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멈블비 Sep 25. 2024

도도한 일곱난쟁이 커피나무

커피나무의 잎사귀는 빤딱빤딱 하다. 이게 살아있는 나무가 맞나, 플라스틱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매끈하다. 동네 마트에서 사 온 작은 모종 화분 안에 열 그루 정도의 커피 모종이 다닥다닥 심겨 있었다. 아무리 물을 주고 시간이 오래 지나도 자라지 않아서 정말 조화일 지도 모른다는 의심이 들었다. 쑥쑥 자라주지 않는 식물에는 내 관심도 금방 시들해지므로 몇 달 후 잎사귀 위에는 먼지가 뽀얗게 쌓였다.


다른 화분들 분갈이를 하면서 커피 화분도 열어보았다. 정말 조화가 아닌지 확인하고 싶은 마음이 분명히 있었다. 자잘하게 뻗어있는 뿌리를 보고서야 삐딱한 의심의 마음을 접을 수 있었다. 그 후 4년 동안 간간이 분갈이를 하면서 모종마다 하나의 화분을 가지도록 독립 시켜줬고 지금 우리 집에는 그중 살아남은 7그루의 작은 커피나무가 있다.


아주 뒤늦게야 알아보니 커피는 화분의 크기만큼 자란단다. 나는 항상 식물이 빽빽이 자라서, 이 화분 너무 좁아요 하고 온몸으로 표현할 때쯤에야 분갈이를 해주었기 때문에, 커피는 자주 분갈이해 주지 않았다. 내가 생각하는 식물과 화분 크기의 적절한 비율이 있었는데 아무래도 그 때문에 우리 집 커피는 매우 더디게 자랐나 보다. 커피는 자리가 있어야 자라는데, 나는 충분히 자라고 나면 자리를 만들어 주지라며 마냥 기다린 거다. 우리, 너무 소통이 없었다.


커피는 따뜻하고 습한 아열대 지방에서 잘 자란다고 한다. 우리 집의 실내 온도는 독일의 다른 집들과 다르지 않다. 여름에도 19~21도 이상 잘 올라가지 않고, 습도 또한 40 - 50 이상 올라가기가 힘들다. 이런 우리 집은 일곱 그루의 커피나무에겐 정붙이기 힘든 집구석이었을까. 원산지에서 이토록 멀리 와서 제대로 다리도 못 뻗고 기지개도 못 켜는 생활이었던 걸까. 매일 아침 커피 열매를 우려 마시는 나를 보며 이들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우리 집 커피나무는 아직도 짙은 초록빛의 무표정이다. 차라리 색이 변하거나 시들거나 하는 증상이라도 있었다면 더 빨리 눈치챘을 텐데. 마치 누군가가 왁스 칠이라도 한 듯 반질반질한 커피의 잎사귀를 보고 있으면, 화장을 잘해서 표정을 읽을 수 없는 차가운 미녀를 생각하게 된다. 커피와 차가운 도시의 미녀라니 꽤 잘 어울리긴 하지만. 그래도 4년을 키웠는데 아직도 모종 크기인 커피나무들 안타깝다.


어쩌면 미미한 성장은 그들이 할 수 있는 가장 큰 반항이었을까, 외침이었을까. 자라야 할 것이 자라지 않는 만큼 강렬한 주장이 어디 있을까. 우리 집 커피나무들은 4년간 한 뼘도 안 되는 크기를 키웠지만, 티브이나 사진에서 보던 늠름하고 울창한 커피나무의 잎사귀만큼은 똑 닮아있다. 어디를 가더라도, 최대로 자랄 수 없어도 고개를 꼿꼿이 세우고 가장 짙은 초록빛 잎사귀만 피워내겠다는 듯 도도하다.

작가의 이전글 식물의 먹방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