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4-0039호, 2015년 1월 1일 시행)을 고시하였다. 「문장 부호」는 「한글 맞춤법」(1988)의 부록으로 실려 있는데, 26년 만에 새 옷을 입게 된 것이다


문장 부호의 이름과 사용법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 마침표 :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연월일을 표시하거나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나타낼 때 쓴다.

? 물음표 : 의문문이나 물음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또는 적절한 말을 쓰기 어렵거나 모르는 내용임을 나타낼 때 쓴다.

! 느낌표 : 감탄문이나 강한 느낌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쓴다.

, 쉼표 : 어구를 나열하거나 문장의 연결 관계를 나타낼 때, 문장에서 끊어 읽을 부분임을 나타낼 때 쓴다.

․ 가운뎃점 : 둘 이상의 어구를 하나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 쌍점 : 표제나 주제에 대하여 구체적인 사례나 설명을 붙일 때, 시와 분, 장과 절 등을 구별할 때 쓴다.

/ 빗금 : 대비되는 둘 이상의 어구를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 ” 큰따옴표 : 대화를 표시하거나 직접 인용한 문장임을 나타낼 때 쓴다.

‘ ’ 작은따옴표 : 인용문 속의 인용문이거나 마음속으로 한 말임을 나타낼 때,

문장 내용 중에서 특정한 부분을 특별히 드러내 보일 때 쓴다.

( ) 소괄호 : 주석이나 보충적인 내용을 덧붙일 때, 항목의 순서나 종류를 나타낼 때 쓴다.

{ } 중괄호 : 같은 범주에 속하는 여러 요소들을 묶어서 보일 때 쓴다.

[ ] 대괄호 : 괄호 안에 또 괄호를 쓸 필요가 있을 때 바깥쪽의 괄호로, 원문에 대한 설명이나 논평 등을 덧붙일 때 쓴다.

  겹낫표 :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등을 나타낼 때 쓴다.

「 」 홑낫표 : 소제목, 예술 작품의 제목, 상호, 법률 등을 나타낼 때 쓴다.

≪ ≫ 겹화살괄호 :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등을 나타낼 때 쓴다.

< > 홑화살괄호 : 소제목, 예술 작품의 제목, 상호, 법률 등을 나타낼 때 쓴다.

— 줄표 : 제목 다음에 표시하는 부제를 나타낼 때, 문장 중간에 끼어든 어구임을 나타낼 때 쓴다.

- 붙임표 : 차례대로 이어지거나 밀접한 관련이 있는 어구를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 물결표 : 기간이나 거리 또는 범위를 나타낼 때 쓴다.

˙ 드러냄표 : 문장 내용 중에서 특정한 부분을 특별히 드러내 보일 때 쓴다.

밑줄 : 문장 내용 중에서 특정한 부분을 특별히 드러내 보일 때 쓴다.

○, × 숨김표 : 금기어나 비속어 또는 비밀임을 나타낼 때 쓴다.

□ 빠짐표 : 글자가 들어갈 자리임을 나타낼 때 쓴다.

…… 줄임표 : 할 말을 줄이거나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 쓴다.


1. 마침표(.)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 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입니다. � 제 손을 꼭 잡으세요. � 집으로 돌아갑시다. �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직접 인용한 문장의 끝에는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

� ㄱ. 그는 “지금 바로 떠나자.”라고 말하며 서둘러 짐을 챙겼다.

ㄴ. 그는 “지금 바로 떠나자”라고 말하며 서둘러 짐을 챙겼다.


용언의 명사형이나 명사로 끝나는 문장에는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

� ㄱ.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다하여 애를 씀.

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다하여 애를 씀

다만, 제목이나 표어에는 쓰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 압록강은 흐른다 � 꺼진 불도 다시 보자


(2)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때 쓴다. � 1919. 3. 1. � 10. 1.~10. 12.

(3)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표시할 때 월과 일을 나타내는 아라비아 숫자 사이에 쓴다. � 3.1 운동

이때는 마침표 대신 가운뎃점을 쓸 수 있다. � 3ㆍ1 운동 � 8ㆍ15 광복


(4) 장, 절, 항 등을 표시하는 문자나 숫자 다음에 쓴다. � 가. 인명 � ㄱ. 머리말 � Ⅰ. 서론 � 1. 연구 목적


2. 물음표(?)

(1) 의문문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쓴다. � 점심 먹었어? � 지금? � 뭐라고? � 네?

 한 문장 안에 몇 개의 선택적인 물음이 이어질 때는 맨 끝의 물음에만 쓰고, 각 물음이 독립적일 때는 각 물음의 뒤에 쓴다. � 너는 중학생이냐, 고등학생이냐? � 너는 여기에 언제 왔니? 어디서 왔니? 무엇하러 왔니?

의문의 정도가 약할 때는 물음표 대신 마침표를 쓸 수 있다. � 도대체 이 일을 어쩐단 말이냐.

다만, 제목이나 표어에는 쓰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 역사란 무엇인가 � 아직도 담배를 피우십니까


(2) 특정한 어구의 내용에 대하여 의심, 빈정거림 등을 표시할 때, 또는 적절한 말을 쓰기 어려울 때 소괄호 안에 쓴다. � 우리와 의견을 같이할 사람은 최 선생(?) 정도인 것 같다. � 30점이라, 거참 훌륭한(?) 성적이군.


(3) 모르거나 불확실한 내용임을 나타낼 때 쓴다. � 최치원(857~?)은 통일 신라 말기에 이름을 떨쳤던 학자이자 문장가이다. � 조선 시대의 시인 강백(1690?~1777?)의 자는 자청이고, 호는 우곡이다.


3. 느낌표(!)

(1) 감탄문이나 감탄사의 끝에 쓴다. � 이거 정말 큰일이 났구나! � 어머!

감탄의 정도가 약할 때는 느낌표 대신 쉼표나 마침표를 쓸 수 있다. � 어, 벌써 끝났네.

(2) 특별히 강한 느낌을 나타내는 어구, 평서문, 명령문, 청유문에 쓴다. � 청춘! 이는 듣기만 하여도 가슴이 설레는 말이다. � 이야, 정말 재밌다! � 지금 즉시 대답해! � 앞만 보고 달리자!


(3) 물음의 말로 놀람이나 항의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에 쓴다. � 이게 누구야! � 내가 왜 나빠!

(4) 감정을 넣어 대답하거나 다른 사람을 부를 때 쓴다. � 네! � 네, 선생님! � 흥부야! � 언니!


4. 쉼표(,)

(1) 같은 자격의 어구를 열거할 때 그 사이에 쓴다. � 근면, 검소, 협동은 우리 겨레의 미덕이다.

� 충청도의 계룡산, 전라도의 내장산, 강원도의 설악산은 모두 국립 공원이다.

� 5보다 작은 자연수는 1, 2, 3, 4이다.

(가) 쉼표 없이도 열거되는 사항임이 쉽게 드러날 때는 쓰지 않을 수 있다.

� 아버지 어머니께서 함께 오셨어요. � 네 돈 내 돈 다 합쳐 보아야 만 원도 안 되겠다.

(나) 열거할 어구들을 생략할 때 사용하는 줄임표 앞에는 쉼표를 쓰지 않는다. � 광역시: 광주, 대구, 대전……


(2) 짝을 지어 구별할 때 쓴다. � 닭과 지네, 개와 고양이는 상극이다.

(3) 이웃하는 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낼 때 쓴다. � 5, 6세기 � 6, 7, 8개

(4) 열거의 순서를 나타내는 어구 다음에 쓴다. � 첫째, 몸이 튼튼해야 한다.

(5) 문장의 연결 관계를 분명히 하고자 할 때 절과 절 사이에 쓴다. �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 저는 신뢰와 정직을 생명과 같이 여기고 살아온바, 이번 비리 사건과는 무관하다는 점을 분명히 밝힙니다.


(6) 같은 말이 되풀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일정한 부분을 줄여서 열거할 때 쓴다.

� 여름에는 바다에서, 겨울에는 산에서 휴가를 즐겼다.

(7) 부르거나 대답하는 말 뒤에 쓴다. � 지은아, 이리 좀 와 봐. � 네, 지금 가겠습니다.

(8) 한 문장 안에서 앞말을 ‘곧’, ‘다시 말해’ 등과 같은 어구로 다시 설명할 때 앞말 다음에 쓴다.

� 책의 서문, 곧 머리말에는 책을 지은 목적이 드러나 있다.

� 호준이 어머니, 다시 말해 나의 누님은 올해로 결혼한 지 20년이 된다.


(9) 문장 앞부분에서 조사 없이 쓰인 제시어나 주제어의 뒤에 쓴다. � 돈, 돈이 인생의 전부이더냐?

� 열정, 이것이야말로 젊은이의 가장 소중한 자산이다. � 저 친구, 저러다가 큰일 한번 내겠어.


(10) 한 문장에 같은 의미의 어구가 반복될 때 앞에 오는 어구 다음에 쓴다.

� 그의 애국심, 몸을 사리지 않고 국가를 위해 헌신한 정신을 우리는 본받아야 한다.

(11) 도치문에서 도치된 어구들 사이에 쓴다. � 이리 오세요, 어머님. � 다시 보자, 한강수야.

(12) 바로 다음 말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 않음을 나타낼 때 쓴다.

� 갑돌이는, 울면서 떠나는 갑순이를 배웅했다. � 철원과, 대관령을 중심으로 한 강원도 산간 지대에 예년보다 일찍 첫눈이 내렸습니다.


(13) 문장 중간에 끼어든 어구의 앞뒤에 쓴다. � 나는, 솔직히 말하면, 그 말이 별로 탐탁지 않아.

� 영호는 미소를 띠고, 속으로는 화가 치밀어 올라 잠시라도 견딜 수 없을 만큼 괴로웠지만, 그들을 맞았다.

이때는 쉼표 대신 줄표를 쓸 수 있다. � 나는 ― 솔직히 말하면 ― 그 말이 별로 탐탁지 않아.

끼어든 어구 안에 다른 쉼표가 들어 있을 때는 쉼표 대신 줄표를 쓴다.

� 이건 내 것이니까 ― 아니, 내가 처음 발견한 것이니까 ― 절대로 양보할 수 없다.


(14) 특별한 효과를 위해 끊어 읽는 곳을 나타낼 때 쓴다. � 내가, 정말 그 일을 오늘 안에 해낼 수 있을까?

(15) 짧게 더듬는 말을 표시할 때 쓴다. � 선생님, 부, 부정행위라니요? 그런 건 새, 생각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5. 가운뎃점(ㆍ)

(1)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 민수ㆍ영희, 선미ㆍ준호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2)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 쓴다. � 한(韓)ㆍ이(伊) 양국 간의 무역량이 늘고 있다. � 하천 수질의 조사ㆍ분석

다만, 이때는 가운뎃점을 쓰지 않거나 쉼표를 쓸 수도 있다. � 한(韓) 이(伊) 양국 간의 무역량이 늘고 있다.

� 하천 수질의 조사, 분석 � 빨강, 초록, 파랑이 빛의 삼원색이다.

(3)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 쓴다. � 상ㆍ중ㆍ하위권 � 금ㆍ은ㆍ동메달 � 통권 제54ㆍ55호 이때는 가운뎃점 대신 쉼표를 쓸 수 있다. � 상, 중, 하위권 � 금, 은, 동메달 � 통권 제54, 55, 56호


6. 쌍점(:)

(1) 표제 다음에 해당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 쓴다. � 문방사우: 종이, 붓, 먹, 벼루

� 일시: 2014년 10월 9일 10시 � 흔하진 않지만 두 자로 된 성씨도 있다.(예: 남궁, 선우, 황보)


(2) 희곡 등에서 대화 내용을 제시할 때 말하는 이와 말한 내용 사이에 쓴다. � 김 과장: 난 못 참겠다.


(3) 시와 분, 장과 절 등을 구별할 때 쓴다. � 오전 10:20(오전 10시 20분) � 두시언해 6:15(두시언해 제6권 제15장)

(4) 의존 명사 ‘대’가 쓰일 자리에 쓴다. � 65:60(65 대 60) � 청군:백군(청군 대 백군)

쌍점의 앞은 붙여 쓰고 뒤는 띄어 쓴다. 다만, (3)과 (4)에서는 쌍점의 앞뒤를 붙여 쓴다.


7. 빗금(/)

(1)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 그 사이에 쓴다. � 먹이다/먹히다 � 남반구/북반구

(2) 기준 단위당 수량을 표시할 때 해당 수량과 기준 단위 사이에 쓴다. � 100미터/초 � 1,000원/개

빗금의 앞뒤는 (1)과 (2)에서는 붙여 쓰며,


(3) 시의 행이 바뀌는 부분임을 나타낼 때 쓴다.

� 산에 / 산에 / 피는 꽃은 /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다만, 연이 바뀜을 나타낼 때는 두 번 겹쳐 쓴다.

� 산에는 꽃 피네 / 꽃이 피네 / 갈 봄 여름 없이 / 꽃이 피네 // 산에

/ 산에 / 피는 꽃은 /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3)에서는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쓰는 것을 허용한다. 단, (1)에서 대비되는 어구가 두

어절 이상인 경우에는 빗금의 앞뒤를 띄어 쓸 수 있다.


8. 큰따옴표(“ ”)

(1) 글 가운데에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 쓴다. � “어머니, 제가 가겠어요.” “아니다. 내가 다녀오마.”

(2) 말이나 글을 직접 인용할 때 쓴다. � 나는 “어, 광훈이 아니냐?” 하는 소리에 깜짝 놀랐다.


9. 작은따옴표(‘ ’)

(1) 인용한 말 안에 있는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 쓴다.

� 그는 “여러분!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 들어 보셨죠?”라고 말하며 강연을 시작했다.

(2) 마음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 쓴다.

� 나는 ‘일이 다 틀렸나 보군.’하고 생각하였다.


10. 소괄호(( ))

(1) 주석이나 보충적인 내용을 덧붙일 때 쓴다. � 니체(독일의 철학자)의 말을 빌리면 다음과 같다.

� 2014. 12. 19.(금)

(2) 우리말 표기와 원어 표기를 아울러 보일 때 쓴다. � 기호(嗜好), 자세(姿勢) � 커피(coffee), 에티켓(étiquette)


(3) 생략할 수 있는 요소임을 나타낼 때 쓴다. � 광개토(대)왕은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임금이다.

(4) 희곡 등 대화를 적은 글에서 동작이나 분위기, 상태를 드러낼 때 쓴다.

� 현우: (가쁜 숨을 내쉬며) 왜 이렇게 빨리 뛰어?


(5) 내용이 들어갈 자리임을 나타낼 때 쓴다. � 우리나라의 수도는 ( )이다.

(6) 항목의 순서나 종류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 등에 쓴다. � (가) 동해, (나) 서해, (다) 남해


11. 중괄호({ })

(1) 같은 범주에 속하는 여러 요소를 세로로 묶어서 보일 때 쓴다. � 주격 조사 { 이 가 }

� 국가의 성립 요소 { 영토

국민

주권 }

(2)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음을 보일 때 쓴다.

� 아이들이 모두 학교{에, 로, 까지} 갔어요.


12. 대괄호([ ])

(1) 괄호 안에 또 괄호를 쓸 필요가 있을 때 바깥쪽의 괄호로 쓴다.

� 어린이날이 새로 제정되었을 당시에는 어린이들에게 경어를 쓰라고 하였다. [윤석중 전집(1988), 70쪽 참조]

� 이번 회의에는 두 명[이혜정(실장), 박철용(과장)]만 빼고 모두 참석했습니다.


(2) 고유어에 대응하는 한자어를 함께 보일 때 쓴다. � 나이[年歲] � 낱말[單語] � 손발[手足]

(3) 원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이나 논평 등을 덧붙일 때 쓴다. � 그것[한글]은 이처럼 정보화 시대에 알맞은 과학적인 문자이다. � 그런 일은 결코 있을 수 없다.[원문에는 ‘업다’임.]


13. 겹낫표( )와 겹화살괄호(≪ ≫)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등을 나타낼 때 쓴다. �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은 1896년에 창간된 �독립신문�이다.

� �훈민정음�은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한성순보≫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이다. � 윤동주의 유고 시집인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는 31편의 시가 실려 있다.

겹낫표나 겹화살괄호 대신 큰따옴표를 쓸 수 있다.

�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은 1896년에 창간된 “독립신문”이다. � 윤동주의 유고 시집인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는 31편의 시가 실려 있다.


14. 홑낫표( 」)와 홑화살괄호(< >)

소제목, 그림이나 노래와 같은 예술 작품의 제목, 상호, 법률, 규정 등을 나타낼 때 쓴다. � 「국어 기본법 시행령」은 「국어 기본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이 곡은 베르디가 작곡한 「축배의 노래」이다. � <한강>은 사진집 ≪아름다운 땅≫에 실린 작품이다.

[붙임] 홑낫표나 홑화살괄호 대신 작은따옴표를 쓸 수 있다.

� 사무실 밖에 ‘해와 달’이라고 쓴 간판을 달았다. � ‘한강’은 사진집 “아름다운 땅”에 실린 작품이다.


15. 줄표(―)

제목 다음에 표시하는 부제의 앞뒤에 쓴다. � 이번 토론회의 제목은 ‘역사 바로잡기 ― 근대의 설정 ―’이다.

다만, 뒤에 오는 줄표는 생략할 수 있다. � 이번 토론회의 제목은 ‘역사 바로잡기 ― 근대의 설정’이다.

[붙임] 줄표의 앞뒤는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쓰는 것을 허용한다.


16. 붙임표(-)

(1) 차례대로 이어지는 내용을 하나로 묶어 열거할 때 각 어구 사이에 쓴다.

� 멀리뛰기는 도움닫기-도약-공중 자세-착지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2) 두 개 이상의 어구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고자 할 때 쓴다.

� 드디어 서울-북경의 항로가 열렸다. � 원-달러 환율 � 남한-북한-일본 삼자 관계


17. 물결표(~)

기간이나 거리 또는 범위를 나타낼 때 쓴다. � 9월 15일~9월 25일 � 김정희(1786~1856)

물결표 대신 붙임표를 쓸 수 있다. � 9월 15일-9월 25일 � 김정희(1786-1856)


18. 드러냄표(˙)와 밑줄( )

문장 내용 중에서 주의가 미쳐야 할 곳이나 중요한 부분을 특별히 드러내 보일 때 쓴다.

� 한글의 본디 이름은 훈민정음 ˙˙˙˙ 이다. � 중요한 것은 왜˙ 사느냐 ˙˙˙ 가 아니라 어떻게 ˙˙˙ 사느냐 ˙˙˙ 이다.

드러냄표나 밑줄 대신 작은따옴표를 쓸 수 있다. � 한글의 본디 이름은 ‘훈민정음’이다.

� 중요한 것은 ‘왜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느냐’이다.


19. 숨김표(○, ×)

(1) 금기어나 공공연히 쓰기 어려운 비속어임을 나타낼 때,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쓴다.

� 배운 사람 입에서 어찌 ○○○란 말이 나올 수 있느냐? � 그 말을 듣는 순간 ×××란 말이 목구멍까지 치밀었다.

(2) 비밀을 유지해야 하거나 밝힐 수 없는 사항임을 나타낼 때 쓴다. � 1차 시험 합격자는 김○영, 이○준, 박○순 등 모두 3명이다. � 육군 ○○ 부대 ○○○ 명이 작전에 참가하였다.


20. 빠짐표(□)

(1) 옛 비문이나 문헌 등에서 글자가 분명하지 않을 때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쓴다. � 大師爲法主□□賴之大□薦

(2) 글자가 들어가야 할 자리를 나타낼 때 쓴다. � 훈민정음의 초성 중에서 아음(牙音)은 □□□의 석 자다.


21. 줄임표(……)

(1) 할 말을 줄였을 때 쓴다. �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2)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 쓴다. � “빨리 말해!” “…….”

(3)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할 때 쓴다. � ‘고유’라는 말은 문자 그대로 본디부터 있었다는 뜻은 아닙니다. …… 같은 역사적 환경에서 공동의 집단생활을 영위해 오는 동안 공동으로 발견된, 사물에 대한 공동의 사고방식을 우리는 한국의 고유 사상이라 부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4) 머뭇거림을 보일 때 쓴다. � “우리는 모두…… 그러니까…… 예외 없이 눈물만…… 흘렸다.”

점은 가운데에 찍는 대신 아래쪽에 찍을 수도 있다. �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점은 여섯 점을 찍는 대신 세 점을 찍을 수도 있다. �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줄임표는 앞말에 붙여 쓴다. 다만, (3)에서는 줄임표의 앞뒤를 띄어 쓴다.


 #한글맞춤법 #문장부호 #줄임표 #마침표 #강조 #숨김표 #빠짐표 #드러냄 #물결표 #줄표 #대괄호 #겹납표 #따옴표

매거진의 이전글 『가상은 현실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