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제스혜영 Sep 29. 2022

나는 바닷가로 장 보러 간다

푸르른 8월이면 나는 바닷가로 장 보러 간다. 내가 사는 틸리에서 한 시간만 차로 달리다 보면 세인트 모넌스(St. Monans)라는 작은 어촌 마을이 나온다. 내가 이 마을을 알게 된 이유는 처음 스코틀랜드로 이사왔을 때 이 마을에서 6개월간 머물렀었기 때문이다. 차에서 내리자 마자 팔꿈치까지 오는 고무장갑을 끼고 무릎까지 오는 장화를 신고 가위가 들어간 천가방 하나를 둘러 맸다. 오랫만에 코 끝으로 스며드는 짭조름한 냄새가 나를 바다로 이끌었다. 바닷물은 벌써 저어만치 모습을 감추고 울퉁불퉁한 바위들이 노랗고 연둣빛의 해초머리를 풀어헤치며 해맑은 얼굴로 나를 반겨주었다. 


첫 번째 구매 품목은 다시마. 

물이 살랑이는 저 끝의 바다까지 다다르려면 뽀글뽀글하고 미끌미끌거리는 초록 융단을 피할 길이 없다. 오 분이면 거뜬히 걸을 거리를 몇 십 분째 낮 술에 취한 사람처럼 비틀거리다 쓰러지기를 반복했다. 이윽고 집채만 한 바위가 눈 앞에 나타났다. 이제 다시마를 캘 시간이다. 천 가방이 떨어지지 않도록 겨드랑이 사이에 바짝 붙이고 큰 바위를 조심조심 짚어가며 걸었다. 바위 밑으로 짙고 탁한 바닷물이 찰랑거리는 게 꽤 깊어 보였다. 갈라진 바위틈 사이를 겨우 비집고 들어가야 큰 바위에 뿌리를 박고 물아래로 널브러진 다시마가 보였다. 그렇게도 보고싶었던 다시마를 보며 무척이나 기뻐하기도 잠시 저 멀리 육지에 보이는 집들이 개미만 한 게 아닌가. 내가 발을 잘못 디디는 순간 난 이 광활한 바다에서 영원히 다시마와 함께 널브러질 것이다. 섬뜩했다. 하필이면 핸드폰도 차에 두고 왔으니 다리가 미치도록 후들거렸다. 다리에 힘을 꽉 주고 숨을 가다듬었다. 이제 미용질을 할 차례다. 바위에 붙은 다시마카락을 가위로 뚝뚝 잘라냈다. 

'바위야 시원하니? 내가 시크하게 깎아줄게.' 

머리를 다듬는 동안 두려웠던 마음은 사라지고 나도 모르게 '그대 걱정하지 말아요.' 라는 노래를 흥얼이고 있었다. 가져온 천가방 밖으로 다시마카락이 넘쳐났다. 옆에서 구경하던 파도도 짧게 잘린 바위의 머리가 마음에 드는지 자꾸만 내 장화를 처얼썩 치고 돌아갔다. 신선한 바다향기를 온몸으로 들이마셨다.


두번 째 품목은 파래. 

해변가 주위를 걷다 보면 납작한 돌 주위로 '나 좀 쳐다봐 주세요' 애정한 눈빛을 보내는 초록 파래들을 쉽게  만난다. 거품을 몰고 온 바닷물에 일렁이는 파래를 모래가 섞이지 않도록 살살 뜯었다. 매콤 달콤한 파래를 무쳐 먹을 생각만으로도 입가에 군침이 돌았다. 이걸로 만들 파래무침은 아이들에게 처음으로 소개되는 한국 음식이 될 것이다. 어디서도 살 수 없는 이 신선한 파래를 아이들도 좋아했으면 좋겠다. 


세번 째 품목은 톳.

마지막으로 사슴의 꼬리와 비슷하게 생겼다는 바다의 나물, 녹미채. '톳'을 가방에 넣었다. 밤새 머물렀던 바닷물이 마실을 나가고 태양빛에 온 몸이 구어져 바짝 말라진 톳이었다. 짭짤하고 고소해서 과자처럼 씹어 먹는 재미가 있다. 몇 년 전 이곳에 왔을 떄 아는 척하며 남편한테 건네주기도 하고 유기농 간식이라며 많이도 먹었었는데 톳은 독성이 있어서 데쳐서 먹어야 한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았다. 


집으로 가져온 다시마를 곱게 펴서 하나씩 빨랫줄에 널었다. 창문을 열고 있으니 바다 냄새가 온 집안에 가득했다. 텃밭에 심어 놓은 무를 뽑아 슴벅슴벅 채를 썰었다. 무와 바득바득 씻은 파래를 조물조물거렸다. 배를 타고 한국에서 온 귀한 고춧가루도 솔솔 뿌렸다. 훈훈한 흙냄새와 짭조름한 바다 냄새가 입안에서 북적거렸다. 남편은 신선한 파래무침이 좋다는데 아이들은 비린내가 난다며 먹지 않았다. 내 어린 모습을 보는 것 같아 웃음이 나왔다. 나도 바다에서 온 물건이라면 무조건 싫었었다. 아빠는 어떻게든 나에게 생굴을 먹여 보려고 내기를 걸곤 했다. 생굴 하나당 오천 원. 오천 원이라는 말에 눈을 질끈 감고 작은 생굴 하나를 골라 생굴크기만큼 초고추장을 발라서 한 입 물었던 기억이 난다. 아직도 회 같은 생은 먹기 어렵지만 파래나 미역은 생이 더 맛난다. 


어렸을 적 엄마와 함께 부산 자갈치 시장에 갔던 기억도 떠오른다. 목욕탕 의자에 앉아 잘 생긴 갈치 한마리를 팔랑거리며 할머니가 말했었다. 

"일로 오이소. 겁나게 싱싱합니데이" 

엄마가 두어 마리 생선을 봉지에 넣자 할머니는 옆에 있던 파래도 한 주먹 덤으로 넣어 주었다. 치글치글 바삭하게 구워진 갈치와 고춧가루가 팍팍 들어간 매콤 달콤한 파래무침이 밥상에 올라오면 밥 한 공기는 뚝딱 해치웠었다. 꼬들꼬들한 스코틀랜드산 파래무침이 입안에서 오물거릴때마다 부산 자갈치 냄새가 나는 것 같았다. 바다 냄새는 어쩜 이렇게도 똑같을까. 예전이나 지금이나 아깝지 않게 주고 주어도 반가움을 애써 감추지 못하는 바다. 여전히 변치않는 그 싱그러움의 비밀은 거기서 오는게 아닐까 생각했다.   


왼) 빨랫줄에 말린 다시마 중간) 이름모를 기다란 바닷말(이름이 뭘까요? 오) 무우와 파래 무침


매거진의 이전글 굿바이 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